峨冠大帶之士 (아관대대지사)
一旦睹輕箕小笠 飄飄然逸也 未必不動其咨嗟 (일단도경기소립 표표연일야 미필부동기자차)
長筵廣席之豪 (장연광석지호)
一旦遇疏簾淨几 悠悠焉靜也 未必不增其綣戀 (일단우소렴쟁궤 유유언정야 미필부증기권련)
人 奈何驅以火牛 誘以風馬 而不思自適其性哉 (인 내하구이화우 유이풍마 이불사자적기성재)
/菜根談 後集 67章
고관대작의 벼슬아치도
도롱이와 삿갓 쓰고 표연히 안일하게 지내는 농부와 어부를 보면
문득 탄식이 없을 수 없으며
백만장자 부호도
성근 발 앞의 책상에서 유연히 고요하게 지내는 사람을 한번 보면
그리워하지 않을 수 없으리라
세상 사람들은
어찌하여 화우(火牛)로 쫓고 풍마(風馬)로 유혹할 줄만 알고
그 천성에 자적함을 생각하지 않는가?
/채근담 후집 67장
첫댓글 안분지족하며 사는게 정신건강에 좋을듯요
부러우면 지는 건데요😶
맞는 말씀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눈으로 보이는 것(Visible)에만 신경쓰고
눈에 보이지 않는 것(Invisible)엔 신경을 거의 안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