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대동 도시 사회 경제 포럼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생활 속 실용 경제 이야기 오늘의 해외 시각 및 동향 !! (10/13)
띠아모 추천 3 조회 221 22.10.13 08:38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2.10.13 08:43

    첫댓글 CME FedWatch Tool에 따르면, 이번 의사록 공개 이후 11월 FOMC에서의 0.75%p 인상이 확실시.

    그리고 12월과 내년 1월에 각각 0.50%p 및 0.25%p 인상 가능성(각각 61.4%, 58.2%)이 높은 것으로 판단.

    연방기금금리 정점은 내년 2월(4.50~4.75%)에 도달하고 12월(4.25~4.50%)에 첫 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

    미국 9월 생산자물가(PPI) 상승률, 예상치 상회. 고물가 장기화 가능성 시사

    임금, 주택가격, 운임비, 일부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 둔화는 향후 인플레이션 수준이 결국 하락할 것임을 제시.

    연준의 과도한 통화긴축은 삶의 질 혹은 생산성 향상 없이 가계에 불필요한 고통을 초래

  • 작성자 22.10.13 08:43

    CME FedWatch Tool에 따르면, 이번 의사록 공개 이후 11월 FOMC에서의 0.75%p 인상이 확실시.

    그리고 12월과 내년 1월에 각각 0.50%p 및 0.25%p 인상 가능성(각각 61.4%, 58.2%)이 높은 것으로 판단.

    연방기금금리 정점은 내년 2월(4.50~4.75%)에 도달하고 12월(4.25~4.50%)에 첫 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

    미국 9월 생산자물가(PPI) 상승률, 예상치 상회. 고물가 장기화 가능성 시사

    임금, 주택가격, 운임비, 일부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 둔화는 향후 인플레이션 수준이 결국 하락할 것임을 제시.

    연준의 과도한 통화긴축은 삶의 질 혹은 생산성 향상 없이 가계에 불필요한 고통을 초래

  • 22.10.13 16:17

    감사합니다.

  • 22.10.13 17:20

    감사합니다.

  • 22.10.13 17:22

    감사합니다. ~~

  • 22.10.15 00:09

    좋은 자료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