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7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BTS도 현역 복무 잘하고 있다...'→ ‘방탄소년단(BTS)의 현역 복무가 병역의무의 공정성
측면에서 굉장히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 있다’...병무청장, 체육·예술 병역특례 폐지 시사.
체중, 평발, 난시 등은 입대 기준 완화, 정신과 질환은 더 엄격히 적용 한다.(중앙선데이)
2. ‘한국 경제, 기적은 끝났다’?→ 시시로 제기되는 한국경제 정점론.英 경제전문지 파이낸셜타임스
(FT) 최근 기사.2050년까지 생산가능인구 35% 감소, GDP 28% 축소 전망.
GDP 100%에 달하는 아시아 최악 수준의 가계부채도 부담...성장률도 1970~2022년 연평균 6.4%
에서 2020년대 2.1%, 2030년대 0.6%, 2040년대 -0.1%로 추락한다는 예측도.(중앙선데이)
◇FT "한국 경제 기적 끝났나"…"과도한 경고" 지적도
◇최상목 "정책 재설계 필요하지만 기적 끝나지 않아"
3. 어버이날 고민... 5인 가족 고깃집 가면 50만원→ 외식 물가, 35개월째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높아.정부의 가격 통제로 소주(-1.3%), 밀가루(-2.2%), 라면(-5.1%)은 가격이
내렸지만 식당에서 파는 소주와 라면은 계속 올라.(세계)
◇외식 물가 상승률, 35개월째 전체 소비자물가 평균보다 높아
4. 잠 잘자게 한다는 ‘멜라토닌’... 남대문 시장에서 처방전 없이 거래→ 멜라토닌은 국내에선
처방전이 있어야 구매 가능한 전문의약품이지만 미국에선 편의점에서 살 수 있어.
미군 부대, 보따리상을 통해 들여온 것으로 추정, 가격도 국산의 1/8 수준.오남용 땐 우울 등
부작용 위험.(한경)
◇상인이 복약지도·배송까지 … '멜라토닌' 불법유통 판친다
◇수면 유도하는 전문의약품인데 불법 수입제품 처방전도 없이...남대문시장 상점서 버젓이 판매
◇오남용 땐 우울 등 부작용 위험
5. 식량작물 자급도 편중→ 2022년 기준 국내 쌀 자급률은 104.8%에 이르지만 밀 0.7%,
옥수수 0.8%, 콩 7.7% 등은 자급률이 저조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매경)
6. 겨울 패딩, 5월에 사면 최고 70% 할인→ SSG닷컴 신세계백화점몰 통해 12일까지
'아웃도어 역시즌 대전' 할인 행사.코오롱스포츠 안타티카 롱 30%, K2 씬에어 후디 70%,
네파 아르테 패딩 50% 할인.(매경)
7. 엔터주, K-팝의 원천이지만 과대평가 논란 끊이지 않아→ 하이브(지난해 2조1781억원)를
제외하면 연매출 1조원을 넘기는 곳 없어.하이브의 주가수익비율(PER)은 지난해 말 기준 44.9배로
코스피 평균 11.3배의 4배에 달한다.높을수록 고평가됐다는 의미.
SM(21.6배)과 YG(12.9배), JYP(22.5배)도 PER이 높다.(중앙선데이)
8. 22번째 ‘6·25 참전국’ 독일→ 6·25전쟁 당시 전투병력을 보낸 미국, 영국 등 16개국과 의료지원을
제공한 스웨덴 등 5개국을 합쳐 ‘참전 21개국’으로 불렀다.2차대전 패전국이던 독일은 1953년 4월
야전병원을 제안했지만 여러 사정으로 휴전 후인 1954년에야 부산에 도착했다.
이때부터 약 5년간 입원 환자 2만여명과 외래환자 28만여명을 진료했다.
전쟁이 끝난 뒤 왔다’는 이유로 독일은 참전국 명단에서 제외됐다가 2018년에야 우리 정부가
참전국에 포함시키기로 했다.(세계)
부산 영도구 태종대공원에 있는 6·25전쟁 의료지원단참전기념비. /사진제공=보훈처
9. 이게 전통공예 ‘지화’(紙花, 한지로 만든 꽃)→ 예전에는 궁중 의례나 민간의 혼례·상여 에
흔히 지화가 쓰였지만, 지금은 꽃을 꺾는 것도 살생으로 여기는 불교에서만 다양한 의례에
여전히 지화를 사용한다.경기도 무형유산.(중앙선데이)
▼한지로 만든 꽃 지화. 경기도 무형문화재.
1 살모란 2 황연 3 작약 4 불두화 5 달리아 6 살겹작약 7 모란 8 대국
10. ‘고려장’(高麗葬)→ 고려장이란 말은 없었다.고려시대는 물론이고 그 이전과 이후 어떤 때에도
그런 풍습이 있었다는 역사 기록은 없다.불경의 ‘기로국 설화’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학계의 중론이다.
‘기로’가 음이 비슷한 ‘고리’ 혹은 ‘고려’로 변했다는 것이다.이 기로국 설화도 고려장 같은 풍습이
실재했다는 것이 아니라, 그래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을 뿐이다.(경향, 우리말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