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그래픽카드의 상세 정보입니다.
일반적인 5060ti의 제품은 구형인 6+2핀의 보조전원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고성능의 제품은 신형 케이블인 12+4핀의 보조전원 케이블을 사용하게 됩니다 즉 전원공급량이 더 높다는 뜻이겠죠
현재 확인된 제품은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5060ti Advanced OC D7 16GB / ASUS TUF Gaming 지포스 RTX 5060 TI OC D7 16GB / MSI 지포스 RTX 5060 Ti 게이밍 OC D7 16GB 트윈프로져 / MSI 지포스 RTX 5060 Ti 게이밍 트리오 OC D7 16GB 트라이프로져4 / MSI 지포스 RTX 5060ti 뱅가드 SOC D7 16GB 하이퍼프로져 입니다 (8GB 용량의 vram 제품도 동일) 이 중에 국내에 아직 출시 안한 제품은 어드밴스드와 뱅가드 구요
일반적으로는 하급기 제품들을 가지고 벤치마크를 합니다 아무래도 표준 기반으로 해야 제대로 성능을 측정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지난 30시리즈 때 6+8핀이거나(기가바이트 게이밍oc와 어로스 엘리트) 8+8핀 (컬러풀 울트라, 어드밴스드, asus 로그스트릭스, 펠릿 게임락) 아니면 8+8+8핀 보조전원(컬러풀 불칸)을 꼽는 제품군들이 유독 3060ti 제품들 중에서도 성능이 강력하게 나왔던 사실이 있었습니다
i9-10850k/asus tuf z490 plus/지스킬 플레어x 3200 cl14 풀뱅/asus rogstrix 3060ti/마이크로닉스 클래식2 1050w 골드 풀모듈러 / 대양케이스 ME NO.8케이스/삼성 pm981a 512GB, 1TB 시스템
그래픽카드를 하이엔드로 안가고 처음으로 일반적으로 쓰는 제품 (당시에 3080이 GDDR6X라 온도가 뜨거워서 3070으로 하려다 8핀 두개짜리로 가면 3070 하급기와 근접한 수준의 성능을 쓸 수 있단 말에 혹해서 세팅했던게 생각나는군요) 에서 rogstrix 3060ti oc non LHR 제품을 써보면서 느낀게 생각나 혹시나 하는 마음에 보조전원케이블이 신형인 msi 3팬 제품으로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박스 사진입니다. 당연히 박스에 봉인씰 따윈 없습니다 현재 msi본사에서 말하기를 뱅가드 와 트리오 와의 차이점은 두께도 차이가 있지만 뱅가드는 베이퍼챔버 방식을 그대로 사용했으나 트리오는 일반 구리판 방식으로 설계한 제품차이라고 하더군요 아무래도 베이퍼챔버 방식의 제품은 단가 자체가 비싸 수입을 안 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여 이걸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컴퓨존에서 주문하였습니다 (그래서 노란 스티커가..)
본품을 열었을 때 그래픽카드 본체, 그래픽카드 지지대, 12+4 to 6+2 X 2 문어발 케이블이 있습니다
꼽고서 처음 부팅 후 드라이버 잡기 전입니다 참고로 많은 벤치자료들은 최소 7800x3d에서 9800x3d로 벤치마크를 진행했지만 저 같은 경우에는 AM5소켓 라이젠용 메인보드 갖고 있는 제품이 아직 출시 이전이라 엠바고가 걸려 있어 공개를 못해 인텔 13세대로 테스트 하였습니다 cpu 점수가 낮게 보이는 이유는 e코어와 하이퍼쓰레딩을 끄고 돌렸기 때문입니다 (파이어스트라이크 돌릴 때 다 키게 되면 이상점수가 나와 끄고 작업했습니다) 이 점 참고 바랍니다 누드 시스템에는 담배곽이 가장 이상적인 지지대겠죠 (유투버 타X햄님이 이렇게 하셔서..따라해봤습니다)
메인보드에 은근 먼지가 좌르륵.. 귀찮습니다..
드라이버 설치 후 재부팅 하고 엔비디아 전원옵션을 고성능으로 조정했으나 제로팬이 그냥 강제로 적용되네요
타사 제품들은 고성능으로 조정하면 상시 팬작동으로 변경되는데..참... 이 부분은 좀 마음에 안듭니다.
만약 인케이스에 넣고 라이저를 세우지 않을 때 모습입니다
테스트 시스템 사양입니다
CPU : i9-13900ks
M/B : asus z790 rog 막시무스 apex
RAM : Oloy 7600MHz 36-46-46-122 (8800MHz 35-48-49-34 세부 타이밍 다 적용)
VGA : MSI 지포스 RTX 5060 Ti 게이밍 트리오 OC D7 16GB 트라이프로져4
저장장치 : 삼성 980 pro 2TB (2ea)
파워서플라이 : 시소닉 포커스 GX-1000 3.0 (아마 2세대로 기억)
GPU-Z
GPU-Z 바이오스 설정 (전력제한 최대 220w)
파이어스트라이크
파이어스트라이크 구동 시 온도
타임 스파이
타임 스파이 구동 시 온도
포트로얄
포트로얄 구동 시 온도
스틸 노마드
스틸 노마드 구동 시 온도
포트로얄 동작 시 소음도
오히려 제 수냉쿨러의 소음도가 더 커 들리지도 않네요..
5060ti 제품은 2팬 제품을 사용해도 온도가 원체 착하다 보니...
며칠간 FHD환경으로 테스트 좀 더 해봐야겠습니다
어차피 구매했으니 인텔 시스템에 박아서요..
중요 : 참고로 저는 5060ti 제품을 추천 안합니다 어지간하면 돈 좀 더 쓰더라도 5070ti정도 쓰는걸 추천합니다
뭐 슈퍼 제품이 나오네 마네 하고 있기야 하지만 (vram 좀 늘려서 출시)
5060ti 제품은 특히 16GB 제품이 가격이 너무 사악합니다 일단 돈값 못하는 그래픽카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허나 현재 4060ti 정도의 그래픽카드를 구매하고 싶은 유저들에게는 8기가 제품에서 하급기에서 선택해서 쓰라고 권장하고 싶습니다 그래도 가격 많이 다운됬으니까요 8기가 기준은요..
개인적으로 하급기 중에서는 asus prime 5060ti oc 8GB 제품을 쓰라고 하고 싶네요
3팬 제품에 8핀 보조전원 쿨링도 괜찮고 소음도 적고 3+1년 보증이니까요..(그 아무리 asus가 as가 별로라 하지만 msi보단 훨씬 낫거든요 참고로 인텍엔컴퍼니보다는 대원시티에스를 추천)
첫댓글 3D 마크 점수는 꽤나 높네요 하급기랑 교차 테스트해서 주면 더 도움될탠데..
귀찮으시겠죠? ㅋㅋㅋㅋㅋ;
귀찮은거보다 저처럼 도전정신으로 구매할 사람이 없어서 ㅋㅋ 아마도 힘들 듯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