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27일 본관 7층 시장실에서`원전해체 전문기업 울산지역 투자 및 공동 기술개발 협약식`을 가졌다. 김생종 기자 |
|
울산ㆍ부산시가 지난해 4월 공동 유치한 원전해체연구소 저변 확대에 나섰다. 지난 21일 정부가 내년 하반기 원전해체연구소 건설에 들어갈 것이라고 발표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는 경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본원은 부산과 울산 접경지역에 약 7만 3천㎡ 규모로, 중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분원은 경주시 나아산업단지에 2만 4천㎡ 규모로 건설하기로 한바 있다. 현재 국내 원전 30기 가운데 26기가 경수로이고 나머지 4기가 중수로이다.
또 현재 전 세계에서 운영 중인 원전 약 450기 중 운영 연수가 30년 이상 된 원전은 67.8% 가량인 305기로 정부는 2020년대 중반 이후부터 세계 원전해체시장이 본격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원전 해체실적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 독일, 일본 등 3개국뿐이다. 울산시가 이번에 원전해체 연구소 클러스터 조성을 서두르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향후 예상되는 세계 원전해체시장 규모가 540조원에 이르는 반면 우리는 아직 관련 핵심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울산시가 27일 오전 11시 본관 7층 시장실에서`원전해체 전문기업 울산지역 투자 및 공동 기술개발 협약식`을 가졌다.
이날 협약에는 울산시와 울주군, 울산과학기술원, 국제원자력대학원 대학교와 관련기업 등 9개 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협약은 울산시가 지난해 4월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를 공동 유치한 이후 산학연과 협력을 통해 대학과 연구소, 전문기업, 지원시설, 연관산업이 집적화된 `세계 5대 원전해체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체결된 주요 협약 내용은 서울, 경기, 경남, 부산, 울산에 소재한 원전해체 전문기업 5개사가 울주군 에너지 융합산단에 입주하고 원전해체산업의 선도적 육성을 위해 서로 협력하는 것으로 돼 있다.
또 울산시와 울주군은 이들이 원전해체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행정적으로 지원하고 에너지 융합산단 활성화를 위해 각종 기반시설의 설치를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한편 연구기관인 울산과학기술원과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는 기업체와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인력 양성에 적극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협약기관 상호 간 관련 기술 공동연구, 연구시설 이용 및 기술정보 교류, 전문 세미나 개최 및 기술자문, 원전해체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 발굴 등을 지원한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이날"2030년까지 수명이 도래하는 12기의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한 해체를 위해 우수한 산업기반과 세계적인 연구 역량 융합, 맞춤형 근접 지원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강소형 원전해체 전문기업을 지속 발굴하는 등 원전해체 및 연관 산업을 울산의 새로운 미래산업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지역은 이미 원전해체와 관련해 화학, 비철, 로봇, 중공업 등 우수한 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다.
특히 현대중공업은 지난 20일 사업 규모 79억 유로(약 10조 원)인 국제핵융합실험로 건설사업의 핵심 품목이자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고진공 환경`진공용기`제작에 성공해 5월 중 프랑스 카다라쉬로 이를 넘긴다. 대표적인 원자력 연관산업 육성 사례이다.
정종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