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한미군 ‘501 정보여단’과 NSA 한국지부 ‘서슬락’(SUSLAK)
김대중의 집무실은 안전한가, 주한미군 전자 도청부대 501 (오마이뉴스 2000. 02. 22)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01158
왜 지금 김 대통령 집무실에 대한 도청 여부를 논하는가
당신의 안방이 누군가에 의해 도청당하고 있다면 당신은 신경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한국의 안방은 청와대다.
김대중 대통령의 집무실은 과연 도청으로부터 안전한가.
『뉴욕타임스』는 지난 1977년에 미국의 청와대 도청을 보도하면서 도청의 중요한 이유를 "남북한간에 어떤 비밀흥정을 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 이라고 밝혔다. 주한미군 정보에 밝은 한 예비역 대장은 "6공 때 노태우-김일성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려는 은밀한 작업이 미군 첩보부대에 의해 '적발'돼 미국의 강력한 압력을 받고 무산됐다"고 말한 적이 있다.
미국은 2차대전 때부터 중요통신을 도청하는데 탁월했다. 1993년 8월 15일 비밀 해제된 미국 정부의 문서는 그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마법의 가로채기'(Magic Intercept) 라고 불리는 8백 쪽 분량의 이 문서는 당시 미국첩보원들이 적국과 우방국을 가리지 않고 중요 전신을 가로챘음을 보여준다. 이 문서엔 일본군부가 히로시마 원폭투하 전부터 항복을 고려하고 있었고 미국도 이를 알고 있었으면서 투하했다는 충격적인 사실까지 포함돼 있다.
주한미국 정보기관 중 한반도 전자감청(도청)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주한미군 501-MI여단의 정체를 밝혀보자.
1951년부터 활약, 한때 1천6백여 명
주한미군 501여단의 정식명칭은 501st Military Inteligence Group(501 군사정보단)이다. 통칭 MI 라고도 부른다.
501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100일 만인 1950년 10월 13일 본부와 본부중대가 구성되면서 탄생됐다. 이 때의 정식명칭은 501통신정찰단(501st Communication Reconnaissance Group). 일주일 후인 50년 10월 20일 미국 버지니아주의 캠프 피케트에서 처음 가동될 때 501은 ASA에 배속되었다. 군사안보국 ASA(Army Security Agency)는 국가안보국인 NSA(National Security Agency)의 예하로 NSA의 영역 가운데 군관련 정보를 담당해왔다.
한국에 파견되기 위해 캠프 피케트에서 7개월간 훈련한 501은 1951년 5월 29일 캘리포니아의 캠프 스톤맨으로 이동했고, 한국전쟁 발발 1주년인 1951년 6월 25일 드디어 부산항에 도착했다.
501이 서울 가회동의 임시본부에 도착한 것은 1951년 7월 13일이었다. 임시본부는 벽돌로 만들어진 2층 가정집을 사용했는데 곧 지금의 정독도서관인 화동의 경기중학교 건물로 옮겼다.
전쟁이 끝나자 501은 한국에 먼저 나와 있던 모든 ASA 부대들을 통제하기 시작하면서 명실상부한 주한미군 정보기관의 대표가 되었다. 501은 한국전쟁중에 주한미군의 각 전술부대에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그 조직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501은 몇 차례의 변신을 거쳐 오늘의 MI가 된다. 1956년에 501st ASA Group으로 됐다가 1978년 1월 1일을 기해 501st MI Group이 된 것이다.
501-MI의 주력은 캠프 코이너(Camp Coiner)에 있다. 본부는 80년대 말까지 남영동 용산고등학교 옆에 있었으나 현재는 용산미군기지 바로 옆 보광동에 있다.
501의 규모가 현재 어느 정도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4개 대대라는 보도도 있으나 확인할 수는 없다. 주한미군 관련자료에 의하면 1953년 전쟁 직후 501은 3개의 대대와 5개 중대로 구성돼 있었는데 장교와 사병을 합쳐 1천6백여 명이 넘었다고 한다.
현재에도 그 규모에 있어 전쟁 직후와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이다. 501여단의 주력 대대의 하나인 751대대는 평택에 있다. 이 대대는 초대사령관의 이름을 따 주클러대대라고도 불린다.
501은 주한미국 정보기관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이해하려면 미국 정보기관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미국 정보기관의 두 축은 CIA와 NSA이다. CIA가 미국의 여러 정보기관을 통합·조정하는 것인 반면, NSA는 보다 특수한 영역인 약호·통신·전자 정보의 수집 및 해독을 주임무로 한다. 두 기관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501은 전술정보뿐 아니라 전략정보까지 취급한다는 면에서 볼 때 그 출발이 NSA의 하부기관이었고, 그것을 중요업무로 하지만 CIA의 영역까지 포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남북이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고 한국 현대사에서 군이 줄곧 제1의 파워집단이었다는 한반도의 현실이 501의 영역을 자연스럽게 확장시켰을 것이다.
501의 부서 구성은 NSA의 구성을 통해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NSA는 10개의 중요부서로 구성돼 있다. NSA 서열 1위이고 최대의 단일부서인 암호첩보작전부는 도청과 암호해독을 전담한다. 이 밖에 전신컴퓨터부, 통신보안부, 연구기술부, 시설병참부, 계획정책부, 계획재정부, 종합고문부, 암호학교 등이 있다.
NSA를 총체적으로 소개한 최초의 노작은 제임스 벰포드가 쓴 『수수께끼의 궁전』(1993) 이다. 벰포드가 "자본주의 세계 최초의 단일 스파이 도청기관"이라고 표현한 NSA는 1952년 11월 4일 정식으로 탄생됐다. 1959년에 만들어진 NSA 법은 'NSA의 기능, 활동, 인원, 직원 이름, 직함, 봉금은 밝힐 필요가 없다'고 돼 있다.
NSA는 세계 도처 4,120개소에 24시간 체제의 전파 방수(傍受) 기지를 설치해두었다. 마이크로파와 위성이라는 두 개의 혁명이 NSA의 능력을 극대화시켰다. 5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직원 중에는 세계 50여 개의 외국어를 청취·번역하기 위한 미국 최고의 외국어 전문가 집단도 포함돼 있다.
통신감청(도청)이 주 임무인 '주한미군 CIA'
한국 속의 NSA라 할 수 있는 501이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그간의 보도는 이런 정도가 전부이다.
"(주한미군 정보기관 가운데) 501은 주로 대북 관계의 전투·전략정보 수집에 종사하고 있다. 한국에서 활동한 역사가 가장 오래고 한때는 한국군부와 정치에 관련된 활동도 했었다."(『월간조선』, 1988. 08)
한국군부와 정치에 관련된 활동은 과연 '한때'만 하고 손을 뗐는가.
501은 통신감청만을 하는 것이 아니다. 국내외에서 발행되는 한반도 관련 일간지·잡지·서적을 분석하는 일과 '적색분자', 귀순자에 대한 심문 등 '정보'의 모든 영역을 담당한다.
그래서 501을 주한미군 CIA라고 이해해도 좋을 것이다. CIA 요원이 외국에서 활동할 때 미군이나 미대사관·미상공회의소 직원 등으로 위장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일이다. 501은 주한 CIA의 안전한 활동공간으로 이용되기에 더없이 좋은 곳일 수 있다. 한 주한미군 정보관계자는 501이 CIA의 통제를 받으며 정기적으로 CIA 자료를 건네주고 있다고 했다.
501 요원들 중에는 일정 기간 근무 후 주한미대사관의 정보관으로 자리를 옮기는 이들도 있다. 물귀신이란 별명을 가졌던 한 미군 하사관도 그런 경로를 거쳤다.
501이 현존하는 주한미군 정보기관의 대표격이라 할 때 그의 활약상을 짐작케 하는 전례를 미군정시 주한미군 정보기관이었던 G-2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방선주 교수(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는 G-2가 정보원(情報源)과 접촉하여 정보를 생산하는 방식을 다섯 가지로 분류했다. 암호해독과 통신검열 각종간행물 입수·분석, 친미인사들과의 접촉, 포로·피난민 심문 현지답사 및 여론조사.
방교수는 특히 G-2의 통신검열대에 주목했는데 미군 15명 미만, 한인 2백 명 미만으로 구성된 검열대는 이때부터 전화도청을 했다고 한다. 당시 미국의 한 한국경제 담당관은 "우리는 남한경제의 골격을 알고 있었으나 이 부대는 여기에 피와 살을 제공하였다"고 이 검열대의 공적을 평했다. (『한국현대사와 미군정』, 한림대, 11쪽)
501 요원들은 통신감청을 주요임무로 하기 때문에 한국에 오기 전에 대부분 미국 특수언어 학교에서 1년간 한국어교육을 받는다. 한국에 와서도 '특별한 사람들'은 한국여자와 결혼해 언어를 습득하고, 대학교 부설 한국어학당에 다니기 때문에 한국말을 유창하게 하고 알아듣는다. 연세대 한국어학당 501 요원들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곳이다. 연세대가 발행한 『연세요람』(1988, 562쪽)에 의하면 연세어학당은 주한미대사관과의 계약에 의해 1959년부터 1987년까지 566명의 미대사관직원들을 교육시켜온 것으로 돼 있다. 이들 직원 중에 501 요원들이 포함돼 있었을 가능성은 적지 않다.
그러나 그들이 아무리 한국어를 열심히 배운다고 하더라도 감청과 도청의 언어권은 교과서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그들만으로 501을 운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한국인 501요원은 6·25전쟁 때부터 있었다. 당시 그들이 한 달 월급으로 쌀 40가마를 살 수 있었다고 하니 요즘 시세로 치면 520만 원이라는 고액을 받은 셈이다.
손원일-렘니저의 1956년 극비 협약으로 한국군(인) 활용 가능
CIA가 안기부와 1962년에 정보교환 협정을 맺었듯이 501도 그들의 원활한 정보활동을 위해 한국군 파트너를 필요로 했다. 그 필요를 구조적으로 해결해준 것이 1956년 1월 10일 한미양국간에 체결된 협정이다. 이 협정에 의해 국방부 직할부대인 7235부대가 창설·유지돼왔다. 그러나 이 협정은 아직 그 이름조차 알려져 있지 않다. 협정의 내용과 이름은 군사 1급비밀로 분류돼 있고 그것을 볼 수 있는 한국인은 국방부장관과 7235부대장에 한한다.
이름 모를 이 협정을 체결한 사람은 미국 극동군사령관 렘니저(Lemnizer)와 한국 국방부장관 손원일이었다. 당사자가 손원일 장관이었다는 것이 우연이었는지 미국의 선택이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미국이 손장관을 매우 친미적인 인사로 평가하면서 예의주시해왔던 것만은 사실이다.
미국무성의 정기 비밀정보 보고서 「Intelligence Report」1960년 7월 14일자는 「이승만 이후 남한의 새 지도자들」이란 제목이다. 여기엔 허정, 정일권, 이종찬 등 정계와 군부의 실력자 47인에 대한 평을 싣고 있는데 손원일에 대해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해군중장인 손원일은 해군총장(1948∼53)과 국방장관(1953∼56) 직을 탁월하게 수행했다. 그는 이기붕과 친했고 이승만 지지자였으나 그들에게 무조건 복종하지는 않았다. 그는 이승만 정권이 온건한 정책을 택하도록 영향력을 발휘했는데 52년 정치파동 때는 무력진압에 반대했다. 국방장관에서 물러난 것은 그가 금융부정에 연루됐다는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 나온 뒤였다. 그는 이성적이고 지적이고 분별 있는 사람으로 일컬어진다. 불확실해 보이는 건강(신장염?) 만 아니라면 그는 앞으로 주미한국대사를 맡기에 적격이다. 그는 미국에 매우 우호적이고(very friendly to US) 강력한 반공주의자다."
여하튼 이 역사적인,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앞으로도 당분간 알려지지 않을 협정을 모체로 하여 501은 한국군(인)을 501요원으로 끌어다 쓸 수 있게 되었다. 그것이 바로 미국NSA 국장과 국방부 7235부대장간에 체결된 '한미 특수번역 및 전사지원협정' 이다. 1975년에 제정되고 85년에 개정된 이 협정은 군사 2급비밀로 관리되는데, 501에 지원되는 한국군(인) 요원의 신분관리, 책임한계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501은 1975년 이 협정이 맺어지기 전까지 스스로 한국인 요원들을 채용했다. 그들 중에는 아직도 현직에 남아 있는 이들이 많은데 CMS라 불린다. 501이 이 땅에 처음 들어올 때부터 뽑혀가기 시작한 이들 CMS 들이 어떤 절차와 심사를 거쳐 501 인사과에 의해 채용됐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1975년 협정 이후 501은 필요한 한국인 요원을 국방부 7235부대를 통해 뽑았다. 이들 요원들은 MND 라 불린다. 501이 MND 를 선발하면서 7235와 어떤 밀약(협정)을 했는가는 최근 진행중인 두 재판을 통해 그 일각이 알려지고 있다. MND 요원이었다가 '해고' 당한 정재명 씨와 이상기 씨가 "우리는 속았다" 면서 국방부에 소송을 제기, 밀약의 껍질을 하나둘씩 벗겨내고 있다.
미군 501요원의 권위와 '고용'된 한국인의 신세
이들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협정의 내용 중에는 △한국 국방장관의 승인하에 군무원 인사법에 따라 뽑되 △한국 군부대 군무원의 정원에 속하지 않으며 △미측의 요구에 따라 적격자를 채용하며 △보수는 미측에서 부담하고 △미측이 근무해제 여건 발생으로 감원을 요구하면 국방부는 군무원 인사법령에 따라 직권면직시킨다고 돼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방장관 명의의 공채시험(일간지 정식공고)에 응시했던 MND 들은 나중에야 자신이 한국군 군무원도 아니고 미군 군무원도 아닌, 공무원법과 근로기준법의 보호도 못 받고 결국 연금도 못 받는, 오로지 그저 501의 MND 요원 신세일 뿐이라는 것을 확인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임용에 관한 모든 것이 군사기밀", "당신들은 비노출 신분"이라는 상관들의 말에 그저 죽어지내 왔다는 것이 두 사람의 주장이다.
MND의 급여는 미국 NSA에서 나온다. 501을 위해 일하는 이들이 NSA와 7235의 밀약에 의해 탄생됐고 이들의 월급이 NSA에서 나온다는 사실은 '한국 안의 NSA'와 501여단이 그 임무와 조직에 있어 상당히 겹치고 있음을 알려준다.
반면 CMS는 501여단으로부터 직접 급여를 받는데 그 액수가 MND의 배에 가깝다. 한미행정협정은 17조에서 미군이 한국에서 한국노동법을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인 미군무원'인 CMS 들은 MND가 받지 못하는 노동법의 보호도 받고 있다.
과연 그것이 일반적 분위기인가는 확인할 순 없지만 한 전직 MND는 501안에 미군-CMS-MND간의 '계단식 아부'가 굳어져 있다고 했다.
"MND" 들은 그들의 조장 노릇을 하는 CMS 들에게 잘 보이려 한다. 또 CMS 들은 미군 사병이나 장교들에게 잘 보이려고 애쓴다. 국방부에 의해 정식으로 3, 4, 5급 군무원으로 채용된 MND 들이 새파란 미군들에게 쩔쩔매고 있다. 예컨대 회식을 할 때도 MND와 CMS는 회비를 내지만 미군은 사병이라도 항상 공짜였다. 미군들도 2, 3차까지 당연히 공짜로 먹는 것이 몸에 배어 있다.
1985년 12월, 4급 군무원 신분인 나는 일개 미군 하사관에 징계를 받는 일이 있다. 징계심사의 주심은 미군 하사관이었고 그의 양 곁에는 두 명의 CMS가 앉아서 나를 심사했다. 나는 그때 상당한 모욕을 느꼈다. 몇 년 후 그 미군은 이임하면서 나에게 '그땐 미안했다' 면서 '그동안 CMS들이 나에게 무척 아부했다'고 말했다."
501의 한국인 활용 방법은 MND나 CMS로 요원화하는 것만이 아니다. 보다 조직적이고 쉬운 방법은 그의 한국군 파트너인 국방부 7235부대 자체를 활용하는 것일 것이다. 7235부대의 일부 부대원들은 현재 봉급 수령시 '정보비' 명목의 '을종수당'을 미군측으로부터 받는다고 한다. 그것이 어떤 명목이든 국방부 직할부대가 미군측으로부터 받는다는 것은 '특이점'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7235부대는 7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아예 부대 자체가 미군 예하에 배속돼 있었고 사병 월급까지도 미군측에서 부담했었다.
7235는 이용주 부대라고도 불렀다. 국방경비대 3기인 이용주 장군이 박정희 시대 내내 19년간 7235부대 책임자를 지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었다. 그 후 김용금·오자복·김신배·이상수·윤학렬·최준식·최권영 장군 등이 이 부대를 맡았다. 501요원으로 잔뼈가 굵은 미군 고위층 중에는 7235부대의 '고문' 으로 '고용'되는 이들도 있다.
501의 도청 솜씨와 청와대를 꿰뚫는 전파
박정희 시대에 청와대를 도청한 것이 NSA 짓이냐 CIA 짓이냐 하는 것에 대해 한때 한국언론이 관심을 가진 적이 있다. 그러나 주한 미국 정보기관들은 유기적으로 연관돼 있기 때문에 그것은 우문일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501의 도청 솜씨가 어느 정도인가라는 것도 CIA의 도청 능력을 다뤄온 기존의 글들과 별다를 수 없다.
501 취재에서 재확인한 것은 한반도에서 나오는 모든 말은 도청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1993년 10월 국정감사에서 이윤수 의원은 안기부가 한국통신의 전화고장 실험회선을 전용해 남산의 안기부 안방에서 전국의 모든 전화를 엿들을 수 있고 가입자의 통화내용을 엿듣고 있다고 폭로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501의 도청 세계에서 보면 지극히 수공업적인 것이다. 501은 땅(안테나 숲), 바다(함대), 하늘(위성과 정찰기)에서 입체적으로 쏘아대는 마이크로파로 한반도 내의 무선은 물론이고 유선통화의 내용까지 도청할 수 있다고 한다. 501요원들 중에는 하루종일 도청된 정보를 정리·분석하는 일만 하는 이들도 있다. 이들의 일일보고서는 다섯 부로 만들어져 주한미국 고위층에 전달된다.
501이건 CIA이건 안기부(현 국정원)이건 도청 능력을 논할 때 가장 궁금한 것은 유선도 무선도 아닌 그냥 목소리 대화를 어떤 내부장치 없이 전파를 쏘는 것만으로 도청해낼 수 있는가이다. 그런데 501은 그런 능력을 갖고 있다.
『뉴욕타임스』(1977. 6. 20)는 주한미국 정보기관이 이미 그러한 방식으로 75년에 청와대를 도청했다고 보도한 적이 있다.
"전자도청 기술이 어떤 것이었는지 정확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소식통들은 전자도청 공작이 외교적 모험이 따르는 것이어서 극히 조심스럽게 수행되었다고 말했다. 전자장치 기술자들에 의하면 이 도청 방법은 청와대를 보호하고 있는 보안망을 뚫고 들어간다는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고, 또 한국인을 고용해 대통령 집무실에 들여보내는 위험도 필요 없는 방법인 지향성(指向性) 전파탐지 방법이었던 것 같다.
한 전문가에 의하면 이 방법은 도청 대상 사무실 안에 어떤 장치를 할 필요가 없으며 전파가 도청 대상 사무실 방향으로 발사되면 이 전파는 목표 대상들을 찾아 이동한다고 한다. 전파는 목표와 충돌, 이 진동으로 반송파(返送波)가 발사돼 사무실의 소음과 함께 목표대상의 육성을 전달한다. 이 방법은 전파가 벽과 유리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기와 목표대상물이 서로 가려지든 가려지지 않든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다."
현재 501은 이러한 지향성 전파탐지 방법으로 한반도 전역에 대한 감청(도청)을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에 대항하는 도청방지 장치를 갖추지 못했다면 청와대는 아직도 주한미국 정보기관의 도청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을 것이다.
501 도청 요원의 고백 "한국 사단장 통화도 도청"
501에서 직접 도청업무를 맡아본 경험이 있는 ㄱ아무개 씨를 만나봤다. "501이 청와대를 도청하고 있는가"라는 물음에 그는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가능하다"고 잘라 말했다. 그가 말하는 도청 방법은 이런 것이다.
"501의 도청 요원은 헤드폰을 끼고 모니터 앞에 앉으면서 임무를 시작한다. 유선이건 무선이건 전화 통화를 도청한다고 하자. 그는 모니터와 연결된 채널을 돌리면서 그가 도청할 필요가 있는 특정 통화가 있는지를 헤드폰을 통해 스크린한다. 만약 그 특정 통화를 포착했다면 그 통화가 진행 중인 전파(유선일 경우에도 라인에 전파가 발생한다)의 전파수를 자동으로 알아낸다.
모니터엔 통화지역과 그 지점의 좌표가 표시된다. 즉 어느 곳에서 어느 곳으로 얼마의 주파수로 통화가 진행 중인가를 그 편리한 장비는 알려주는 것이다. 수신 요원은 자신의 수신기 채널을 통화가 진행 중인 주파수와 똑같은 주파수에 맞춘다. 통화내용은 자동 녹음된다."
요즘 시중에 나오는 전화기 중에는 3자 통화가 가능한 전화기도 있다. 501의 도청기기는 그런 기능을 무한대로 확장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 기기의 이름은 알파벳 P로 시작된다.
유무선 통화 도청 시 501 도청 요원은 두 통화자 사이에 끼어들어 3자 통화도 할 수 있고 두 통화자의 통화를 방해할 수도 있다.
ㄱ씨는 심심풀이로 전파방해 장난을 해본 적이 있다. 어느 팀스피리트 훈련 때 여주 근처에서 현장 작전을 지휘하는 한국군 사단장끼리 통화를 하고 있었다.
"나 ○○○인데 우리는 서쪽을 기습할 테니 당신은 동쪽을 치시오."
ㄱ씨는 전파방해 키를 눌렀다. 501이 쏜 전파가 두 사단장이 통화하고 있는 전파를 갈기갈기 찢어버렸다.
"아그 다시 말해보슈, 감이 안 좋은데."
'다시 말해보슈'를 다섯 번이나 할 정도로 계속 전파를 방해하니 그 사단장이 눈치를 챘는지 이렇게 신경질적으로 외쳤다고 한다.
"야이 새끼야, 내가 누군지 알고 방해해! 빨리 안 나가!"
ㄱ씨는 이 예를 들면서 한국군의 모든 부대이동은 501에 의해 낱낱이 체크된다고 했다. 이것을 염두에 둘 때 12ㆍ12 와 5ㆍ17 때 한국군의 이동상황을 미리 알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미국 관리들의 말은 진실에서 멀어지지 않을 수 없다.
501의 도청기기 P는 전화도청뿐 아니라 대화 도청도 가능하다. 단 이때 대화하는 방이나 그 주변에 발신기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ㄱ씨는 "발신기가 없더라도 대화를 도청할 수 있는 기능이 내가 접해본 P에는 없으나 그것이 가능한 또 다른 기기가 필경 있을 것인데, 그 존재 유무도 극비사항"이라고 말했다.
여하튼 이 정도면 501이 '마음만 먹으면' 청와대의 모든 유무선 전화는 도청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501요원들에겐 특급 비밀을 다룰 수 있는 '증'이 나온다. 그러나 그들도 허가 없이 출입할 수 없는 초특급 비밀구역이 부대 내에 따로 있다. 8시간 3교대로 24시간 근무하는 이곳엔 한국인 단 한 사람도 없다. 그러나 여기에 들어간 미국인들이 한국어 때문에 도청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진 않는다. 그들뿐 아니라 모든 501요원의 70∼80%는 한국인만큼 한국어에 유창하다. 한국어 유창 여부가 인사고과에 반영되기 때문에 계급이 높을수록 더 한국어에 능숙하다.
이 비밀구역에 안 들어가 본 사람 중에 이곳에서 무엇이 이뤄지고 있는지를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래서 이곳이야말로 한국 국내 정치와 관련한 도청이 이뤄지고 있는 곳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생긴다. 여기에 501요원 신분의 주한 CIA 요원들이 들어 있으리란 추측도 가능하다.
어떤 언론인은 주한 CIA 요원은 40∼50명이 고작일 것이라고 쓴 적이 있다. 비노출을 원칙으로 하는 주한 CIA 요원들에게 501과 같은 미군기지는 참으로 좋은 활동공간일 것이다. 501 요원들은 다른 주한미군들이 1∼3년 만에 한국을 떠나는 데 비해 10년 이상 근무하는 이들이 많다.
용산 미8군기지 곁에 있는 보광동 501본부는 사복 입은 미국인들의 출입이 잦은 곳이다. 그들 중엔 주한미국 고위 관리들도 포함된다. 이곳에서는 주한미대사, 미8군사령관, 501여단장, CIA지부장 4인이 매월 한 번꼴로 모여 501 요원들이 수집·분석한 고급정보들을 논한다.
주한미국 고위 관리들은 역대 독재정권에 대한 그들의 지원을 한국민이 문제 삼을 때마다 "우리는 그러한 사태 진전을 모르고 있었다"고 반복해왔다.
그러나 501의 발가락을 더듬으면서 섬뜩하게 떠오른 것은 박정희 대통령이 1976년 박준규 당시 공화당 정책위의장에게 했다는 이런 말이다.
"미국 사람들이 도청하려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못하겠는가."
(이 기사는 지난 95년에 발행된 <우리 현대사의 숨은그림찾기>에 실린 것을 수정하여 올린 것입니다.)
⟶ 7235부대, 5679부대, 3275부대...이름이 수시로 바뀝니다. 현재는 777부대
'휴민트' 키우는 美 501 정보여단…주한미군 핵심 정보부대 (연합뉴스 2017. 05. 07)
https://www.yna.co.kr/view/AKR20170505063800014
주한미군의 휴민트(HUMINT·인간정보) 수집을 전담할 524정보대대가 올해 10월께 창설되면 주한미군의 정보 작전을 총괄하는 501정보여단 예하 대대는 5개로 늘어난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급속히 커지는 데 맞춰 미군이 한반도 전구(戰區)에서 미사일방어 능력뿐 아니라 휴민트를 포함한 정보 수집·분석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7일 주한미군에 따르면 주한 미 8군 예하 501정보여단은 현재 3정보항공탐색분석대대, 532정보대대, 719정보대대, 368정보대대 등 4개 대대급 정보부대로 편성됐다.
3정보항공탐색분석대대는 정보 수집 항공기인 RC-12 '가드레일'과 RC-7을 보유하고 있다. 미 육군에서 RC-12와 RC-7을 동시에 보유한 부대는 3정보항공탐색분석대대가 유일하다.
RC-12는 시긴트(SIGINT·신호감청정보)를 수집하는 항공기로, 전장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부대에 표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작전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RC-7은 코민트(COMINT·통신정보)와 이민트(IMINT·영상정보)를 수집한다. RC-12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해 야전 사령관이 전장 상황을 손바닥 들여다보듯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RC-12와 RC-7이 수집한 정보는 3정보항공탐색분석대대에 보내지고 수집·분석 작업을 거쳐 지휘부에 보고된다.
532정보대대는 징후·경보(I&W:Indications and Warning) 정보의 수집·분석을 담당한다. 북한군의 미세한 움직임에서 도발 징후를 읽어내 전투부대가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주 임무다.
휴민트도 532정보대대가 맡고 있다. 501정보여단 아래 524정보대대가 창설되면 532정보대대의 휴민트 분석 기능도 이관될 것으로 알려졌다.
532정보대대는 전시 대비 한미 연합훈련인 키리졸브(KR)와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에서는 주한미군사령부와 한미연합사령부에 직접 정보를 지원하고 있다.
719정보대대는 한국군과 긴밀한 공조 아래 전술적 수준의 정보뿐 아니라 전략적 수준의 정보를 수집·분석해 지휘부에 보고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한다. 태평양사령부와 미국 본토에도 대북 정보를 제공하는 이 부대는 1951년 6월 25일 부산에 처음 전개됐다.
1970년 3월 평택 캠프 험프리로 옮겨져 751정보대대로 개편됐다가 2009년 10월 원래 이름인 719정보대대를 되찾았다.
또 368정보대대는 예비군 부대로, 본부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다. 주로 적의 정보 활동을 방해하는 방첩과 정보전자전(IEW)을 담당한다.
이들 예하 부대의 활동을 토대로 501정보여단은 주한미군이 한반도에서 수행할 모든 종류의 작전에 유용한 정보를 생산함으로써 승리를 거두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501정보여단은 6·25 전쟁이 발발한지 1년 만인 1951년 6월 25일 부산에 도착한 것을 시작으로 한반도 전구에서 정보 수집·분석 임무를 수행해온 전통의 부대다.
501정보여단은 정보 수집·분석 능력을 고도화하고자 주한미군의 정례적인 훈련에 참가하는 것 외에도 미국 태평양사령부 예하 정보부대들이 참가하는 '아리랑 센티널' 훈련 등을 정례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한국군과 주한미군의 최대 관심사는 대북 ISR(정보·감시·정찰) 능력 향상"이라면서 "미국 태평양사령부는 최근 예하 정보부대의 편제와 장비를 대대적으로 개편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미국 본토까지 겨냥할 정도로 날로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신속하게 파악해야겠다는 미군 수뇌부의 의지가 태평양사 예하 정보부대의 대대적 개편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실체 드러낸 美 ‘501 정보여단’ (주간동아 2003. 06. 11)
첩보 수집·분석 ‘손꼽히는 비밀부대’ … 미국의 공개 의도는 ‘북한 압박’
https://weekly.donga.com/3/all/11/71351/1
5월22일 주한미군은 501 군사정보여단의 정보 자산을 이례적으로 한국 언론에 공개했다. 501 군사정보여단은 첩보를 수집하고 분석해 정보를 생산하는 비밀 부대. 일반인들은 주한미군에 이런 부대가 있는 것조차 알지 못하고 있는데 주한미군은 전격적으로 이 부대가 사용하는 정보장비를 공개한 것이다.
501 군사정보여단은 무슨 일을 하고 있으며 어떻게 편제돼 있는가. 주한미군이 이 부대의 첩보 수집 자산을 공개한 이유는 무엇일까. 비밀 부대인 501 군사정보여단에 대해 탐험해보기로 한다.
정보는 크게 인간을 통해 얻는 ‘인간정보(HUMINT·Humane Intel-ligence)’와 ‘신호정보(SIGINT·Signal Intelligence)’, 그리고 ‘영상정보(IMINT·Image Intelligence)’로 나뉜다.
인간정보는 공작원을 침투시키거나 적국에서 침투시킨 공작원이나 귀순해온 사람을 심문해 얻어내는 정보다. 신호정보는 적국에서 나오는 방송·유무선통신, 기타 모든 신호를 포착해 얻어내는 정보를 말한다. 이중 무선통신의 경우 대개 암호로 내용을 전달하므로 이를 신호정보로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암호 해독 능력을 갖춰야 한다. 영상정보란 공작원이나 첩보기·첩보위성 등이 찍어온 사진을 분석해서 얻은 정보를 말한다.
프로펠러기 통해 각종 정보 수집
한국군의 핵심 정보부대는 국군정보사(이하 정보사)와 777부대(혹은 5679부대), 그리고 국군기무사(이하 기무사)다. 정보사는 북한과 북한군을 상대로 요원이나 첩보기 등을 투사(投射)해 인간정보와 영상정보를 생산한다. 777부대는 북한에서 나오는 모든 신호를 수집·분석해 신호정보를 생산한다. 기무사에서는 우리 군 내에 침투한 좌익사범과 공작원을 생포해 심문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한 인간정보를 얻어낸다.
이렇게 한국군은 북한을 상대로 한 투사, 북한에서 나오는 신호 포착, 그리고 군내 보안과 방첩 활동이라는 임무에 따라 정보사와 777부대, 기무사를 편제해놓고 있다. 이 부대들은 육해공군이 함께 근무하는 통합부대다. 따라서 세 부대가 생산한 정보는 육해공군과 해병대가 공유한다.
그러나 미국군은 다른 체제를 갖고 있다. 육해공군과 해병대가 독자적인 정보부대를 갖고 있으며 각 군에 속한 정보부대는 인간정보와 신호정보, 영상정보를 모두 취급한다. 다시 말해 미국군은 한국군 정보사와 777부대, 기무사를 합쳐놓은 것과 같은 정보부대를 육해공군과 해병대가 별도로 갖고 있는 것이다.
미 육군의 정보부대는 ‘정보 및 보안사령부’, 줄여서 ‘정보사(情保司)’로 번역되는 INSCOM(Intelligence and Security Command)이다. 한국군 정보사는 순수하게 정보 업무만 하기 때문에 ‘情報司’로 쓰지만 미 육군의 INSCOM은 정보 업무와 기무사가 담당하는 보안 업무를 함께 수행하므로 한자로는 ‘情保司’로 써야 한다.
한국군 정보사령관과 777부대장은 소장이고 기무사령관은 중장인 데 반해 미 육군 정보(情保)사령관은 소장이다. 한국군 기무사령관이 미 육군 정보사령관보다 계급이 높은 것은 그만큼 기무사령관의 계급이 인플레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 육군 정보사 예하에는 여단과 단(Group), 두 종류의 부대가 있다. 단장과 여단장의 계급은 똑같이 대령인데 단보다는 여단이 훨씬 더 많은 대대를 거느리고 있다. 한마디로 여단은 인간·신호·영상 등 모든 종류의 정보를 생산하는 부대다. 아울러 자군의 기밀이 새는 것을 막는 보안과 자군 내로 침투한 간첩을 조사하는 방첩 기능도 갖추고 있다. 반면 단은 이중 몇 개만 수행한다.
미 육군 정보사에는 5개의 여단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501여단이다. ‘표’에서처럼 501여단에는 4개의 대대가 있다. 3군사정보대대(이하 3대대)는 제트기에 비해 낮은 고도로 비행하는 프로펠러기를 띄워 북한을 상대로 각종 신호정보를 수집한다. 3대대가 운용하는 대표적인 첩보기인 ‘가드레일’은 프로펠러기라 높이 날지 못하므로 넓은 지역을 감시하지는 못한다.
고(高)고도를 비행하며 보다 넓은 지역을 감청하는 임무는 미 12공군 9정찰비행단이 담당한다. 9정찰비행단에는 U-2를 운용하는 3개 대대가 있는데, 그중 하나인 5정찰대대가 한국 오산에 파견돼 있다. 5정찰대대는 북한 전역을 상대로 신호정보와 영상정보를 수집한다.
한국군 777부대가 신호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운용하는 백두첩보기는 미 공군이 운용하는 U-2기와 미 육군이 운용하는 프로펠러 첩보기 사이의 고도를 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 501여단 3대대와 미 공군의 5정찰대대, 그리고 한국군 777부대와 정보사는 수집한 첩보를 공유한다. 이 4개 부대가 첩보를 분석해 생산한 정보를 서로 비교해봄으로써 각자의 부족한 부분을 메워나가고 있다. 정보 분야의 한미공조는 바로 수집한 첩보를 공유하고 생산한 정보의 비교를 통해 구축돼 왔다고 한다.
524군사정보대대(이하 524대대)는 한국군 기무사와 같은 주한미군 내로 침투하는 간첩을 막는 ‘방첩’과 주한미군의 비밀이 밖으로 새나가는 것을 막는 ‘보안’, 그리고 한국군 정보사와 같은 인간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서울 서빙고에 본부를 둔 524대대에는 북한인을 심문할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난 한국어 실력을 갖춘 ‘고(go)팀’이 있으며 고팀 요원을 포함한 524대대원은 대부분이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3대대서 운용하는 첩보기는 24시간 운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계속해서 비행해야 하므로 특정 지역을 정교하게 감시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527군사정보대대인데 이 부대는 휴전선 부근 고지에 대형 안테나를 세워놓고 24시간 북한 전역에서 나오는 신호를 수집하고 있다.
532군사정보대대(이하 532대대)는 유사시 전투부대가 화급하게 정보 지원을 요청하면 즉각 첩보를 수집해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동 정보부대’다. 532대대에는 이러한 임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기동정보지원반(DISE)이 편성돼 있다. 532대대는 전투 현장에 달려가 종합적인 정보를 지원해야 하므로 인간정보와 신호정보, 영상정보를 모두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501여단은 미 육군 정보사 예하 부대 중에서 유일하게 전선을 두고 적을 상대하는 부대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미 육군이 상당한 비중을 두고 주전력을 배치해놓고 있다고 한다. 주한미군은 왜 이렇게 중요한 부대를 한국 언론에 공개한 것일까. 한 소식통은 “북한에 심리적인 압박을 주기 위해서”라며 이렇게 설명했다.
“지금 미군은 상당한 전력을 이라크에 파병해놓고 있기 때문에 북한을 상대로 정밀공격을 하기 어렵다. 그러나 북한이 위험한 짓을 하면 그것을 바로 추적해 공격할 수 있다는 능력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미국은 손금 보듯이 북한의 움직임을 살피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501여단의 정보 자산을 공개한 것이다. 이에 대해 북한은 어선으로 하여금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하게 하는 것으로 대응하고 있다. 미국과 북한은 치열한 심리전을 펼치는 단계에 있다.”
NSA 한국지부 ‘서슬락’ 반세기 넘게 베일속에 (한겨레신문 2015. 11. 10)
탐사기획 스노든 폭로 2년 ‘인터넷 감시사회’
핵심 임무는 대북 감청…한국 감청부대와 협업 알려져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716891.html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한국 지부인 ‘서슬락’(SUSLAK)의 활동은 생긴 지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규모·역할·위치 등이 베일에 싸여 있다. 주로 북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냉전 붕괴 이후 민간정보를 수집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심도 나온다.
국가안보국 전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 문건을 보면, 미 국가안보국은 2006년 이후 한국·터키 등 정보협력 대상국인 이른바 ‘세번째 집단’(third party)에 속한 나라에 있는 국가안보국 지부의 명칭을 ‘서슬라’(SUSLA·Special US Liaison Advisor)에 나라 이름의 첫 알파벳 문자를 붙이는 방식으로 통일하기로 정했다. 가령 터키 지부는 ‘서슬랏’(SUSLAT)으로 부르기로 했다. 그 전까지 국가안보국 해외 지부는 ‘엔시아르’(NCR)로 불렸다. 특이한 점은 한국 지부만 과거부터 ‘엔시아르 코리아’와 ‘서슬락’이라는 두가지 이름으로 불려왔다는 점이다. 국가안보국은 문건에서 “엔시아르 코리아는 이미 서슬락이라고도 불린다”며 “앞으로 엔시아르 코리아 명칭은 쓰지 않는다”고 밝혔다.
서슬락의 핵심 임무는 오랫동안 대북 감청이었던 사실이 <한겨레>가 확보한 과거 정보통신부 문건에서 확인된다. 정보통신부 전파방송관리국 주파수과의 ‘1981년 전파심의서’를 보면, 정보통신부는 1981년 9월 “한미 서슬락 부대에서 사용할 주파수 사용승인 요청”이라며 성남 외 6곳에 위치한 서슬락 부대가 사용할 주파수를 승인해줬다. 또다른 1982년 전파심의서에는 ‘주한미군 서슬락 부대용’이라고 주파수 요청자가 명시돼 있다. 이들 전파심의서에 주파수 송신소로 ‘한국영해(선박)’도 등장한다.
현재도 서슬락은 서울에 본부를 두고, 경기 성남에 있는 통신감청 부대인 777부대에서 한국군과 함께 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정보원과의 교류는 거의 없다는 견해가 많았다. <한겨레>가 접촉한 3명의 전직 국정원 직원 모두 서슬락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반론도 있다. 미 국가안보국이 세계를 대상으로 무차별 인터넷 도감청을 한다는 스노든의 폭로를 생각하면, 서슬락이 군사정보 수집 이외의 활동을 하리라는 의심이다. 2002년 제2 서해교전 당시 777부대 사령관이었던 한철용 전 소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서슬락과는 북한 관련 군사정보를 공유했고 그 이상은 (서슬락이) 알려주지도 않고 우리도 알려고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스노든 폭로 등을 보면, 미 국가안보국 지부인 만큼 (민간정보 수집과)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 없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정보기관 관계자는 “서슬락이 국내 민간정보를 수집한다는 얘기는 들어보지 못했다”면서도 “미군 병력이 국내에 매우 많이 들어와 있는 만큼 서슬락이든 어느 조직이든 한국의 내부 정보를 수집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첫댓글 우리는 국가 정보를 알지 못하는 평범한 국민일 뿐인데요.
비범한 일상도 아니고 소소한 일상을 벗어난적도 없고.
누구이든 이런 잔인한 전파공격을 끝까지 밝혀야 합니다.
네서세럴리님 좋은 자료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자료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