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71주년
기억 1129 새로운 비상
북한 괴뢰도당의 남침으로 6.25 전쟁이 발발한지 71주년이 되는 날이다.
2021년 6.25행사는
기억 1129 새로운 비상
(1950년 6월25일 부터 1953년 7월27일 까지 1129일을 뜻함)이란 슬로건으로 부산에서 행사가 있었다
괴뢰군의 남침으로 죄없는 수 많은 백성들이 다치거나 죽음을 당한 기억조차 하기 싫은 슬픈 날이다
이나라를 지키시다가 순국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이분들의 숭고한 정신을 이어받아 자유 대한민국이 바로 설수 있기를 기원하며 [꿈에 본 내고향을 오카리나로 연주해 본다]
꿈에 본 내고향
- 박두환 작사
- 김기태 작곡
- 한정무 노래
◈ Ac 연주 : 범성
꿈에본 내고향이 태어나기까지 이야기
그 누군들 가슴 속에서 고향이 그립지 않은 사람이 있으리오
한국인에게 있어서 고향은 온전히 하늘과 조상 그 자체였다.
6.25전쟁 시절 북에서 눈물로 고향을 떠나온 월남 실향민들의 경우는 그것이 곧 하늘의 상실이요, 조상과의 작별이었다.
이후 그들은 남쪽으로 내려와서 꿈에도 잊을 수 없는 북녘 하늘을 자나 깨나 그리워하며 떠나온 고향마을에 계시는 조상님 무덤을 가서 뵙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했다.
언젠가는 돌아가리라는 실낱같은 희망을 품은 채 마냥 대책 없는 날들을 기다리다가
기어이 늙고 병들어 한을 품고 세상을 떠난 실향민들이 얼마나 많았을 것인가?
고향이란 두 글자를 떠올리면 가슴 속에서 습기로 맺혀오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그리움, 다정함, 안타까움 등이다.
그러기에
고향은 언제나 오래 살았던 곳,
늘 돌아가고 싶은 곳,
언제나 잊을 수 없는 곳으로 모든 한국인의 가슴 속에 깊이 뿌리박혀 있다.
1950년대 초반 부산으로 피난 내려왔던 월남 실향민들의 가슴 속도 이와 같았을 것이다.
이 시기 그들의 가슴 속을 절절히 사무치게 하고 울음을 터뜨리게 만들었던 노래 하나가 있으니
바로 ‘꿈에 본 내 고향’(박두환 작사, 김기태 작곡)이다.
이 노래는 1943년에 만들어져 가수 문일화가 악극단 무대에서 불렀지만
6.25전쟁 이후 부산 피난 시절 가수 송달협이 악극단 무대에서 실향민들의 가슴을 울리고 있었던 가요작품이다.
그런 노래를 1951년 부산에서 도미도레코드를 운영하던 한복남이 음반으로 제작 발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가수는 함북 나진 출생으로 부산에 홀로 피난 내려온 한정무.
그는 이미 1938년 빅타레코드사에서 ‘대동강 달밤’(오준희 작사, 형석기 작곡)을 발표한 적이 있는 가수였다.
평남 안주 출생으로 도미도레코드의 설립자였던 한복남과는 대중음악계의 친밀한 동지이자 같은 실향민의 처지였다.
늘 국제시장 부근을 돌아다니며 유성기바늘과 음반을 팔면서 힘겨운 피난 생활을 이어갔다.
고향이 그리워도 못 가는 신세
저 하늘 저 산 아래 아득한 천 리
언제나 외로워라 타향에서 우는 몸
꿈에 본 내 고향이 마냥 그리워
고향을 떠나온 지 몇몇 해더냐
타관 땅 돌고 돌아 헤매는 이 몸
내 부모 내 형제를 그 언제나 만나리
꿈에 본 내 고향을 차마 못 잊어
-‘꿈에 본 내 고향’ 전문
하루는 두 사람이 송도 부근 바닷가를 거닐고 있는데
한 취객이 비틀걸음으로 걸어가며 ‘꿈에 본 내 고향’을 부르는 광경을 보았다.
가슴이 울컥해졌다.
한복남은 한정무에게 그때까지 음반으로 나온 적이 없던 이 노래의 취입을 제의했다.
가마니와 미군 담요를 둘러쳐서 엮은 허술하기 짝이 없던 도미도레코드사 녹음실에서 이 노래를 취입했다.
두 실향민의 기획으로 제작 발표된 이 노래는 곧바로 전체 실향민들의 가슴 속으로 젖어 들어
피눈물의 아픔과 서러운 공감을 자아내었다.
한정무는 이 노래의 1절과 2절 사이에 기막힌 대사를 삽입하고 있다.
‘뜬구름아 물어보자 어머님의 문안을
달님아 비춰다오 인성이와 정숙이의 얼굴을
생시에 가지 못할 한 많은 운명이라면
꿈에라도 보내다오 어머님 무릎 앞에
아, 어느 때 바치려나 부모님께 효성을
꿈에 본 내 고향이 마냥 그리워’
가수가 직접 모놀로그로 엮어가는 이 대사 부분은 듣는 이의 애간장을 녹이면서 귀향 충동을 왈칵 치밀어 오르도록 이끌었다. 한정무는 이 노래를 통해 실향민으로서의 절절한 심정을 유감없이 담아내었다.
눈물에 젖어 파들파들 떨리는 음색과 울먹이는 창법으로 취입한 이 노래는
부산 피난 시절 막장의 삶을 어렵사리 이어가던 실향민들에게 크나큰 공감으로 퍼져나갔다.
필자(이동순 한국대중음악힐링센터 대표)는 일찍이 고향을 떠나 해외 여러 나라에서 살아가는 동포들을 방문하여
이 노래를 자주 불렀다.
독일 베를린에서 파독 간호사로 왔다가 거기 눌러살고 있던 늙은 간호사들,
스위스 베른 지역의 교민들,
미국 워싱턴DC 지역의 교민들,
중국 칭다오 지역 한국공단 교민들,
카자흐스탄 알마티,
몽골 울란바타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일본 오사카의 재일 동포 교민들 앞에서 이 노래를 불렀다.
그 자리에서 울지 않는 분들이 아무도 없었다.
고향을 떠나 여러 해를 타관객지에서 살아가며 부모님 임종도 못 한 경우가 많았을 것이다.
얼마나 가고 싶은 고향이었던가?
고향이란 말만 들어도 저절로 눈가에 습기가 맺혀오는데
‘꿈에 본 내 고향’을 부르는 필자를 부둥켜안고 엉엉 울던 독일 교민들이 떠올라서 새삼 가슴이 먹먹해진다.
출처 : 백세시대(http://www.100ssd.co.kr)에서 옮겨온 글입니다
첫댓글 눈물나는 6.25의날 아픔을 잊을수가 있을까오늘도부모형제 생각만해도 눈물이 앞을 가리네...감사 합니다.
아아 6.25 처참한 비극과 엄청난 한국인과 국군을 살해한 북괴괴로도당 오늘이 바로 치욕의 그날을 잊을수가 없노라.
반듯이 그댓가를 치루도록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