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꿀(일)벌의 일생 꿀벌은 여왕벌 숫벌 일벌들이 같이 모여 한무리를 이루고 산다. 꿀벌의 한 무리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일벌은 알에서 3일, 애벌레로 6일, 번데기로 12일, 모두 21일 만에 태어나며, 시중드는 벌이 적어지거나 온도가 부족하거나 환경이 좋지않으면 1~2일 늦어지기도 한다. 일벌 한 마리를 기르는데는 꿀이 300㎎, 꽃가루는 100㎎, 정도가 필요하므로 한통의 일벌을 30,000마리 로 볼 때, 꿀은 9,000g, 꽃가루는3,000g이 필요하다. 갓 태어난 일벌은 주로 내역(안살림)에 종사하며, 18일 정도 지나서 외역(外役: 밖의 일), 즉 꿀과 꽃가루와 프로폴리스 등 봉산물을 모으다가 늙어서는 집을 지키는 일을 하며, 마지막 죽음이 가까워지면 그 순간을 알고 벌통에서 멀리 멀리 날아가 산이나 들에 떨어져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략 400Km를 날고 수명을 다하게 된다. 여왕벌은 이렇게 태어나요 꿀벌의 생육 적온
일벌 일생 과정을 알아보면.
1) 몸단장 알에서 21일 만에 뚜껑을 스스로의 힘으로 뚫고 나온 어린 벌은 언니벌이 건너 주는 꿀을 먹으며 기운을 차리고 자기 몸을 추스리고 몸단장을 한다. 태어나서 먹이를 먹고부터 힘이 생기고 몸속에는 봉독이 생성되기 시작하며 15일까지 봉독이 만들어 진다고 한다.
2) 청소하기(Cleaning) 일벌들은 자기 집을 깨끗하게 유지 되도록 끊임 없이 청소한다. 불순물은 집밖으로 버리며 쓸 만한 것은 집안에 모아둔다. 죽은 시체도 물고 날아가 버리며 버리지 못할 큰 것은 프로폴리스로 표면을 덮어 봉해버린다.
3) 새끼 기르기(Brood care) 3일령부터 꽃꿀을 먹고 기력을 회복하면 꿀벌의 체액을 섞어 꿀이 되도록 하며, 전화된 꿀과 발효된 꽃가루를 먹고 머리 부분의 인두선 에서 로얄제리를 만들어 어린 새끼를 기르는 일에 종사하게 되는데, 하루에 1,300회씩 애벌레 방을 방문하여 돌본다. 새끼(유충, 애벌레)가 어릴 때 더 많이 방문하며 크면서 차차 줄어들지만 한 마리의 애벌레를 키우는 데는 10,000번 정도를 방문하여 새끼를 돌본다고 한다. 이에 소요되는 시간은 10시간 16분이며, 한 마리를 기르는데 참여하는 벌의 수는 2,785마리 였다고 한다. 특히, 여왕벌이 되는 애벌레는 태어나서부터 일벌이 만들어 주는 로얄제리만 먹게 되는데, 조건이 맞으면 여왕벌이 하루 3,0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는 기적 같은 능력은 로얄제리에 있다. 로얄제리는 11일, 12일령 일벌이 가장 많이 만들어 내며 계절에 따라 다르나 15일령이 되면 만들지 못한다고 한다. 그 다음은 벌집 지키기를 하는데 다른 벌들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4) 기억비행(날아다니는 연습) 6일령부터 날아다니는 연습을 하며 따뜻하고 청명한 날 정오경에 벌통 앞 가까운 주변을 날아다니는 연습을 하는데, 이를 낮놀이 또는 유희비상 이라고도 하는데 기억비행이 더 적절한 말로, 나는 연습 뿐아니라 자기 집의 위치와 주변 환경을 익히는 훈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기억비행 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연습을 마친 일벌은 자기 집으로만 돌아오는데 이를 귀소성 이라고 한다. 집의 위치를 태양과의 각도에 따라 방향을 익혔다고 볼 수 있는데, 집의 위치를 조금만 옮겨도 찾지를 못하고 혼란이 일어난다. 5일령부터 기억비행이 관찰된다고 하며 벌통안의 일을 하면서 18일령이 되기 까지 비행 연습을 한다. 18일령이 되면 바같일 에만 종사하게 된다. 기억비행은 자기 집의 모양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집의 위치를 태양과의 각도에 따라 정확하게 기억하는 연습이다.
5) 밀랍 분비 밀랍을 분비하는 모습 12일령에서 18일령의 젊고 활기찬 벌이 벌집을 짓는 재료가 되는 밀랍(蜜蠟)을 분비 하는데 일벌의 배마디에 있는 밀랍선 에서 분비된다. 분비되는 밀납 조각은 눈으로 겨우 보일 2mm정도의 작고 얇은 조각인데 일정한 형태는 없으나 주로 5각형 조각이 많이 보인다. 밀납은 33~36℃의 높은 기온에서 많이 분비되며 늙은 일벌에게도 분비되나 능력이 떨어진다. 평균 1Kg의 밀랍을 생산하기 위해서 8Kg(5~25Kg)의 벌꿀이 쓰이며, 밀납 분비가 왕성할 때는 벌통 바닥에도 흩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집 지을 조건이 안 될 때에는 벌통 바닥에 뭉쳐 두게 된다.
6) 집짓기(Comb building) 벌통에 공간이 있고 집이 좁을 때는 집짓기 벌이 모여들면서 집을 짓는다. 일벌의 배마디에서 나오는 밀랍 조각을 일벌의 뒷다리에서 앞다리를 거쳐 입으로 전달되어 씹혀질 때 투명하던 것이 젖빛에 가까운 반투명체가 되고 일벌의 타액과 프로폴리스까지 혼합되어 잘 부서지지 않게 되며 일정한 크기와 형태의 정육각형의 집을 짓는다. 밀랍이 분비되어 집짓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4분이 걸린다고 하며, 밀랍을 분비하고 집짓는 일이 벌들에게는 가장 힘든 일이며, 벌들의 수명이 단축된다.
7) 수밀활동(꽃꿀 모으기: Foraging) 꽃꿀을 모으는 벌은 태어난 지 18일령 부터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독일에서 3주가 지난 다음부터라고 한다. 나는 밖일벌이 없을 때 비상수단으로 5일령도 밖일에 종사하며 꽃꿀을 모으는 것이 관찰되었다. 한번 꽃꿀을 뱃속에 모아오는 양은 0.02g~0.04g정도라고 하며, 이 양을 모으는 데는 50~200송이 꽃을 찾아 다니며, 꽃에 따라서는 5,000~10,000송이를 찾아다니기도 한다. 날씨와 밀원의 조건이 충족될 때는 하루에도 집을 8번에서 16번을 드나들며, 한 마리가 하루에 모으는 꽃꿀의 양은 0.5g정도다. 날씨가 좋고, 꽃이 활짝 피어 꽃꿀이 잘 나올 때는 한 통에서 밖일벌 10,000마리 라면 5Kg을 모으며, 밖일벌이 30,000마리라면 15Kg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밖일벌이 50,000마리라면 25Kg 이 되는데 이는 실제로 가능한 수치이며 조건이 좋으면 그 이상도 들어오게 된다. 밀원 종류(품종)와 관리기술에 좌우된다.
8) 꿀 숙성(만들기) 일벌은 꽃꿀을 수집하여 바로 저장하지 않고 내역(안살림)일벌에게 입에서 입으로 전달하거나 뱃속에 넣어 꿀벌의 체액이 섞이게 하고 효소의 작용으로 전화되어 꿀이 되는 것이다. 복합당인 꽃꿀의 자당이 단당류인 포도당과 과당으로 전화되는 것은 발효와 비슷한 것으로 설탕과는 다른 꽃꿀에 있는 효소와 꿀벌의 새끼 기르기 온도가 작용하여 전화가 이루어진다. 싸리나무, 딸기, 복분자와 같은 관목이나 메밀, 유채 등의 풀꽃에서 수집된 꽃꿀이 전화되면 포도당 성분이 많아 결정이 잘 되고, 아까시, 밤나무, 대추 같은 교목의 꽃꿀은 전화 되면 과당 성분이 많아서 결정이 잘 되지 않는다.
9) 꽃가루 모으기와 발효 일벌의 하는 일 중에서 꽃가루를 수집하는 일은 꿀을 모으는 일보다 소중한 일 이다. 꿀보다 꽃가루에 각종 영양소가 더 풍부하며, 꿀벌은 이른 봄부터 목숨을 걸고 꽃가루를 수집한다. 벌들은 꿀보다 꽃가루를 더 소중히 취급하여 산란권 바로 밖에 꿀과 썪어서 저장하고 육아열로 발효 시켜서 이용한다. 밖에서 화분채취기로 수집한 것과 벌집에 저장하고 발효시킨 것은 맛이 다른데, 이는 꽃가루를 발효시킨 것이라 생각된다. 발효된 꽃가루와 전화된 꿀을 먹고 인두선에서 로얄제리를 분비하여 어린 새끼를 키우며, 다 자랄때까지 100mg 정도의 화분을 먹인다.
10) 봉교(프로폴리스)수집 외역(밖일)벌은 한 통에서 5~6마리의 벌이 프로폴리스를 수집 하는데, 식물의 꽃눈이나 잎눈 또는 식물의 상처 난 곳에서 나오는 치료물질인 천연항생제 프로폴리스를 모아서 벌통에 바르기도 하고 틈새를 메우며 집짓기에도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더 많이 수집 하기도 하며 우리나라 벌들은 남미나 호주 벌에 비하여 수집하는 양이 적으나 품질은 더 우수하다.
11) 선풍활동(부채질) 꿀벌의 날개로 하는 부채질은 일벌의 중요한 일로, 벌통 안의 온도를 조절하고 환기를 시키며 꿀을 농축하기 위해 끊임없는 날개짓으로 부채질을 한다. 부채벌의 일령은 기록에 없으며 밖일을 나가기 전의 벌들로 생각된다.
12) 물 수집 생명의 3대 근원인 물은 벌에게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른 봄에는 먹이를 녹여야 하고, 화분을 반죽하여 꿀과 함께 먹고 로얄제리를 만드는데는 물이 꼭 필요하다. 여름철에는 벌집 위쪽에 물을 넣어 온도를 조절한다. 물 수집하는 벌도 밖일에 종사하는 일벌이다. 물을 공급할 때는 오염되지 않은 맑은 물, 미네랄이 함유된 물을 공급해야 하며 물 20L에 자연소금 30g을 녹여준다.
13) 봉독 채취(만들기) 금방 태어난 일벌은 독이 없으며, 태어나서 먹이를 먹으면서 독이 만들어(생성)지고 꽁무니의 독침 안쪽에 있는 독주머니에 저장되기 시작한다. 15일령까지 독이 만들어지고 그 이후에는 독이 잘 만들어지지 않으며 그 량이 줄어진다. 외역봉에 독이 제일 많으며 마리당 0.294mg이 독주머니에 들어있다.
14) 집 지키기 태어나 일령에 따라 필요한 일에 종사하다가 마지막기력이 쇠하여 노령이 되면 집을 지킨다. 대개 적을 물리치기 위해 벌침을 쓰는 벌의 대부분이 늙은 벌이다.
15) 거룩한 죽음 할 일을 다하고 자연사하는 죽음의 순간에 이르면 하늘로 날아올라 날개 힘이 다할 때 까지 날아가 숲속이나 풀속에 떨어져 죽는다. 후손에게 누를 끼치지 않기 위함이리라. 16) 노동 일정 요약
2. 일벌의 습성 꿀벌의 생육환경에 적합한 주위 환경은 북서쪽이 막히고 통풍이 잘되며 바위벽이 있는 양지쪽으로서 일조량이 70~80% 되는 곳으로 2부 능선에서 6부 능선 사이 부분의 위치가 알맞다. 1) 융화성 봄철 유밀기 때 종족의 번식을 왕성하게 하기 위하여 또는 늦가을 입동기의 종족 보존을 위하여 타 봉군과 싸우지 않고 자연스럽게 합치는 습성이다. 이러한 습성을 인위적으로 이용하여 월동한 봉군에서 약한 봉군 즉 약군을 고르게 기르기 위하여 강군의 착봉 소비를 약군의 벌통에 넣어주고 약군의 유충 소비를 강군에 넣어서 강군은 강군대로 번식이 왕성하게 하고 약군은 강군이 되도록 융화시켜 준다. 이를 군세조절이라한다. 2) 조소성 꿀벌이 유충을 키우고 꿀과 화분을 저장할 벌집을 짓는 것을 말한다. 꿀이 많이 나는 시기에 공간만 있으면 집을 짓는 습성이 있으므로 아카시꽃 꿀이 많이 날 때 소비의 간격을 조금씩 넓혀서 꿀을 넣을 수 있는 벌집을 깊게 지어내게 해 준다면 꿀을 더 많이 저장할 수있을 것이다. 3) 저밀성 벌집에 꿀을 저장하는 성질을 말한다. 꿀벌은 산야에 꿀이 많이 날 때 정신없이 벌집에 꿀을 저장한다. 심지어 유충을 물어내고 그 방에 꿀을 저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여왕벌을 왕롱에 넣어 꿀을 넣을 수 있는 빈 벌집을 만들어 주고 소비장의 간격을 넓혀 벌집을 깊게 하여 계속적으로 꿀을 저장하도록 한다. [출처] 꿀벌의 일생|작성자 김철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