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7월 소비자물가 동향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70056&menuNo=4010100
7월 소비자물가는 2.6% 상승 |
-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하고 추세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2.2% 상승 |
<‘24.7월 주요 물가 지표>
(전년동월비, %) | 총지수 | 식료품·에너지제외 | 농산물·석유류제외 | 생활물가지수 | 신선식품지수 |
‘24.6월 → 7월 | 2.4 → 2.6 | 2.2 → 2.2 | 2.0 → 2.1 | 2.8 → 3.0 | 11.7 → 7.7 |
’24.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2.6%를 기록하면서 6월(2.4%)보다 소폭 상승(0.2%p)하였다. 7월 들어 집중호우 등 기상악화로 농산물(전월비 0.9%, 전년동월비 9.0%) 가격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석유류(전월비 3.3%, 전년동월비 8.4%) 가격이 상승한 영향이다.
변동성이 높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하고 추세적인 물가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전년동월비 2.2%(6월 2.2%)로 안정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며, 가계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들로 구성된 생활물가는 전년동월비 3.0%(6월 2.8%)를 기록하면서 6월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8월부터는 기상악화 등 일시적 요인이 해소되고 추가 충격이 없다면 2%대 초중반대 물가 둔화 흐름이 재개될 전망이다. 다만, 최근 중동 불안 재확산, 여름철 기상이변 등 불확실성이 큰 만큼, 정부는 물가 안정 흐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최근 중동정세 관련 국제유가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적기 대응하고, 배추·무 비축물량 방출과 할인 지원 등을 통해 농산물 수급안정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식품업계 원가부담 경감을 지속 지원하면서 원가 하락 등이 가격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업계와 소통해 나갈 방침이다.
<별첨> ‘24.7월 소비자물가동향 주요 내용
담당 부서 | 경제정책국 | 책임자 | 과 장 | 황경임 | (044-215-2770) |
| 물가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연정은 | (jey0903@korea.kr) |
| | 사무관 | 안미진 | (heungmijinjin@korea.kr) |
1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2.6% 상승(6월 2.4%)
(%) | ‘23.7 | 8 | 9 | 10 | 11 | 12 | ‘24.1 | 2 | 3 | 4 | 5 | 6 | 7 |
전년동월비 | 2.4 | 3.4 | 3.7 | 3.8 | 3.3 | 3.2 | 2.8 | 3.1 | 3.1 | 2.9 | 2.7 | 2.4 | 2.6 |
전월비 | 0.1 | 0.9 | 0.5 | 0.4 | △0.5 | 0.0 | 0.4 | 0.5 | 0.1 | 0.1 | 0.1 | △0.2 | 0.3 |
ㅇ 농축수산물 물가는 기상악화로 채소류 가격이 상승했으나, 과일류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년동월비 상승폭 축소(전년동월비 6.5→5.5%)
* 전월비 변화율(%): <농산물> 0.9 (채소) 6.3 (과일) △2.0 <축산물> 1.5 <수산물> △0.5
ㅇ 석유류 물가는 국제유가 상승, 작년 가격하락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동월비 상승폭 확대(4.3→8.4%)
* 국제유가($/B, 두바이유): (‘24.1)78.9 (2)80.9 (3)84.2 (4)89.2 (5)84.4 (6)82.6 (7)83.8
;
** 휘발유 가격(원/ℓ): (’24.1)1,569 (2)1,615 (3)1,639 (4)1,688 (5)1,697 (6)1,657 (7)1,707
경 유 가격(원/ℓ): (’24.1)1,480 (2)1,518 (3)1,539 (4)1,567 (5)1,540 (6)1,488 (7)1,542
ㅇ 개인서비스 물가는 휴가철을 맞아 관광・숙박 등 외식제외서비스가 상승하면서 전년동월비 상승폭 소폭 확대(2.7→2.9%)
* 개인서비스(%, 전년비): (‘23.12)3.9 (’24.1)3.5 (2)3.4 (3)3.1 (4)2.8 (5)2.8 (6)2.7 (7)2.9
품목별 전년동월비 상승률 및 기여도
품목별 상승률(%) | 전체 | 농 축 수산물 | 공업 제품 | | 전기가스 수도 | 집세 | 공공 서비스 | 개인 서비스 | | |
외식 | 외식 제외 |
석유류 | 가공 식품 |
6월 | 전년동월비 | 2.4 | 6.5 | 2.1 | 4.3 | 1.2 | 0.9 | 0.3 | 2.2 | 2.7 | 3.0 | 2.6 |
(기여도, %p) | | 0.5 | 0.7 | 0.2 | 0.1 | 0.0 | 0.0 | 0.3 | 0.9 | 0.4 | 0.5 |
7월 | 전년동월비 | 2.6 | 5.5 | 2.6 | 8.4 | 2.0 | 1.0 | 0.4 | 1.9 | 2.9 | 2.9 | 3.0 |
(기여도, %p) | | 0.4 | 0.9 | 0.3 | 0.2 | 0.0 | 0.0 | 0.2 | 1.0 | 0.4 | 0.6 |
소비자물가·근원물가 | 물가 기여도 |
|
|
* 자료: 통계청 | * 자료: 통계청 |
2 (근원물가*) 안정 흐름이 계속되면서 전년동월비 2.2% 상승(6월 2.2%)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로서,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변동분을 제외한 물가상승률로 458개 품목 중 식료품,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309개 품목으로 작성
(전년동월비, %) | ‘23.7 | 8 | 9 | 10 | 11 | 12 | ‘24.1 | 2 | 3 | 4 | 5 | 6 | 7 |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 | 3.2 | 3.1 | 3.1 | 3.1 | 2.9 | 2.8 | 2.5 | 2.5 | 2.4 | 2.3 | 2.2 | 2.2 | 2.2 |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 | 3.8 | 3.7 | 3.7 | 3.6 | 3.2 | 3.1 | 2.6 | 2.6 | 2.4 | 2.3 | 2.0 | 2.0 | 2.1 |
3 (생활물가*) 석유류 물가 상승폭이 확대되며 전년동월비 3.0% 상승(6월 2.8%)
* 전체 품목 중 구입 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에 민감한 144개 품목으로 작성
(전년동월비, %) | ‘23.7 | 8 | 9 | 10 | 11 | 12 | ‘24.1 | 2 | 3 | 4 | 5 | 6 | 7 |
생활물가지수 | 2.0 | 3.9 | 4.4 | 4.6 | 4.0 | 3.7 | 3.4 | 3.7 | 3.8 | 3.6 | 3.1 | 2.8 | 3.0 |
4 (신선식품*) 신선과실 상승폭 둔화 등으로 전년동월비 7.7% 상승(6월 11.7%)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
** 신선식품지수(전년동월비, %, ’24.6→‘24.7월): (신선과실)31.3→21.3 (신선채소)△0.8→△1.7 (신선어개)△1.4→△1.0
(전 월 비, %, ’24.6→‘24.7월): (신선과실)△2.9→△2.1 (신선채소)△12.0→6.3 (신선어개)△0.4→△0.8
(전년동월비, %) | ‘23.7 | 8 | 9 | 10 | 11 | 12 | ‘24.1 | 2 | 3 | 4 | 5 | 6 | 7 |
신선식품지수 | 2.2 | 6.6 | 7.6 | 13.3 | 13.7 | 14.5 | 14.4 | 20.0 | 19.5 | 19.1 | 17.3 | 11.7 | 7.7 |
□ (평가) 7월 소비자물가는 집중호우,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농산물·석유류 중심으로 전년동월비 2.6% 상승(6월 2.4%)
ㅇ 추세적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전월과 같은 2.2%를 기록하면서 주요국 대비 안정적 흐름 지속(6월 2.2%)
< (참고) 주요국 소비자물가/근원물가 >
| 한국 | 미국 | 영국 | 일본 | OECD | EU |
’24.7월 | ’24.6월 | ’24.6월 | ’24.6월 | ’24.6월 | ’24.5월 | ’24.6월 |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 2.6 | 2.4 | 3.0 | 2.8 | 2.8 | 5.9 | 2.6 |
근원물가(%, 전년동월비) | 2.2 | 2.2 | 3.4 | 4.2 | 2.0 | 6.1 | 2.9 |
□ (대응) 중동 불안 재확산, 여름철 기상이변 등 물가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물가 안정기조 안착을 위해 총력 대응
ㅇ 중동정세 관련 국제유가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시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에 따라 적기 대응
ㅇ 폭염·태풍 대비 농산물 작황관리 철저, 배추·무 비축·방출, 할인 공급 등을 통한 농산물 수급안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