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출
① 피부와 근육의 장력을 강화한다.
② β-Eudesmol과 Hinesol이 진정작용을 하고 자궁평활근경련 억제작용이 있어서 습관성유산에는 안태약으로 반드시 처방된다. 혈당강하작용도 있다.
③ 세뇨관 재흡수를 억제하고 Kalium염이 삼투압성이뇨를 증진한다.
④ 땀샘의 분비를 억제하여 체액의 과도한 피부배설을 완화한다. 피부의 저항력을 높여 감염증을 예방한다.
⑤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제거하여 소화 흡수를 촉진하고 설사를 완화한다.
⑥ β-Eudesmol이 H2 receptor에 길항하며, Hinesol이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소화관궤양을 치료한다.
백작약
① 여러 종류의 당(糖), 점액질, 유기산과 미량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영양부족으로 인한 도한(盜汗)을 완화하는 수렴작용을 한다.
② Paeoniflorin의 혈관운동능 강화작용이 Cinnamic aldehyde의 혈관확장작용에 힘입어, 말초혈관과 소화관 점막에 분포된 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소화관 운동능을 항진시켜 소화, 흡수를 촉진한다. 위산분비억제작용이 있다.
③ 방광의 운동능 강화로 빈뇨(頻尿)를 개선하고, 자궁(子宮), 신장(腎臟)근육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자궁과 신장의 하수(下垂)로 인한 요통(腰痛)을 완화한다.
④ Paeoniflorin은 정맥(靜脈)근육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정맥(靜脈) 모세혈관의 혈소판응고를 방지하여 혈류정체(血流停滯)를 개선하므로 혈관울혈로 인한 자반병(紫斑病)을 치료한다.
⑤ 관상동맥을 확장하여 혈류를 가속화(加速化)하여 심장기능을 개선한다.
⑥ 골격근과 소화관경련을 억제하여 복통을 완화한다.
⑦ 이질간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간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강하다.
소염, 해열작용을 한다.
⑧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진경, 진통작용을 한다.
후 박
① Acethycholine의 작용과 길항하여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며 심박동을 억제하므로 심장신경증, 심장성천식에 사용되며, 위장평활근의 이상근긴장(異常筋緊張)으로 복부팽만감이 나타나는 것을 완화한다.
② 함유된 ß-Endesmol은 항히스타민 작용을 하여 알러지 천식을 완화한다.
③ Magholol과 Honokiol이 중추흥분을 억제하여 진정작용을 하므로 불안, 초조 등의 정신증상을 완화한다.
④ 위액분비를 억제하므로 항궤양작용이 있다.
⑤ 폐렴쌍구균, 황색포도상구균, 이질간균 등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작용이 강력하여, 장염으로 인한 복부팽만감과 기관지염으로 인한 기침증상을 완화한다.
⑥ 장경련 억제작용이 있다.
⑦ 기관지평활근 경련 억제작용으로 진해작용을 한다.
소 엽
① 진정작용이 있다.
② 후두의 반사신경작용을 억제한다.
③ 한선분비(汗腺分泌)를 자극하여 발한(發汗)을 촉진하고 해열작용이 있다.
④ 기관지 분비물을 감소시키는 거담작용이 있고, 기관지평활근에 경련을 완화하여 진해작용을 한다.
⑤ 포도상구균, 대장간균, 이질간균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다.
⑥ 소화관점막을 자극하여 소화를 촉진하고 소화관내에 정체된 Gas를 제거한다. 흉강내에 정체된 Gas의 제거도 촉진한다.
지 실
① 위장의 연동운동을 항진하여 위하수, 위무력, 위내정수들을 개선하며, 위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하여 복부팽만감을 개선하고 변비를 완화하지만 장관평활근의 경련을 억제하여 진경작용을 한다.
② 이뇨작용이 있다.
③ Hesperidin, Naringin 등이 모세혈관을 강화하여 피부자반증상을 경감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④ 소화관 수축능을 강화하여 음식물, Gas의 배축을 촉진하고, 진경작용이 있어서 흉만, 복통, 복만증상을 경감한다.
⑤ Mast cell에서 화학물질의 유리를 억제하는 항알러지작용이 강하다.
진 피
① 항염, 항궤양작용이 있다.
② 항균작용이 강하여 장염에 사용된다.
③ 정유성분이 발한(發汗)을 촉진하여 폐점막의 부종을 개선한다.
④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한다.
⑤ Hesperidin이 모세혈관 탄력을 강화하여 미소(微小)출혈을 방지한다.
⑥ 진해, 거담작용이 있다.
사 인
① Camphor, Borneol, Nerolidol등의 정유성분이 방향성건위작용을 한다.
신 국
① Amylase, Protease등의 효소군이 소화를 촉진한다.
맥 아
① 전분과 단백질의 분해효소인 Diastase, Peptidase, Protease, Invertase, Lipase 등의 효소와 Betain, Cholin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소화를 촉진한다.
② 맥아당, Vitamin A, B, D, E등이 있다.
산 사
① Ursolic acid등이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관에서 지방의 유화를 증진한다.
② Acetylcholine, Choline등이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한다.
投 藥
1. 기운이 없고, 식사 후 항상 소화가 안되며 소화제를 먹는 습관이 있다.
2. 헛배가 부르고 식욕이 없으며 가스가 찬다
3. 트림이 나고, 속이 메스껍기도 하고 구역이 있기도 하며 설사를 하기도 한다.
應 用
1. 위무력증환자의 만성소화불량과 소화불량성 설사와 구토.
2. 만성식체
3. 위무력증(胃無力症), 만성설사
첫댓글 연분홍 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