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평가 문제>
키워드: 논증 요소, 논증하는 글, 주장, 객관적 자료인 근거, 근거를 바탕으로 주장, 반론과 이에 대한 반박, 글의 내용을 조직하는 활동, 연역, 귀납 등의 논증 방법, 타당한 근거(타당성), 설득 전략을 활용, 설득하는 글쓰기, 쟁점별로 논증 구성, 논리적으로 반박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38~42] (화법과 작문) (가)는 학생회 학생들의 대화(교훈 바꾸기)이고, (나)는 학생회 대표가 쓴 건의문
38. 대화 표현 전략 사용하기
39. 대화 내용 이해, 평가하기
40. 정보 전달 글쓰기 내용 조직하기
41. 정보 전달 글쓰기 표현 전략 사용하기
42. 정보 전달 글쓰기 내용 점검, 조정하기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43~45] 작문. 작문 상황과 이를 바탕으로 학생이 작성한 초고(학교 신문의 기고란에 기후 변화 대응과 관련된 글)
43. 설득 글쓰기 맥락 분석하기
44. 설득 글쓰기 내용 점검, 조정하기
45. 설득 글쓰기 자료, 매체 활용하기
2024학년도 9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4~7] (가)는 학생들이 ‘직업 소개’를 글감으로 하여 교지에 실을 글을 작성하기 위해 실시한 인터뷰(미술 심리 상담사), (나)는 이를 참고하여 ‘학생 1’이 작성한 글의 초고
4. 대화 내용 이해, 평가하기
5. 대화 내용 조직하기
6. 정보 전달 글쓰기 내용 조직하기
7. 정보 전달 글쓰기 내용 점검, 조정하기
2024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4~7] (가)는 토론의 일부(인공지능 판사를 도입해야 한다.), (나)는 토론에 청중으로 참여한 학생이 ‘토론 후 과제’에 따라 작성한 초고
4. 입론 이해하기
5. 반대 신문 이해하기
6. 내용 조직 파악하기
7. 고쳐 쓰기 계획 파악하기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1.17)
[43~45] 다음은 교지에 싣기 위해 학생이 작성한 초고(커피박)
43. 설득 글쓰기 내용 생성하기
44. 설득 글쓰기 내용 점검, 조정하기
45. 설득 글쓰기 자료, 매체 활용하기
2023학년도 11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작문] 작문 상황과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학생의 초고(우리 지역의 생활체육 활성화를 주장하는 글)
8. 글쓰기 계획의 반영 여부 파악하기
9. 자료 활용 방안의 적절성 파악하기
10. 조언에 따라 고쳐 쓰기
2022학년도 11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작문] 작문 상황과 이를 바탕으로 학생이 작성한 초고(지역 신문의 독자 기고란에 그린워싱과 관련해 주장하는 글)
8. 글쓰기 계획의 반영 여부 파악하기
9. 자료를 활용하여 초고를 보완하기
10. 고쳐쓰기의 적절성 파악하기
2022학년도 9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화법·작문] (가)는 학생회 누리집 게시판에 작성된 학생의 글이며, (나)는 (가)를 읽은 학생회 학생들의 회의
4. 작문 상황 파악하기
5. 건의문의 내용 조직 방식 파악하기
6. 회의 참여자의 역할 파악하기
7. 회의 참여자의 말하기 방식 파악하기
2020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8~10] (가)는 학교 신문에 실을 글을 쓰기 위해 학생이 작성한 메모(게임 중독세에 대한 입장), (나)는 이에 따라 쓴 초고
8. 글쓰기 전략
9. 비판적 관점에서 반박하는 글쓰기
10. 글의 내용을 점검하고 고쳐 쓰기
2020학년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8~10] 다운 패딩의 소재가 지닌 문제점을 지적하고, 패딩을 구입할 때 윤리적인 선택을 하자고 주장함<출처: 2018, 2019년 한겨레 신문 기사 외>
8. 작문 계획의 반영 여부 판단하기
9. 고쳐 쓰기의 적절성 판단하기
10. 자료 활용의 적절성 파악하기
2020학년도 3학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8~10] (가)는 작문 과제(확증 편향에 빠지지 않기 위한 방안), (나)는 (가)를 바탕으로 쓴 학생의 글
8. 내용 조직 전략의 적절성
9. 글쓰기 전략
10. 고쳐쓰기의 적절성
2019학년도 11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4~7] (가)는 학교 신문의 기사문(학교 신문의 내일을 위한 공개 토론회 개최), (나)는 공개 토론의 일부
4. 글쓰기 계획 파악하기
5. 초고 수정의 이유 파악하기
6. 토론의 논증 구성 방식 파악하기
7. 말하기 방식 파악하기
2019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8~10] 글을 쓰기 위해 (가)의 메모를 작성한 후, (나)의 자료를 수집하고 (다)를 작성(드론)
8. 글쓰기 전략
9. 자료 활용 전략
10. 비판적 관점에서 반박하는 글쓰기
2019학년도 9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8~10] 사회적 쟁점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주장하는 글을 쓰기(고궁 무료 관람 혜택 대상에서 퓨전 한복을 제외하자.)
8. 작문 전략 파악하기
9. 자료 활용하기
10. 반박의 적절성 파악하기
2019학년도 4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8~10] 글을 쓰기 위해 (가)를 작성(문화재 관리)한 후, (나)를 수집하고 (다)를 작성
8. 글쓰기 전략의 적절성 파악하기
9. 자료를 활용하여 주장을 뒷받침하기
10. 근거를 바탕으로 반박하는 글쓰기
2018학년도 11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8~10] 공공 미술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관하여 주장하는 글쓰기
8. 글쓰기의 전략 파악하기
9. 자료를 활용하여 초고를 보완하기
10. 고쳐 쓰기의 적절성
2018학년도 3학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8~10] (가)는 학교 신문에 기고한 학생의 글(여름방학 기간을 단축), (나)는 (가)를 읽은 후 다른 학생이 같은 신문에 기고한 반박 글
8. 글쓰기 계획에 따른 표현하기
9. 글쓰기 전략
10. 자료 수집, 활용의 적절성
2017학년도 11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4~6] 시사성 있는 내용의 제재를 찾아 주장하는 글쓰기(청년 창업)
4. 글쓰기의 전략 파악하기
5. 자료를 활용하여 초고를 보완하기
6. 조건에 맞게 표현하기
EBS 2025 만점마무리 봉투모의고사 BLACK Edition
[043~045] 작문 상황과 이를 바탕으로 학생이 작성한 초고(사회 문제와 관련해 주장하는 글을 쓰려 함)
EBS 2025학년도 수능 직전보강 클리어 봉투모의고사
[38~42] (가)는 반대 신문식 토론의 일부(딥페이크 규제)고, (나)는 토론에 참여한 반대 측 학생이 작성한 소감문의 초고
38. 토론 표현 전략 사용하기
39. 토론 맥락 분석하기
40. 토론 내용 조직하기
41. 정서 표현 글쓰기 맥락 분석하기
42. 정서 표현 글쓰기 내용 점검, 조정하기
EBS 2025학년도 수능완성 국어영역 독서·문학·화법과 작문
[01~03] 작문 과제와 작문 상황 그리고 이를 반영하여 학생이 작성한 초고(고전 문학 작품 읽기를 소재로, 청소년 독서에 관하여 주장하는 글 쓰기)
EBS 2025학년도 수능 특강 화법과 작문
[01~05] (가)는 교내 토론 대회에서 실시한 토론의 일부, (나)는 배심원으로 참여한 학생이 토론 내용을 참고하여 논제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쓴 글의 초고(대형 마트 의무 휴업제를 폐지)
EBS 2023학년도 FINAL 실전모의고사
[43~45] (가)는 학교 신문에 기고한 학생의 글(석식 급식 시간 변경)이고, (나)는 (가)를 읽은 후 다른 학생이 같은 신문에 기고한 반박 글이다.
EBS 2023학년도 수능 특강 화법과 작문
[09~011] (가): 글을 쓰기 위한 학생의 메모, (나):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학생의 초고(사회적 쟁점에 대해 학급 학생들에게 주장하는 글) - 설득 글쓰기 표현 전략 사용, 자료, 매체 활용, 내용 생성하기
2021. EBS 수능특강-화법과 작문
통합 9 (가)는 교내 토론 대회 장면의 일부이고, (나)는 이 토론 대회에 청중으로 참여한 학생이 논제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쓴 글의 초고
(2015 개정교육과정) EBS 올림포스 화법과 작문
2. 설득을 위한 작문
[1] 설득하는 글
[2] 비평하는 글
[3] 건의하는 글
[2016 EBS] 파이널 실전 모의고사
[16∼18] [인문] 논리학에서의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