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가지수
1) 코스피
- 3,001.66 (-0.28%)
- 개인 -3,654억, 외국인 -1,374억, 기관 +4,683억
2) 코스닥
- 1,005.96 (-0.55%)
- 개인 +1,845억, 외국인 -693억, 기관 -946억
- 코멘트: 코스피·코스닥 오후 들어 하락전환 / 코스피 장중 외인 매도 전환에 상승폭 반납 / 코스피 기관 전기전자, 운수장비 업종 매수 / 반면 개인은 전기전자, 외인은 서비스 업종 위주 매도 / 코스피 의료정밀, 운수창고 업종 강세 / 코스닥 개인 홀로 IT소프트웨어, 디지털컨텐츠 업종 매수 / 코스닥 인터넷 업종 및 인포뱅크 강세에 통신서비스 업종 부각 / 원달러 환율은 0.04% 내린 1180.80원 마감
2. 주요 이슈
1) 올해 수출 신기록 경신..年 6400억 달러 전망
- 13일 수출액 6049억 달러 돌파..사상 최대 기록 경신
- 메모리 반도체, 조선 수주량 1위..바이오·농수산도 약진
- 정부 올해 수출액 6400억 달러 돌파 전망
2) 내년 증시, 7년 전과 닮은꼴
- 내년 증시 美 기준금리 인상한 '16년과 비슷한 흐름
- 中 지준율 인하 발표..당시 中 통화정책도 닮은꼴
- 국내 증시도 '16년 데자뷔 전망..반도체·철강·조선·은행↑
3) 美 S&P500 상장사 자사주 매입 역대 최대
- 3분기 S&P500 기업 자사주 매입 규모 2345억 달러
-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이 美 증시 랠리 이끌어
- WSJ "4분기에는 3분기보다 더 많은 자사주 사들일 것"
4) 조기 금리인상 조짐에 은행주 부각
- KRX은행지수 전일대비 09% 오른 774.77
- 금리 인상기에 예대마진 높아져 수익성 개선 기대감
- BoA, 웰스파고, JP모건 등 글로벌 은행주 매수 의견↑
5) 비상장 주식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 증가
- K-OTC 거래액 '14년 2200억→올해 11월말 1.3조
- 先학개미 주류는 MZ세대..대규모 IPO가 관심 일으켜
- 수익의 한계 있는 공모주 특성에 비상장 주식 관심↑
3. 내일 주요 일정
- 11월 수출입물가지수
- 홍남기 부총리-베트남 경제부총리 면담
- 韓-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 타결
- 산업부 11월 ICT 수출입 동향
- KT-KISDI 국제 컨퍼런스 개최
- 美, 11월 생산자물가지수
- 美, 공급관리협회 반기 경제 전망
- 美, 11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
- 日, 10월 산업생산
- 英, BOE 금융안정보고서
4. 강세업종
1) 코로나19
- 코로나19 유행 위험도 3주 연속 '매우높음' 단계
- 정부 "감당 불가 비상상황 경고..방역대책 강화 불가피"
- 위중증 환자수 최다..음압병실, 재택근무, 진단키트株 부각
- 상승 종목: 엔브이에이치코리아, 바이오니아, 씨젠, 랩지노믹스, GH신소재 등
2) 지능형 로봇·인공지능
- 삼성전자 가정용 로봇 상용화 본격 추진에 관련주 부각
- 삼성전자, AI와 로봇 등 3년 간 240조 신규 투자 계획
- 로봇 분야 유망 기업 인수 관측설에 관련 종목 관심
- 상승 종목: 유진로봇, 로보티즈, 휴림로봇, 에스피시스템스, 로보스타 등
3) 스마트카·자율주행, 스마트폰 카메라
- 애플카와 협력 기대감에 관련주 부각
- KB證 "애플카 주요 부품 공급업체 선정 시작 추정"
- 자율주행 구현에 카메라 필수 요소로 꼽혀..관련주 상승
- 상승 종목: 인포뱅크, 하이비젼시스템, 한국테크놀로지, 나무가, 동운아나텍 등
5. 특징주
- 한국테크놀로지: 싱가포르에 블록체인 자회사 설립 소식에↑
- 국동: 관계사 휴맵 마우스 배아줄기세포 개발 성공에 강세
- 모베이스: 40억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에 급등
- 오션브릿지: 반도체 사업 및 2차전지 시장 진출 기대감 분석에↑
- 카페24: 日 대형 직구몰과 연동 소식에 상승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