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최초의 우주 여행객은 개가 아니라 소련의 유리 가가린이고,
우주선에 실려 지구 궤도에 발사되었던 세계 최초의 생물체는
Laika라는 이름의 개입니다.
이게 소소한 문제일지...
그것 말고도 작은 잘못들은 수두룩합니다.
뭔가를 자세히 풀 때 '즉,'이라고 하는데, 이는 '곧,'이라고 하는 게 좋습니다.
'지금 시작됩니다'라고 하는데,
이는 '지금 시작합니다'가 맞습니다.
곧 내보낼 방송을 누구에서 시켜서 하는 게 아니라 방송사에서 방송을 내 보내는 것이므로,
시작됩니다가 아니라 시작합니다가 맞습니다.
계속됩니다도 마찬가집니다.
오천 만 모든 국민이... 때까지 계속됩니다가 아니라, 계속합니다가 맞습니다.
간발의 차이로 공이 빗나간 게 아니라, 아깝게 빗나간 겁니다.
간발(間髮, かんはつ[간바쯔])은
사이 간 자와 터럭 발 자를 써서 '터럭 하나 차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차이를 뜻하는 일본어투 말입니다.
문제를 맞히거나 한 골 넣으면 신명나게 춤을 추는 것을 '세리머니'라고 하는데요.
2002년에 문화관광부에서 '언론 외래어 순화를 위한 국어순화분과위원회'를 열어
'골 세리머니'도 '득점 뒤풀이'로 바꿨습니다만... 아직도 세리머니고...
문제의 답을 맞히고 노래를 부르면서 춤을 추는 것은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언론이 앞장서서 그런 낱말을 써 줘야 하는데,
어떻게 된 게 공영방송이 나서서 세리머니라는 낱말을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한국언론재단의 조사로는
한국의 언론사 가운데 가장 믿을 수 있고 가장 영향력이 큰 언론사는 아직도 KBS라고 했습니다.
신뢰도에서도 KBS는 36.3%로 다른 언론보다 높았습니다.
시사저널이 조사한 언론사별 영향력 부문에서 KBS는 지난 6년 동안 1위를 지켰다고 했습니다.
국민의 그런 신뢰에 걸맞게 방송해 주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