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6일(토)
지난, 4월 13일 (토) 이후!
3개월만에 다시 찾은~
가야산 국립공원
만물상 코스 산행 !
"수명" 산우님과 함께~
*산행코스:
백운동지구 주차장-백운동탐방지원센터-
만물상 코스-마당바위-상아덤-서성재-
칠불봉-상왕봉(우두봉)-칠봉봉-
서성재-용기골-백운동탐방지원센터
(원점회귀)
Post
가야산 상왕봉(우두봉) 정상석에서~
성주에서 바라본 가야산
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동지구 주차장
기존 화장실 보수공사중~
"이동식 화장실"을 새로 준비했습니다.
백운동탐방지원센터
산행 안내도
오전 10시
들머리,
만물상 탐방로 입구
가야산 국립공원
만물상 코스 산행을 시작합니다.
첫번째, 심장안전쉼터
약 10분간 휴식으로 100세까지
건강한 삶을 즐기세요.
슬로우 탐방구간
여기는 250m 지점입니다.
"당신의 심장은 소중합니다. "
잠시 쉬면서 숨을 고르세요.
두번째, 심장안전쉼터
오늘은
장마철 기간중이라서~
조망권이 좋지 않습니다. ㅎ
천둥/번개!
없는 것만으로도 천만다행입니다.
ㅎㅎ
가 야
06-01
해발 740m
국가지점번호
라 마
5751
5563
심원사를 조망합니다.
세번째, 심장안전쉼터
네번째, 심장안전쉼터
슬로우 탐방구간
여기는 1km 지점 입니다.
산행중 충분한 휴식으로
당신의 심장과 무릎을 지켜주세요 !
가 야
06-02
해발 900m
국가지점번호
라 마
5725
5594
운무때문에~
멋진 광경을 볼 수가 없네요. ㅠ
제1 전망데크
명품소나무와 함께 ~
명품소나무
진행방향의 만물상 구간 !
서성재 1.7km ----->
이정목
"가야산성 옛성곽"이
지금까지도 온전히 남아있는 모습입니다.
진행방향의 만물상 구간!
가 야
06-03
해발 990m
국가지점번호
라 마
5711
5527
뒤돌아서 ~
만물상 구간(제1 전망데크)을 조망합니다.
수명 산우님!
형님,
그래도
오길 잘했습니다.
ㅎㅎ
제 2 전망데크
1.2km 서성재/
백운동탐방지원센터 1.8km
이정목
오전 11시 37분...
마당바위 도착!
진행방향의 만물상 구간!
운무의 향연!
이곳에서 바라본~
원래 모습은 이렇습니다.
2024년 4월 13일 영상!
날씨가 좋으면~
호랑이바위,칠불봉, 상왕봉을
지척에서 볼 수 있습니다 .
ㅎㅎ
가 야
06-04
해발 1040m
국가지점번호
라 마
5687
5752
뒤돌아서 ~
다시 바라봅니다.ㅎ
삼장법사 바위/거북바위
운무의 향연!
조금씩
가야산의 정상부,
칠불봉/상왕봉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만물상 코스의 정점!
"상아덤"을 바라보며~
0.7km 서성재/
백운동탐방지원센터 2.3km
이정목
0.4km 서성재/
백운동탐방지원센터 2.6km
이정목
오후 12시 11분...
상아덤 도착!
상아덤은
기암괴석의 봉우리로
가야산에서 가장 아름다운 만물상 능선과
이어져 있어 최고의 전망을
감상 할 수 있다.
(자료:신증동국여지승람)
상아덤
이곳 "상아덤"은
달에 사는 미인의 이름인 상아와
바위를 지핑하는 덤이 합쳐진 단어로
가야산 여신 "정견모주"와
하늘 신 "이비가지"가 노닐던
전설을 담고 있다.
상아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최치원이 저술한 석이정전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기록되어있다.
가야산의 정견모주는
하늘의 신 이비가지와 이곳 상아덤에서
부부의 인연을 맺었다.
이 후 어여쁜 옥동자를 낳게되는데
첫째는 아버지 이비가지를 닮아
얼굴이 해와 같이 둥글고 붉어
'뇌질주일' 이라 이름하였다.
둘째는 어머니 정견모주를 닮아
얼굴이 달과 같이 갸름하고 흰편으로
'뇌질청예'라 이름하였다
이 두형제는 자라서
형 뇌질주일은 대가야 (현재 고령)의
첫 임금인 이진아시왕이 되고
동생 뇌질청예는
금관가야(현재 김해)의 첫 임금인
수로왕이 되었다.
상아덤 전망데크에서 조망한 만물상 능선
가야산 정상부
운무의 향연은 계속됩니다.
들머리 (심원사)를 조망합니다.
상아덤에서~
호랑이바위, 칠불봉, 상왕봉
서성재 도착!
서성재
(해발 1,110m)
서성재는
경북 성주군 수륜면과
경남 합천군 가야면을 이어주는 고개로,
과거 가야산성의 서문이
위치해 있었던 곳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가야산성은 칠불봉에서 발원한
용기골 계곡을 중심으로
좌우로 펼쳐져 있는
상아덤, 동성봉 능선을 이용하여
축조된 포곡식 산성으로
성 안에 물이 풍부하고 활동공간이
넓으며 외부 노출을 방지해 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가야의 수도인 고령과
불과 14km 거리로
전쟁시 수도 방어의 요충지였으며,
왕이 이동할때 머무르는
이궁으로 이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서성재는
현재 문의 흔적을 찾을 수는 없으나
1m가 넘는 넓은 공터와
허물어진 성벽의 규모를 통해
문지가 있었을 가능성을 확인해 준다.
탐방로 안내도
상왕봉 1.0km/칠불봉 0.8km
이정목
가 야
05-07
해발 1270m
국가지점번호
라 마
5641
5839
황산저수지를 조망합니다
급경사 (계단) 구간!
계속 이어지는 계단길
해인사를 조망합니다
칠불봉을 바라보며~
가 야
05-08
해발 1390m
국가지점번호
라 마
5625
5861
고사목
고사목에 조각된 장승모습
칠불봉 0.05km 이정목
(해발 1,433m)
칠불봉 정상석에서~
(해발 1,433m)
칠불봉 정상인증샷!
수명 산우님,
역시나
백두대간 종주산행
완주자답게~
체력이 대단합니다.
ㅎㅎ
칠불봉 정상석에서~
상왕봉 가는 길
상왕봉
가 야
01-08
해발 1400m
국가지점번호
라 마
5604
5570
이 철계단만 오르면~
상왕봉 정상입니다.
상왕봉
(해발 1,430m)
상왕봉(우두봉) 정상석에서~
상왕봉 정상석 인증샷!
상왕봉 정상석에서~
오후 2시 26분...
"용기골"쪽으로~
하산합니다.
새로 조성된 등로!
(52년 만에 개방)
가천지구,
*법전탐방지원센터/봉양탐방지원센터"로 가는
가야산 신생 산행코스입니다.
칠불봉을 다시한번 담아봅니다.
산수국
산수국
서성재 가는 등로에서 ~
조망한 모습!
서성재
가 야
05-06
해발 1110m
국가지점번호
라 마
5626
5579
가 야
05-05
해발 1020m
라 마
5658
5578
백운암지 안내도
가야산은
예로부터 해동 10승지 또는
조선 8경의 하나로
이름 높은 산이다.
가야산은 불교의 성지로 해인사를 비롯한
큰 사찰이 창건되었으며,
사찰에 속한 수백개의 암자가
산 속에 산재해 있었다.
이곳은 백운암이 있었던 자리로
가야산에 있던 사찰에 부속된 암자 중
하나로 추정된다.
그러나 백운암지의 창건 시기와 폐사 시기는
기록이 확인되지 않아 알 수가 없다.
상부 평탄지 좌측 계곡과 인접한 곳에는
윗부분이 결실된 맷돌 1기가 있다.
하단 석축은 전면 계곡과 인접하고 있어
대부분 계곡물에 의해
유실된 상태이다.
그 외 분청사기편과 백자편이
확인된다.
(자료:성주지,한국의 사지)
용기골 계곡
용기골 계곡
동성골 계곡
쉼터
백운3교
가 야
05-02
해발 670m
국가지점번호
라 마
5768
5544
가야산성 안내도
가야산에는
칠불봉에서 발원한 용기계곡 좌우로
만물상과 동성봉 능선을 따라
포곡식으로 축조된 산성이 있는데
이를 가야산성
혹은 용기산성이라고 한다.
이곳은
산성의 남문이 위치해 있던 자리로
규모나 위치로 볼 때 산성의 주 출입구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계곡에서 내려오는 풍부한 수량을
배출하기 위한 수문이 있었다고 판단되나
지금은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이 산성은
대가야의 수도를 방어하는 요충지이자
왕의 이궁으로 이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산성으로써의 의미가 높다.
*포곡식 산성:
계곡과 주변의 산세지형을 이용하여
축조된 산성으로,
성 안에 물이 풍부하고
활동공간이 넓으며
외부 노출을 방지해 주는 특징
백운1교
가 야
05-01
해발 550m
국가지점번호
라 마
5782
5598
오후 4시 33분...
날머리
용기골 탐방로 입구 도착!
샤워하기!
가야호텔 사우나에서~
때빼고~
광내고~
ㅎㅎ
암반수라서~
"목욕물:이 참 좋습니다.
개운합니다.
하산식!
민속식당
"돌물레" 맛집에서~
명태찜과 밑반찬의 진수!
정갈하면서~
"맛"은 예술입니다.
ㅎㅎ
취나물 돌솥밥!
먹을수록 깊은 맛이 나는~
명태찜!
김장배추김치!
옛 추억의 맛,
끝판왕!
ㅎㅎㅎ
이 영주 대표님,
감사히 잘 먹겠습니다.
꾸벅!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큰 슬픔이 밀려와 마음을 흔들고
소중한 것들을 쓸어가 버릴 때면
그대 가슴에 대고 말하라.
이번, 가야산 국립공원 산행은
오감만족 산행!
이였습니다.
카페 게시글
└─▶ 일반 사진방
가야산 국립공원 "만물상 코스" 산행!
대원군1
추천 0
조회 425
24.07.08 16:49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