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채꽃으로 노랗게 물든 선학동유채마을
봄이 왔다. 동백나무를 시작으로 산수유, 매실나무, 개나리, 벚나무가 차례로 꽃을 피운다. 여기에 유채가 봄의 아름다움을 더한다. 들판을 온통 노란빛으로 물들인다. 사람들은 유채 하면 제주를 떠올리지만, 장흥도 못지않다. 선학동유채마을은 해마다 봄이면 노랗게 치장하고 상춘객과 사진작가들을 불러 모은다.
여다지해변 한승원문학산책길에 있는 조형물
유채꽃을 보러 가기 전, 잠깐 장흥의 문학에 대해 알아보자. ‘장흥에서 글 자랑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 〈서편제〉의 이청준, 《아제아제 바라아제》의 한승원, 《녹두장군》의 송기숙, 《생의 이면》을 쓴 이승우 등 한국 현대문학을 빛낸 문인들이 장흥 출신이다. 시인으로는 김영남, 이성관, 이한성, 박순길이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가는 단연 고 이청준 선생이다. 그는 1960년대 중반 문단에 나와 40여 년 동안 우리 소설계를 이끌었으며, 장흥을 무대로 많은 작품을 썼다.
봄빛으로 물든 장흥 바다
이청준 선생이 태어난 곳이 회진면 진목마을이다. 그는 중편 〈인문주의자 무소작 씨의 종생기〉에 “큰 산 꼭대기 구룡봉에서 바라본 세상은 끝없이 넓었다. 작은 동산 같은 그의 마을 뒷산 너머로 남해의 푸른 바다가 아득히 하늘로 이어져가고 북으로는 수많은 산들이 부연 연무 속으로 겹겹이 멀어져가고 있었다”라고 묘사했다. 마을 풍경이 소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선학동유채마을의 봄
진목마을에 가다 보면 멀리 득량만 바다를 바라보는 산자락이 노랗게 물든 것이 보인다. 마을 주변 논밭에 유채꽃이 가득 피어 봄바람에 흔들린다. 2019년 예능 프로그램 〈동상이몽 2―너는 내 운명〉에서 최수종·하희라 부부가 선학동에서 한 달 살기를 체험했는데, 이 길을 걷는 장면이 나왔다.
득량만의 풍요로운 갯벌
선학동유채마을은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전형적인 농촌이었다. 농사지을 사람이 없어 비워둔 논과 밭에 보리를 심으려고 했다. 하지만 정부에서 보리를 수매하지 않아 대체 작물로 유채를 파종했고, 이 소문이 나면서 관광객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2014년 전남 경관우수시범마을,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가 새뜰마을로 지정했고, 2017년에는 장흥9경에 들었다. 유채밭이 마을을 싹 바꾼 셈이다.
들판을 메운 유채꽃
유채밭 사이로 난 길을 따라가다 보면 자그마한 원두막에 닿는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좋다. 노란 유채꽃 물결 너머로 쪽빛 득량만 바다가 펼쳐진다. 사진작가들도 몽환적인 이 풍경을 찍기 위해 이른 아침부터 자리 잡는다. 유채밭은 30~60분이면 돌아볼 수 있을 정도다. 그다지 넓지 않지만, 봄의 정취를 느끼기에 결코 모자람이 없다. 원두막에 가만히 앉아 노랗게 흔들리는 유채꽃을 바라보노라면 온몸에 봄이 스며드는 것 같다. 유채밭은 가을이면 메밀밭으로 변한다. 9월 말부터 메밀꽃이 피기 시작해 10월 중순에 절정을 이룬다.
진목마을 이청준 생가
유채밭을 나와서는 진목마을로 가자. 마을 입구에서 좁은 골목을 돌아가면 이청준 선생의 단편 〈눈길〉에서 어머니가 “다섯 칸 겹집에다 앞뒤 터가 운동장이었더니라”라고 자랑한 생가가 보인다. 조그만 집 방에는 선생의 사진과 유물이 다소곳이 놓였고, 마당에는 지금도 사람이 사는 듯 장독대가 앉았다. 선생은 이곳 진목에서 중학생 때까지 보냈다고 한다.
영화 〈천년학〉 마지막 장면을 촬영한 세트장
마을 동쪽에는 옛날에 포구가 있었지만, 지금은 간척해 논으로 바뀌었다. 작가가 어릴 때만 해도 밀물이 들 때면 바다에 드리운 산줄기가 학이 날아오르는 모습처럼 보였다고 한다. 선생은 여기에서 영감을 얻어 《남도 사람》 가운데 한 편인 〈선학동 나그네〉를 썼고, 임권택 감독이 자신의 100번째 영화 〈천년학〉으로 만들었다. 마을 갯가 둑에 〈천년학〉 세트장이 있다. 방앗간 겸 선술집으로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 찍었다. 이후에도 드라마 〈일지매〉 〈꽃할배 수사대〉를 이곳에서 촬영했다.
노을이 붉게 물든 탐진강 변
해마다 물축제를 여는 장흥은 물을 주제로 여행할 수도 있다. 읍내에 자리한 탐진강 변에서 여행을 시작한다. 강변을 따라 자전거도로와 산책로가 잘 정비돼 느긋하고 여유로운 산책을 즐기기 적당하다. 저녁 무렵 장흥대교나 예양교에 올라 탐진강을 붉게 물들이는 노을을 바라봐도 운치 있다.
장흥다목적댐 물문화관의 전시물
아이들과 떠난 길이라면 장흥다목적댐 물문화관에 가볼 것을 권한다. 장흥댐은 탐진강 하류의 홍수 피해를 막고, 전남 9개 시·군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만들었다. 댐을 건설하면서 장흥군 유치면과 부산면, 강진군 옴천면에 살던 697세대가 수몰됐는데, 물문화관에 수몰 지역의 문화와 유물을 전시한다. 1층 역사문화실, 2층 워터리움과 전망대로 구성되며 수자원의 중요성, 물의 원리를 살펴보는 과학 놀이 등 흥미로운 체험 거리가 많다.
장흥군이 억불산에 조성한 정남진편백숲우드랜드
억불산은 울창한 편백 숲으로 유명하다. 장흥군이 이 숲에 숙박 시설과 산책로, 삼림욕장 등을 마련해 정남진편백숲우드랜드를 조성했다. 봄 숲을 즐기기에 더할 나위 없다. 쭉쭉 뻗은 편백 숲 사이에 산책로가 있으며, 편백 톱밥을 깔아놓은 톱밥산책로는 솜이불 위를 걷는 듯 푹신푹신하다.
장흥 앞바다와 보성, 고흥, 완도의 섬까지 보이는 정남진전망대
장흥은 ‘정남진’으로도 불린다. 광화문 기준으로 정남쪽에 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정남진전망대는 10층 높이로 장흥 앞바다는 물론, 보성과 고흥, 완도의 섬까지 그림 같은 풍광이 펼쳐진다. 입구의 계단을 올라가면 통일정원이 보이는데, 이곳에서 한반도의 정동진(강릉)과 정남진(장흥), 정북진(중강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우와 표고버섯, 키조개 관자가 어우러진 장흥삼합
장흥삼합은 한우와 표고버섯, 키조개 관자를 함께 구워 먹는 음식이다. 한우의 진한 맛과 표고버섯의 감칠맛, 관자의 부드러운 맛이 어우러져 들판과 산, 바다의 기운을 한 번에 맛보는 별미다. 장흥 읍내와 정남진장흥토요시장에 식당이 많다. 정육점에서 한우를 사고 식당에 상차림 비용을 내면 된다.
〈당일 여행 코스〉
선학동유채마을→진목마을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선학동유채마을→진목마을
둘째 날 / 장흥다목적댐 물문화관→정남진편백숲우드랜드→정남진전망대
여행 정보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장흥문화관광
- 정남진편백숲우드랜드
○ 문의 전화
- 장흥군청 문화관광과 061)860-0224
- 장흥다목적댐 물문화관 061)860-3302
- 정남진편백숲우드랜드 061)864-0063
- 정남진전망대 061)867-0399
◯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장흥, 센트럴시티터미널에서 하루 5회(07:50~16:20) 운행, 약 5시간 소요.
장흥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용산행 버스 이용, 용산정류소에서 회진행 버스 환승, 회진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우체국 정류장까지 도보 약 5분, 대덕·진목행 버스 이용, 선학동 정류장 하차, 선학동유채마을까지 도보 약 4분.
* 문의 : 센트럴시티터미널 02)6282-0114 고속버스통합예매 장흥시외버스터미널 061)863-9036
○ 자가운전 정보
경부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고창담양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동광주톨게이트→문흥 JC에서 제2순환도로·화순·동광주 방면→소태톨게이트→지원교차로에서 화순·지원동 방면→이양교차로에서 품평리·금능리·장흥 방면→오류삼거리에서 순천·장흥·보성 방면→순지교차로에서 천관산·관산 방면→회진로→선학동유채마을
◯ 숙박 정보
- 해오름펜션 : 안양면 수문용곡로, 061)862-2288
- 스테이1978 : 장흥읍 장흥로, 010-2003-8400
- 천관산자연휴양림 : 관산읍 칠관로, 061)867-6974
◯ 식당 정보
- 여다지회마을 : 갯장어샤부샤부, 안양면 한승원산책길, 061)862-1041
- 장흥다원 : 청태전, 안앙면 기산길, 061)863-8758
- 싱싱회마을 : 된장물회, 장흥읍 동교3길, 061)863-8555
- 우리집횟집 : 된장물회, 회진면 회진선창길, 061)867-5208
- 끄니걱정 : 매생이탕·한우구이, 장흥읍 토요시장2길, 061)862-5678
- 만나숯불갈비 : 장흥삼합, 장흥읍 물레방앗간길, 061)864-1818
◯ 주변 볼거리
유치자연휴양림 , 천관산문학공원 , 남포마을
※ 위 정보는 2022년 03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