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사는 남동생이 안부차 걸어 온 전화 말미에 고등학생인 조카를 여름 방학에 한 달 정도 한국에 보냈으면 한다는 말을 조심스레 꺼냈다. 창원에 외가도 있지만 서울 사는 나를 믿고 하는 소리였다. 몇 달 전 통화 할 때 나하고 아이 애기를 나눈 바 있었기 때문이었다. 동생은 딸이 한국의 가족들하고 좋은 시간을 보내고 한국 문화에 대해 호감을 갖고 돌아오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번 기회에 고모 역할 한번 제대로 하겠구나 싶었다. 공항에서 훌쩍 큰 성희를 마주하니 울컥 눈물이 나왔다. 그런 나를 보고 성희는 어리둥절한 표정을 지었다. 나는 얼른 표정을 바꿔 밝게 웃으며 아이를 꼭 안아 주었다. 성희는 도착 이틀날부터 일정에 의욕을 보였다. 아이답게 시차에 바로 적응하는 것 같았다. 나와 성희가 맨 처음 찾은 곳은 집 앞 올리브 영이었다. 미국에서도 이 한국 드러그스토어의 인기가 대단하다고 했다. 그날부터 성희는 K뷰티 러버인 친구들이 부탁한 화장품을 사야 한다고 수시로 올영에 들렀다.
어디, 어디를 가야 할지 정하자니까 제 아빠가 할아버지 산소와 경복궁과 북한산은 꼭 가보라고 했다는 말을 했다. 하지만 날씨가 무더워서 그걸 다 하기는 무리였다. 우선 홍성에 있는 할아버지 산소에 다녀온 후 잠실아쿠아리움과 롯데 타워에 갔다. 나도 조카 덕분에 처음 갔는데 123층 전망대에서 보는 서울의 야경은 찬란했다. 특히 먼 곳에서부터 보이는 한강의 급이굽이 물길이 유유한 춤사위의 곡선처럼 한눈에 들어와 성희와 나는 탄성을 질렀다.
다음 날 우리 부부와 성희는 동묘시장에 가기로 했다. 성희는 그날따라 패션에 신경을 섰다. 헤어스타일은 레이어가 많고 뒤가 긴 갈색 바가지 머리였는데 제가 직접 커트하고 염색한 솜씨가 훌륭했다. 옷은 항상 유니섹스 스타일의 상의와 통 넓은 무릎길이 반바지를 입는데 색감뿐 아니라 재질의 매치까지 신경을 썼다. 조카가 동묘 시장을 가려는 건 구제 의류에 대한 관심 때문이었다. 의류 쓰레기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하므로 자기는 슬로우 패션 사이클을 위해 구제 옷을 선호한단다.
남편과 나는 성희와 함께 시장 골목을 누볐다. 고모부가 사주고 싶으니 맘껏 골라 보라고 했지만 성희는 굳이 사양하고 셔츠 딱 한 벌만 선물로 받았다. 어느 옷 가게에서였다. 주인이 성희를 상대로 터무니없는 값을 불렸다. 보다 못해 내가 나서 외국에서 온 학생이 용돈으로 사는 거니 좀 깎아 달라고 하자 성희의 안색이 변했다. 부끄러워하며 고모, 하지 마요, 하면서 나를 말렸다. 제 딴엔 고모가 염치없고 주책없어 보여 민망했던 모양이었다. 순간 겹연쩍은 나는 조카딸 눈치를 보면서 그래, 알았다, 하고 그 애가 하는 일을 모른 척했다.
서울에 있는 동안 성희는 가급적 우리말을 쓰려고 애썼다. 종업원과 말을 주고받다가 소통이 안 될 때조차 내게 도움 청하기를 꺼려해 난감한 적도 있었다. 하루 일정을 보내고 저녁 식사 후에는 넷플릭스를 같이 보곤 했다. 성희는 지브리 컬렉션 덕후였는데 영어 음성을 들으면서도 꼭 한글 자막을 켜놓는 통에 나까지 일본 애니메이션의 재미에 는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