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미얀마 볼트 및 너트 시장동향(2014.2) | ||||||||||||||||||||||||||||||||||||||||||||||||||||||||||||||||||||||||||||||||||||||||||||||||||||||
---|---|---|---|---|---|---|---|---|---|---|---|---|---|---|---|---|---|---|---|---|---|---|---|---|---|---|---|---|---|---|---|---|---|---|---|---|---|---|---|---|---|---|---|---|---|---|---|---|---|---|---|---|---|---|---|---|---|---|---|---|---|---|---|---|---|---|---|---|---|---|---|---|---|---|---|---|---|---|---|---|---|---|---|---|---|---|---|---|---|---|---|---|---|---|---|---|---|---|---|---|---|---|---|
게시일 | 2015-12-10 | 국가 | 미얀마 | 작성자 | 오새봄(양곤무역관) | ||||||||||||||||||||||||||||||||||||||||||||||||||||||||||||||||||||||||||||||||||||||||||||||||||
품목 | 그 밖의 스크루(screw)와 볼트(bolt)[너트(nut)나 와셔(washer)가 붙어있는지에 상관없다] | ||||||||||||||||||||||||||||||||||||||||||||||||||||||||||||||||||||||||||||||||||||||||||||||||||||||
품목코드 | 731815 | ||||||||||||||||||||||||||||||||||||||||||||||||||||||||||||||||||||||||||||||||||||||||||||||||||||||
작성일자: 2014.2.7 작성자: 양곤 무역관 고성민 (caseyko@kotra.or.kr), Ye Linn Kyaw
1. 수요동향 (생산 및 수요)
○ 미얀마에서 볼트, 너트 생산업체는 총 5개사(정부부문 1개사, 민간부문 4사) 정도 됨. 볼트, 너트 생산업체 중 가장 큰 업체는 산업부 산하의 No.11, Heavy Industry (Yangon)과 개인 업체 Myanmar Economic Cooperation, Mya, Mya Industrial, Ei Tone사 등이 있음.
○ 미얀마 내에서 주로 Self Tapping Screws, Self Drilling Screws, Carriage Bolts, Hex Head Bolts & Nuts, Flat washer, Spring Lock Washer, Eye Bolts, Rivets, U-Bolts, J-Bolts (Construction Anchor Bolts), Turn Buckle, Threaded Rods 등을 생산하고 있음.
○ 미얀마 내에서 생산한 볼트 및 너트는 낮은 품질과 생산량이 적기 때문에 전체 산업용 볼트 및 너트의 90% 이상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주로 중국, 태국, 일본, 대만 등에서 수입하여 공급하고 있음.
○ 미얀마의 산업용 볼트, 너트 시장은 약 90%의 수입산과 10%의 미얀마산으로 구성됨. 미얀마의 전체적인 볼트, 너트 시장규모는 2013년 9월 기준 2263만 달러로 추정되며, 전년 대비 약 14% 성장함.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
주: World Trade Atlas의 통계를 바탕으로 KOTRA에서 추정 산출
2. 경제동향 및 유통구조
○ 미얀마 산업부 산하 No.11, Heavy Industry (Yangon)는 1960년에 설립하였으며, 주로 M-Mini Saloon, TE-31 Truck, Leaf Spring, Bolt & Nuts 등을 생산하고 있으나, 볼트, 너트 생산량이 연각 500,000개 정도임.
No.11, Heavy Industry (Yangon)
○ 최근에는 네피도 지역 인프라 건설, 데웨이 심해 항구 및 산업공단 개발 국가 프로젝트와 발전소 건설 등 정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건축자재 및 기계요소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임.
○ 미얀마에서 볼트, 너트는 주로 양곤, 만달레이 시를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양곤 시의 경우 Saw Bwar Gyi Gone 시장에서 건축자재 및 기계요소 등으로 주로 유통되고 있음. 건축자재 수입상은 외국에서 수입을 하여 정부부처에 납품하는 경우가 많음. 전국 볼트, 너트 유통경로는 아래와 같음.
3. 전반적 건설경기 현황
○ 미얀마 건설부는 전국 주요 도시인 양곤, 만달레이, 네삐도 등에 병원, 체육관, 도로, 공항, 호텔 등의 인프라 구축을 확대하고 있음.
○ 호텔 부족으로 인하여 양곤시 세도나 호텔 옆에 있는 산업부 소유 토지에 베트남 기업이 호텔 공사를 시작하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호텔 인프라 확대에 기울이고 있음. 또한 관광부 산하 기관인 Directorate of Hotel & Tourism은 호텔 인프라 구축 확대를 위해 외국기업을 유치 중에 있음.
○ 미얀마의 민간정부 출범 등으로 인하여 미얀마의 외국인 관광객들의 방문이 크게 늘고 있고, 2012년 이후에도 외국인 방문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미얀마 내 호텔 등 숙박시설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임.
○ 따라서, 부족한 호텔 인프라 확충을 위해 미얀마 관광부에서는 2011~2015년까지 전국 1만6700개의 호텔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음. (2010년에 미얀마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약 79만1000명이며, 2015년은 187만7000명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음.) - 미얀마 주요도시 및 관광지역인 양곤, 만달레이, 버간, 인레 지역에 호텔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음.
4. 수입동향 및 관세율
○ 미얀마는 품목별(HS Code) 통계를 발표하지 않아, 수입액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움. World Trade Atlas 통계에 따르면, 미얀마에 HS Code 7318 (2013년 9월 기준)의 수입액은 약 1만 달러이며, 그 중 태국이 약 1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음.
수입 관세율
자료원: 미얀마 관세청
HS Code 7318 수입현황 (단위: 천 달러)
자료원: World Trade Atlas
수입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주재국의 특별한 수입 규제정책은 없음. - 다만, 미얀마는 모든 수출입에 대해 사전허가를 받아야 하며 수입허가의 경우 약 1주일 소요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