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하강촌(長夏江村)
해 긴 여름날의 강가 마을이라는 뜻으로 한가하고 평화스런 모습을 의미하는 말이다.
長 : 길 장(長/0)
夏 : 여름 하(夊/7)
江 : 강 강(氵/3)
村 : 마을 촌(木/3)
출전 : 두보(杜甫)의 시 강촌(江村)
이 성어는 당(唐)나라 대시인 두보(杜甫)의 시 강촌(江村)에 나오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강촌(江村) 두보(杜甫)
清江一曲抱村流
長夏江村事事幽
맑은 강물 한 가닥 마을을 휘감아 흐르고, 강촌의 여름날 마냥 한가롭기만 하네
自去自來堂上燕
相親相近水中鷗
대들보 위의 제비 제멋대로 드나들고, 물 가운데 오리들은 정답게 어울렸네
老妻畫紙為棋局
稚子敲針作釣鉤
마누라는 종이에다 바둑판을 그리고, 아이는 바늘 두들겨 낚시를 만드네
多病所須唯藥物
微軀此外更何求
병약한 몸인지라 약이나 있으면 그만, 하찮은 신세 이밖에 더 바랄 것이 무엇이랴.
⏹ 장하강촌(長夏江村)
淸江一曲抱村流
長夏江村事事幽
맑은 강 굽이쳐 마을을 안고 흘러가는데 긴 여름 강 마을은 일마다 한가롭구나.
두보(杜甫)의 ‘강촌(江村)’ 첫 구절이다. 흔히 두보의 시를 시사(詩史)라고 한다. 한 편 한 편의 시가 당시의 사회적 현실과 민중의 삶을 적나라하게 잘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5년 전에 일어난 안녹산(安祿山)의 난은 번영을 구가하던 장안을 잿더미로 만들면서 나라를 위기로 빠트렸고, 두보 또한 가족과 헤어져 온갖 고생을 하다 우여곡절 끝에 가족을 이끌고 전쟁의 불길이 닿지 않는 사천(四川)의 성도(成都)에 와서 벗의 도움으로 편안한 거처를 짓고 안도의 한숨을 쉬게 되었다.
그 사이 구구절절 격정의 필치로 비참한 사회상과 고달픈 민중의 삶을 고발하던 두보의 시도 이 시기에 들어서는 모처럼 만에 부드러운 글투의 편안한 시로 바뀐다.
‘강촌’은 이 시기를 대표하는 명작이다. 첫 구절부터 맑고 아름다운 자연 풍광과 여름날의 한가로운 마을 분위기를 편안하게 서술하고 있다.
이어서 묘사되는 장면은 대들보 위에 자유롭게 오가는 제비와 물 위에서 가까워졌다 멀어졌다 하면서 노는 갈매기, 종이에 장기판을 그리는 늙은 아내와 바늘을 두드려 낚싯바늘로 만드는 어린아이의 모습이다. 참으로 한가롭고 여유로운 여름날의 풍경이 아닌가?
여름휴가가 한창이다. 많은 사람이 찌는 듯한 불볕더위와 그보다 더 치열한 생존경쟁의 전쟁이 이어지는 도심을 벗어나 산으로 강으로 바다로 떠나기를 원한다. 대자연 속에서 잠시나마 몸과 마음의 여유와 한가로움을 누리고 싶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자연 풍광 속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하는 일은 삶에 큰 활력을 준다. 긴 여름 중에 잠시나마 저 시의 풍경처럼 맑고 한가로운 정취를 마음껏 누리기를 기원하는 마음이다.
▶️ 長(길 장/어른 장)은 ❶상형문자로 仧(장),兏(장)은 동자(同字), 长(장)은 약자(略字)이다. 長(장)은 머리털이 긴 노인이 단장을 짚고 서 있는 모양으로, 나중에 노인이 전(轉)하여 나이가 위인 사람으로 관리(官吏)의 長(장), 또한 성장하다, 길게 자라다, 길다 따위의 뜻에 쓰였다. ❷상형문자로 長자는 '길다'나 '어른'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長자는 머리칼이 긴 노인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본래의 의미는 ‘길다’였다. 長자는 백발이 휘날리는 노인을 그린 것이기 때문에 후에 '어른', '우두머리'라는 뜻도 파생되었다. 長자는 부수로 지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용한자에서는 관련된 글자가 없다. 張(베풀 장)자나 帳(휘장 장)자에 長자가 쓰이기는 했지만, 長자가 부수로 지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長(장)은 (1)어떤 조직체(組織體)나 또는 부서 단위의 우두머리(책임자) (2)긴 기다란의 뜻을 나타내는 말 (3)오랜의 뜻을 나타내는 말 (4)길이 (5)늘 (6)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길다 ②낫다 ③나아가다 ④자라다 ⑤맏 ⑥어른 ⑦길이 ⑧우두머리 ⑨처음 ⑩늘 ⑪항상(恒常),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오랠 구(久),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어릴 유(幼), 짧을 단(短), 늙을 노/로(老)이다. 용례로는 좋은 점을 장점(長點), 긴 것과 짧은 것을 장단(長短), 목숨이 긺을 장수(長壽), 맏 아들을 장남(長男), 한 관청의 으뜸 벼슬을 장관(長官), 오랜 기간을 장기(長期), 장편으로 된 노래를 장가(長歌), 길게 내는 소리를 장음(長音), 어른과 어린이를 장유(長幼), 나이가 많고 덕이 많은 사람의 존칭을 장로(長老), 통나무를 길쭉하게 잘라서 쪼갠 땔나무를 장작(長斫), 오랫동안 깊이 생각함을 장고(長考), 아주 능한 재주를 장기(長技), 생물이 자라서 점점 커짐을 성장(成長), 모임을 대표하는 사람을 회장(會長), 집안의 어른을 가장(家長), 도와서 자라나게 한다는 조장(助長), 시간이나 물건의 길이 따위를 처음에 정한 것보다 늘이어 길게 함을 연장(延長), 위에 서서 집단이나 단체를 지배 통솔하는 사람을 수장(首長), 특별히 뛰어난 장점을 특장(特長), 오륜의 하나로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순서와 질서가 있음을 이르는 말을 장유유서(長幼有序), 길다란 목에 까마귀 부리 같이 뾰족한 입이라는 뜻으로 관상에서 목이 길고 입이 뾰족한 상을 이르는 말을 장경오훼(長頸烏喙), 오래 서서 분부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권문세가에 빌붙어 이익을 얻고자하는 사람을 조롱해 이르는 말을 장립대명(長立待命), 긴 눈과 날아다니는 귀라는 뜻으로 옛일이나 먼 곳의 일을 앉은 채로 보고들을 수 있는 눈이나 귀 곧 서적을 이름 또는 사물을 날카롭게 관찰하고 널리 정보를 모아 잘 알고 있음을 이르는 말을 장목비이(長目飛耳), 길고 짧음은 상대적 관계에서 비교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을 장단상교(長短相較), 멀리 불어 가는 대풍을 타고 끝없는 바다 저쪽으로 배를 달린다는 뜻으로 대업을 이룬다는 말을 장풍파랑(長風波浪), 소매가 길면 춤을 잘 출 수 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함에 있어서도 조건이 좋은 사람이 유리함을 일컫는 말을 장수선무(長袖善舞), 날이 새도 창을 가리고 불을 켜놓은 채 며칠이고 계속하는 술자리를 일컫는 말을 장야지음(長夜之飮), 길고도 긴 봄날을 일컫는 말을 장장춘일(長長春日), 사업의 오랜 계속을 도모하는 계획을 일컫는 말을 장구지계(長久之計), 길게 뻗친 숲의 깊은 곳을 일컫는 말을 장림심처(長林深處), 오랫동안 살아 죽지 아니함을 일컫는 말을 장생불사(長生不死), 늘 길거리에 모여 있으면서 뜬 벌이를 하는 막벌이꾼을 일컫는 말을 장석친구(長席親舊), 누운 채 일어나지 못함을 일컥는 말을 장와불기(長臥不起), 먼 장래의 계책이라는 말을 장원지계(長遠之計), 긴 줄로 해를 붙들어 맨다는 뜻으로 시간의 흐름을 매어 멈추게 하려는 것 즉 불가능한 일을 이르는 말을 장승계일(長繩繫日), 장자의 일만 개의 등이라는 뜻으로 불교에서 부자가 신불에게 일만 개의 등을 올리는 반면에 가난한 여인은 단 하나의 등을 바치지만 그 참뜻만 있으면 가난한 여인의 한 등이 장자의 만등에 못지 않다는 말을 장자만등(長者萬燈), 부자는 3대까지 가기 어렵다는 말 곧 아버지가 고생해서 재산을 만들고 그것을 보고 자란 아들인 2대는 그것을 잘 지키지만 3대인 손자는 생활이 사치하여 마침내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이룩한 가산을 탕진하는 예가 많음을 이르는 말을 장자삼대(長者三代), 긴 베개와 큰 이불이라는 뜻으로 긴 베개와 큰 이불은 함께 누워자기에 편하므로 형제 간에 우애가 두터움을 이르는 말을 장침대금(長枕大衾) 등에 쓰인다.
▶️ 夏(여름 하, 개오동나무 가)는 ❶회의문자로 頁(혈; 큰머리)과 절구구변(臼; 절구; 깍지끼다)部, 천천히걸을쇠발(夊; 천천히 걷다)部의 합자(合字)이다. 탈을 쓰고 춤추는 모양, 크고 훌륭하다, 중국 사람이나 중국을 가리킨다. 여름의 뜻으로 쓰게 된 것은 여름에 지내는 제사 때 춤추는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❷회의문자로 夏자는 ‘여름’이나 ‘중국’을 뜻하는 글자이다. 夏자는 頁(머리 혈)자와 夊(천천히 걸을 쇠)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夏자의 금문을 보면 頁자에 손과 발만 함께 그려져 있었다. 夏자는 본래 중국 한족(漢族)의 원류인 화하족(華夏族)을 뜻했던 글자였다. 하(夏)나라는 기원전 2,070~1,600년경 우왕(禹王)이 세운 중국의 고대 왕조를 말한다. 상(商)나라 이전 수백 년간 존재했다고 기록된 나라다. 하나라를 중국의 시초로 보기 때문에 지금도 夏자는 중국이나 중국인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夏자가 왜 ‘여름’을 뜻하게 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화하족의 문화와 관련됐거나 단순히 여름을 뜻하기 위해 글자를 빌려온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그래서 夏(하)는 (1)승려(僧侶)가 된 뒤로부터의 나이를 셀 때에 쓰는 말 (2)중국 은(殷)나라 이전에 있었다고 하는 최고의 왕조(王朝). 치수(治水)에 공로가 있는 우(禹)가 순제(舜帝)로부터 왕위(王位)를 물려 받아 세운 나라. 서울은 안읍(安邑). 폭군 걸왕(桀王)이 은(殷)의 탕왕(湯王)에게 망할 때까지 17세(世). 439년간을 누렸음 (3)대하(大夏) (4)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여름 ②중국 ③하(夏)나라(우왕(禹王)이 세운 고대 왕조) ④중국(中國) 사람 ⑤춤의 이름 ⑥안거(安居: 외출하지 않고 한곳에 머무르면서 수행하는 제도) ⑦오색의 배색 ⑧채색(彩色) ⑨우왕(禹王)이 만든 약칭 ⑩크게 지은 건물 ⑪크다 그리고 ⓐ개오동나무(가) ⓑ회초리(가)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겨울 동(冬)이다.용례로는 여름철을 하계(夏季), 여름과 겨울을 하동(夏冬), 물벼룩 따위가 여름철에 걸쳐서 낳는 알을 하란(夏卵), 음력 7월을 달리 이르는 말을 하반(夏半), 옛 중국 우왕을 달리 일컫는 말을 하백(夏伯), 여름밤을 하야(夏夜), 여름 경치를 하경(夏景), 여름철 또는 여름의 기간을 하기(夏期), 여름 옷을 하복(夏服), 여름철을 하시(夏時), 여름 날을 하일(夏日), 여름에 익어서 거두는 곡식을 하곡(夏穀), 여름철에 내리는 비를 하우(夏雨), 여름철의 구름을 하운(夏雲), 여름에 치는 누에를 하잠(夏蠶), 24절기의 하나인 하지(夏至), 여름의 서늘한 베옷과 겨울의 따뜻한 갖옷이란 뜻으로 곧 격에 맞음을 이르는 말을 하갈동구(夏葛冬裘),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라는 뜻으로 아무 소용 없는 말이나 재주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또는 철에 맞지 않거나 쓸모없는 사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하로동선(夏爐冬扇), 여름날 산에 비구름이 모임을 이르는 말을 하산욕우(夏山欲友), 여름철에도 서리가 내림을 일컫는 말을 하월비상(夏月飛霜), 여름의 벌레는 얼음을 안 믿는다는 뜻으로 견식이 좁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하충의빙(夏蟲疑氷),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된 자로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을 동온하정(冬溫夏凊),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이 된다는 뜻으로 동충하초과의 버섯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동충하초(冬蟲夏草) 등에 쓰인다.
▶️ 江(강 강)은 ❶형성문자로 冮(강)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工(공, 강; 크다)으로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江자는 '강'이나 '양쯔강'을 뜻하는 글자로, 水(물 수)자와 工(장인 공)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工자는 땅을 단단하게 다지던 도구인 '달구'를 그린 것이다.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범람하는 강을 다스리기 위해 둑을 쌓는 치수(治水) 사업을 했었다. 그러니 江자에 쓰인 工자는 흙을 높이 쌓아 물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쓰인 것이라 할 수 있다. 江자는 본래 양쯔강으로도 불리는 중국의 장강(長江)을 지칭하던 글자였다. 예를 들면 중국 상서(尙書)에서는 민산도강(岷山導江)이라 하여 민산(岷山)에서부터 양쯔강(江)까지 물길을 잘 다스렸던 우 임금의 업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여기서 江자는 '양쯔강'을 이르던 말이다. 그러나 지금의 江자는 큰 하류를 통칭하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江(강)은 ①강, 큰 내 ②양자강(揚子江) ③나라의 이름 ④별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내 천(川), 물 하(河), 바다 해(海), 시내 계(溪), 물 수(水),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메 산(山), 큰산 악(岳)이다. 용례로는 강과 산을 강산(江山), 강의 남쪽을 강남(江南), 강의 북쪽을 강북(江北), 강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강풍(江風), 강물이 흐르는 가에 닿는 땅을 강변(江邊), 강물의 흐름을 강류(江流), 강에서 나는 모래를 강사(江沙), 강 기슭을 강안(江岸), 물 줄기가 길고 큰 강을 장강(長江), 강물에 던짐을 투강(投江), 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떨어져 있음을 격강(隔江), 강물을 건넘을 도강(渡江), 가까운 곳에 있는 강을 근강(近江), 큰 물이 넘치는 것을 막거나 물을 저장하려고 돌이나 흙 따위로 막아 쌓은 언덕을 방강(防江), 맑게 흐르는 강을 청강(淸江), 세상을 피하여 자연을 벗삼아 한가로이 지내는 사람을 이르는 말을 강호지인(江湖之人), 자연을 벗삼아 누리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을 강호지락(江湖之樂), 마음 내키는 대로 돌아다니며 사는 사람을이르는 말을 강호산인(江湖散人), 학문이 두각을 나타낸 후 퇴보하는 것을 뜻하는 말을 강랑재진(江郞才盡), 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잔물결 또는 산수의 좋은 경치를 일컫는 말을 강호연파(江湖煙波), 강산은 늙지 않고 영구 불변이라는 뜻으로 불로장생을 비는 말을 강산불로(江山不老), 강과 산 그리고 바람과 달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경치를 일컫는 말을 강산풍월(江山風月), 강산의 도움이란 뜻으로 산수의 풍경이 사람의 시정을 도와 좋은 작품을 만들게 함을 이르는 말을 강산지조(江山之助), 조선시대에 속세를 떠나 자연을 벗하여 지내면서 일어난 시가 생활의 경향을 일컫는 말을 강호가도(江湖歌道) 등에 쓰인다.
▶️ 村(마을 촌)은 ❶형성문자로 邨(촌)은 고자(古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 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寸(촌)으로 이루어지며, 나무의 이름, 음(音)을 빌어, 邨(촌)의 뜻으로 쓰인다. 邨(촌)은 마을의 뜻인 邑(읍)과 음(音)을 나타내며 동시(同時)에 모이다의 뜻을 가지는 屯(둔)으로 이루어졌다. 사람이 모이는 마을의 뜻이다. ❷형성문자로 村자는 ‘마을’이나 ‘시골’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村자는 木(나무 목)자와 寸(마디 촌)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寸자는 손가락의 마디를 뜻하지만, 씨족집단으로 구성된 농촌사회를 뜻하기도 한다. 그런데 소전까지만 하더라도 屯(진 칠 둔)자와 邑(고을 읍)자가 결합한 邨(마을 촌)자가 ‘마을’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邨자는 ‘마을에 주둔하다’라는 뜻이었다. 하지만 해서에서부터는 ‘씨족 공동체’라는 의미의 村자가 ‘마을’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村(촌)은 도시(都市)에서 떨어진 마을. 부락(部落). 시골의 뜻으로 ①마을 ②시골 ③농막(農幕: 농사짓는 데 편리하도록 논밭 근처에 간단하게 지은 집) ④촌스럽다 ⑤꾸밈이 없다 ⑥야비하다(성질이나 행동이 야하고 천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동네 방(坊)이다. 용례로는 촌에 이루어진 부락을 촌락(村落), 촌백성을 일컫는 말을 촌민(村民), 한 마을의 일을 맡아보는 촌의 우두머리를 촌장(村長), 시골에서 사는 백성을 촌맹(村氓), 시골 마을에 있는 집을 촌가(村家), 시골에서 사는 노인을 촌로(村老), 시골에 사는 남자를 촌부(村夫), 살림집 밖에 시골에 따로 장만해 두는 집을 촌장(村庄), 농토를 끼고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사는 마을을 농촌(農村), 산 속에 있는 마을을 산촌(山村), 강가에 있는 마을을 강촌(江村), 고기잡이들이 모여 사는 마을을 어촌(漁村), 마을을 일컫는 말을 방촌(坊村), 같은 마을 또는 그 마을을 동촌(同村), 동쪽 마을을 일컫는 말을 동촌(東村), 가로를 따라 집이 길게 줄지어 늘어선 촌락을 가촌(街村), 시골의 마을을 향촌(鄕村), 양반이 많이 사는 동네를 반촌(班村), 사는 마을을 거촌(居村), 가까운 마을을 근촌(近村), 논밭이 황폐한 가난한 마을을 난촌(難村), 집들이 한 곳에 모여 있거나 열을 지여 빽빽이 모인 마을을 집촌(集村), 마을에 들어감을 입촌(入村), 갈라져 나간 마을에 대하여 주가 되는 마을을 본촌(本村), 부자가 많이 사는 마을 또는 부유하게 살아 가는 마을을 부촌(富村), 가난한 사람이 많이 사는 고을을 빈촌(貧村), 가난하고 쓸쓸한 마을을 한촌(寒村), 인가들이 한곳에 모여 있지 않고 사방으로 흩어져 있는 마을을 산촌(散村), 도시에서 떨어진 외딴 마을을 변촌(邊村), 넓은 터를 가운데 두고 그 둘레로 집이 고리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마을을 환촌(環村), 촌닭 관청에 간 것 같다는 속담의 한역으로 경험이 없어서 어리둥절하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을 촌계관청(村鷄官廳), 농촌을 떠나 도시로 향한다는 뜻으로 산업화로 인해 농촌의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을 이촌향도(離村向都), 한 집안 끼리 또는 뜻이 같이하는 사람끼리 하나의 마을을 이룸을 일컫는 말을 자작일촌(自作一村), 한 군데도 빼놓지 아니한 모든 곳을 이르는 말을 면면촌촌(面面村村), 산에 따른 마을과 물에 면한 마을을 일컫는 말을 산촌수곽(山村水廓), 가난한 마을과 궁벽한 땅을 이르는 말을 궁촌벽지(窮村僻地), 산간 지대의 궁벽한 마음을 일컫는 말을 산간벽촌(山間僻村), 아무렇게나 지은 시골집을 일컫는 말을 야옥촌사(野屋村舍)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