- 다우 -0.3%, S&P500 +0.4%, 나스닥 +1.0%
- 엔비디아 +4.9%, 슈퍼마이크로 +31.2%, 테슬라 +2.1%
- WTI +0.2%, 미 10년물 금리 4.39%, 달러/원 1,393.4원
1. 미증시 답게 결과론적으로 상승세 지속 이어지고 있음. 러시아가 핵교리 개정을 통해 우크라이나가 공격 시 핵무기로 대응할 수 있다는 식의 엄포를 놨지만 주식시장이나 원자재 시장에서는 이를 크게 개의치 않는 분위기. 내일 실적 발표를 앞둔 엔비디아도 발열문제 잡힐 것이라는 기대감과 외사들의 목표 주가 상향 소식 등으로 4%대 강세를 보였고,
상장폐지 위기에 놓였던 슈퍼마이크로도 상장 유지 계획을 제시하면서 31%대 상승하는 등 AI주 강세. 과거 엔비디아 실적을 보면, 기대치의 싸움이었지 성장은 계속 해왔던 기업인데 실적성장+미래 가이던스까지 중요한 시점
2. 오늘 국내 증시도 미국 AI주 강세, 밸류에이션 매력, 환율 및 금리 급등 진정 등에 힘입어 상승 출발할 것 예상. 미국 증시가 무빙워크를 하는 시장이라면 한국은 이쯤되면 충분히 앞으로 나갈법 한데 디커플링되고 있는 아쉬운 상황.
주요 요인은 국내 수급 상 주포인 외국인이 순매도를 일관하면서 증시에 저항선을 긋는 영향이 큰 듯. 8월부터 본격적인 셀코리아 작업에 있는데, 8월 1일~ 11월 19일까지 외국인의 코스피 누적 순매도 금액은 17.6조원(이중 반도체가 -19.1조원)에 달함
3. 순매도 배경은 1) 삼성전자 등 반도체 중심의 코스피 이익 전망 하향, 2) 달러/원 환율 급등에 따른 환차손 우려, 3) 미국 금리 상승, 4) 트럼프 2기 정부 리스크(무역분쟁 피해국가)가 작용하고 있고 단기적으로 소멸되기에는 어려운 재료
긍정적인 측면을 찾아보자면, 외국인의 코스피 지분율은 31.9%로 연중 고점인 35.0%(7월 5일)에서 급감하면서 역사적 지분율 평균치를 하회하고 있다는 점. (외국인 평균 지분율은 2000년 이후 34.1%, 2010년 이후 33.4%)
이 같은 지분율 단기 급감은 향후 한국 증시에 대한 대규모 순매도에 나설 추가적인 유인이 줄어들어 하방경직성을 만들어 줄 것
4. 게다가 외국인의 코스피 순매도는 현재 진행형이기는 하지만
세부 업종으로 봤을 때 기계(8주 연속 순매수), 운송(6주 연속 순매수), 유틸리티(6주 연속 순매수), 소프트웨어(4주 연속 순매수), 조선(3주 연속 순매수)과 같이 11월 이후 순매수에 나서고 있는 업종도 있음
공통점은 실망감이 우위에 있었던 3분기 실적시즌을 치르는 과정에서도 이익 전망이 상향되거나, 크게 훼손되지 않은 업종들이었네요.
(ex: 11월 이후 12개월 선행 영업이익 전망 변화, 기계 -0.8%, 운송 +4.7%, 유틸리티 +12.9%, 소프트웨어 +1.0%, 조선 +1.2% vs 코스피 -0.8%).
물론 반도체(13주 연속 순매도), 철강(7주 연속 순매도), 미디어(7주 연속 순매도), 자동차(5주 연속 순매도) 등과 같이 그간 공격적인 순매도에 따른 외국인 수급 빈집 플레이를 해볼 만한 구간
여기서 빈집 플레이를 통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외국인의 본격 순매수 전환이 필요하지만, 수일 이내에 이를 기대하기엔 한계가 있을거 같습니다. 실적 섹터+주도주로 시장대응이 유효 (출처: 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