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편 중세사
I. 로마교회 과도시대(590-800)
1. 과도시대의 특징
1) 역사의 중심 동방에서 서방으로 이동된 점
2) 교황권의 강화와 교회갱신이 있었던 점
3) 화상예배가 허용된 점
4) 모하메드의 출현으로 도전을 받게된 점이 특징이다
2. 그레고리우스 1세
1) 생애
(1) 540년 로마 부호의 집에서 출생하여.
(2) 어머니와 고모 2명이 <성자> 칭호를 받은 가정에서 성장했고.
(3) 부친 사망후 재산을 수도원에 기증하고 수도사가 되었으며.
(4) 교황의 특사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파견되기도 했고,교황 비서가 됐다가.
(5) 교회와 원로원이 모두 그가 교황 되기를 갈망했으나 거절하고 변복하 여 도망하다가 잡혀서 590년 9월에 교황이 되었다.
2) 업적
(1) 교회의 중요 직위에 수도사 채용함
(2) 교직 매매를 금함.
(3) 교직자가 된 후 결혼을 금함.
(4) 교황권을 강화시킴.
(5) 영국 전도 위해 아우구스티누스 파송함.
(6) 연옥설,성모,성자 예배를 주장한 점을 들 수있다.
3) 실패
(1) 포카스 (Phocas) 에 대한 태도...포카스는 자신이 동로마 제국 황제로
자칭한 자로 반대하는 6명의 아들들을 부모가 보는 앞에서 학살하였는데
그레고리우스 1세는 이 사람에게 축사했던 것이다.
4) 저서와 학설
(1) 성경 주해와 설교집이 많고.
(2) 연옥설을 주장했으며.
(3) 성자 예배, 성모 예배를 시작했다.
3. 모하메드교(Mohamed)의 발흥
1) 아라비아
(1) 사막이 많아서.
(2) 소 부족간의 투쟁이 계속되었다.
(3) 인종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a. 베즈인인..용맹하고 사막에 거주했고,유목민이었으며.
b. 하데시인..도시 외래 문화를 받고. 상업에 종사했고,온화한 성품였다
(4) 종교..<알라>라는 최고신 믿으나 다신 숭배가 많았다
(5) 메카(Mecca)..모하메드교의 중심지,각종 우상이 360개나 안치되어 있었다
2) 모하메드 (Mohamed)
(1) 570년 아라비아 멕카에서 출생하여.
(2) 고아로 가난하게 자랐으며.
(3) 25세 때 부자 과부와 결혼했다.
(4) 사업차 외국에 가서 유대교, 기독교 세계와 접촉했으며.
(5) 40세에 신의 계시를 받았다고 일신교를 창도함으로 멕카에서 추방되어
메디나(Medina)로 도망하였다.
(6) 근방의 부족들을 규합하여 630년 멕카를 점령하고 우상을 제거,신흥 종교의 중심지로 삼았다.
(7) 632년 63세로 사망하게 된다.
3) 모하메드교
(1) 기원
a. 모하메드가 개교한 종교로서, 처음에는 아라비아인의 종교 혁신에
있었으나 나중에는 세계 정복에 목적을 두었다.
b. 전도 위해 칼을 사용했고.
c. 다른 일신교와 제휴하려 했으나 기독교에서 박해하므로 그도 배타적 태도를 취했다.
(2) 교리
a. 일신교로 일체의 우상을 배척하고
b. 참신의 이름은 <알라> <Allah>,인류 구원을 위해 천사.모세,예수를 보냈다함.모하메드는 천사 (예언자,인간)로 모세와 예수보다 우월하며.
c. 신앙을 위해 노력하는 자라야 천국에 간다고 가르치며
d. 절대 복종을 요구했다...Islam.(복종)이라는 모하메드교의 딴 이름을 보아도 안다
e. 신에게 받는 보상이 있음을 가르쳤다.
(3) 도덕
a. 근행 기도,구제, 메카 순례를 강조헀고
b. 음주, 돼지 고기를 금지했으며
c. 일부다처제를 인정하고
d. 노예를 허락하였다
(4) 경전 - <코란>
a. 모하메드의 언행록으로서 (114장으로 됨)
b. 모하메드를 최상의 예언자로 종교, 정치, 모든 사물을 정하는 무상의
권위자로 말하고 있으며
c. 모하메드 사후 20년 후 그의 제자 아부베커(Abubeker)와 서기 지이드
(Zaid)가 편집한 것이다.
(5) 포교
a. 후계자(칼라파.Khalif.Khalifa)가 군대를 조직하고 무기를 들고 영토를
확장하였으며.
b. 피정복자들을 설득하여 선봉이 되게 하고.
c. 동편은 인도에, 서 아시아, 중앙 아시아, 북아프리카 연안,스페인 반도,
콘스탄티노폴리스, 로마까지 위협했다.
4) 모하메드교의 분열
(1) 원인
a. 교리 투쟁과 b. 세력 다툼이 극심했다.
(2) 후계자의 세력 다툼.
1대 장인 아부 베커(Abu-Beker,632-644)
2대 오마르 (Omar,634-644)
3대 오트만 (Othman,644-655)...북아프리카 점령.
5대 조카 알리... 6년후 살해됨.
6대 므아위아 1세 (Moiawiya I)...알리(Ali)를 죽이고 옴마야
(Ommaiya)가를 개설하여 100년간 유지함.
(3) 분파
a. 순니파 (Sunnites)... 3대 치하에서 코란 이외의 전설 ( 이것을 순나
(Sunna)라 부름)을 인정함, 정통파로 자처했다
b. 쉬데파 (Shiites)... 순나 (Sunna)를 반대 (알리)하였고
c. 수피파 (Sufism)... 신비적 종파 (성자가 많이 남)였다.
4. 서 유럽 전도
1) 프랑스 전도
(1) 전도자들
a. 이레네우스가 처음으로 전도를 하게 된다.
b. 마르틴 (Martin, Bishop of Tours, 361-400)
ㄱ. 군인이므로 군대식으로 강제 입교시키고
ㄴ. 전국 각지의 우상 전당을 헐고 우상을 제거하며 전도했다.
(2) 공헌한 왕들
a. 클로레스 (Clores,496)... 예수 믿고 기독교를 장려했으며.
b. 샤를마르텔(Charles Martel,715-740)..독일과 화란에 선교사를 파송하였다.
c. 마르텔 왕자는 수도사가 되었고.
d. 국왕은 보니파키우스 주선으로 대회를 소집하였다.
ㄱ. 742년 프랑크 교회 대회의의 결정
(1) 규칙과 계율 엄수. (2) 교직자 부도덕 엄금.
(3) 신부의 결혼 금지. (4) 금욕 생활을 장려키로 했다.
ㄴ. 감독 회의(747)...교회의 사법권을 인정했다.
2) 독일 전도
(1) 윌리브로오드(Willibroad,657-739)
a. 영국인으로 아일랜드 교회의 감화와 교육을 받고.
b. 화란과 덴마아크에 선교하고 황무지에 선교 활동을 전개했다.
(2) 보니파키우스 (Bonifacius)
a. 영국의 귀족 출신으로 고등 교육을 받고.
b. 윌리브로오드의 제자로 그를 도와 선교 활동을 했다.
c. 교황 명령으로 프로이센(716) 선교를 거쳐 독일 전도의 사명을 받았고
d. 입신했던 사람들이 우뢰신에게 되돌아감을 보고 수천 군중 앞에서 우뢰
신이 있다는 상수리 나무를 도끼로 찍어 무사하자 많은 사람이 신앙을
갖게 되었다 한다.
e. 20년간 10만명에게 세례를 베푸는 업적을 세웠다.
f. 744년 풀다 (Fulda)에 베네딕투스계 수도원을 건설했고.
g. 75세에 순교했다.
3) 영국 전도
(1) 선교사들
a. 50 년경 로마 군인 중 신자가 있어 교회가 건설되기 시작하고.
b. 400년경 펠라기우스가 전도했다.
c. 파트리키우스 (Patrick,또는 Patricius 396-493)...첫 선교사가 됐다.
ㄱ. 스코틀랜드 신자 가정에서 출생하여.
ㄴ. 어릴 때 북아일랜드에 포로가 되어 추장집에서 6년간 목동생활했다.
ㄷ. 피신하여 수도원에 들어가 수도 후 귀가했다.
ㄹ. 431년 환상을 보고 (아일랜드인이 우리를 도와 달라고 간청)
ㅁ. 안수 받은 후 아일랜드로 가서 30년간 전도했다.
ㅂ. 일반 시민과 귀족들의 신망이 두터웠고 각처에 수도원을 세웠다.
d. 아우구스티누스와 수행원 40명
ㄱ. 596년 아우구스티누스를 영국에 선교사로 파송 (교황 그레고리우스1세)
ㄴ. 켄트왕 에텔버트(Ethelbert)는 아우구스티누스를 영접 하고 캔터베리에
저택을 지어주고 자기도 입신했고, 1만명이 세례를 받았다.
ㄷ. 601년 아우구스티누스가 영국 대감독이 되어 계속 선교 활동을 하였다.
(2) 선교에 공헌한 자들
a. 파이난(Finan of Conlard 470-548)..수도원 제도를 크게 발전시켰고.
b. 컬럼버 (Columba,521-597)..왕족 출신으로.
ㄱ.아일랜드 여러 교회와 두 수도원을 세우고.
ㄴ. 563년 동지 12명과 스코틀랜드 아이오우너(Iona)섬에 수도원을 세웠다
c. 아인단 (Aidan)... 아이오우너 수도사로 신 아이오우너에 수도원을 세웠다
ㄱ. 뱅가(Bangar) 수도원장이 됐고 .
ㄴ. 595년에 12명의 동지와 독일에서 선교했으며.
ㄷ. 브루군디 (Brugundy)에 수도원(Luxeuil)을 세웠고.
ㄹ. 610년 스위스 북방 여러 곳에 수도원을 세웠으며.
ㅁ. 614년 이탈리아 봅비오 (Bobbio)에 수도원 세웠다.
e. 켄트공주...노오덤브리아(Northumbria) 왕 에드원 (Edwin)에게 출가할 때
방문한 아우구스티누스와 수행원 40명중 파울리누스(Paulinus)가 전도
했고, 에드윈 왕은 국내의 유력자를 모아 기독교 채택 여부를 의논하여
받기로 가결했다.
f. 비이더(Beada,673-735)..수도원 출신,법학자,‘영국 교회사’를 저술하고
g. 캐드먼(Caedmon)..시인으로서 천지창조,그리스도의 생애,심판 등의 시를 썼다
3) 반동과 싸움.
(1) 노오덤브리아 남북간의 내란으로 에드윈은 전사, 파울리누스는 귀향했고.
(2) 노오덤브리아 왕가는 남.북계로 마찰이 심하여,
(3) 644년 휘트비(Whitby)에서 영국 대표와 로마교 대표가 모여 협의했다.
a. 앵글로 색슨 왕은 로마 교회에 속하기로
b. 제도와 예배 의식은 로마 교회의 법대로 하기로.
c. 부활절도 주일에 지키로 합의했다.
5. 교리와 신학
1) 화상 예배
(1) 동 제국 황제 레오(Leo)가 2개의 칙령을 발표했다.
a. 726년에 회당 안에 화상을 거는 것은 허락하나 입맞추지 못하도록 하고
높은 곳에 걸라고 발표하였다.
<반대>- 시민,수도자,다메섹,요한, 서부 그리이스의 주민들은 해군으로 육박하였다
b. 회당에서 화상을 일체 제거하라 하였다.
<반대>-그레고리우스 2,3세는 화상 반대자 추방을 선언했다(731년)
(2) 콘스탄티누스 5세 (741-775)가 대회를 소집하였다.
<결정> - 화상,십자가, 휘장을 교회당,개인집,수도원 등에 계시하는 것을 금하였다 (서방 교회는 반대함)
(3) 제 7차 니케아 회의(787년.동서 회의라 불리움)
a. 콘스탄티누스 6세의 어머니가 화상 예배를 좋아하고 아들의 섭정이 되어
교황 하드리아누스와 협의하여 회의를 소집하였다.
b. <결정>
ㄱ. 예수,천사,성모,성자 화상을 시인한다.
ㄴ. 예배는 화상에게가 아니라 신에게 드리는 것이다
ㄷ. 등을 화상에 드리고 분향하는 것도 가하다.
ㄹ. 화상 예배는 그 근원을 숭배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2) 니케아 신조의 문구
(1) 성령은 <성부에게서 유출한다>를 <성부 및 성자에게서 유출한다>고 주장하는 학자 아리우스(Arius)파 때문에.
(2) 군중이 이를 채용하고 교황이 승인했다.
(3) 동방 교회는 승인하지 않았고, 이것이 후일 로마 교회와 희랍 교회 분리의
원인이 되었다.
3) 이단 바울파 (Paulicians)
(1) 개조
콘스탄티누스 실바누스 (Constantin Silveranus, 650-660)
a. 마니교 가정에서 출생했으나 마니교를 배척하였다.
b. 바울 서신에 감동되어 영과 육신,율법과 은혜를 대조하여 열심히 그 주의를 설명했다,
c. 바울을 존경하는 의미에서 자신을 실루아노,제자들을 디모데, 디도 등 으로 불렀다.
(2) 주장
1891년 아르메니아남방 에드미아찐 (Edmiatzin)도서관에서 발견된
<진리의 검> 이라는 책에 의하여.
a. 이원론 (二元論) 주장 (세상은 악의 세력이 조장했으나 영은 신에게서
왔다)하고.
b. 예수는 하나님의 양자이다고 하며.
c. 신약은 베드로 서신을 제외하고는 모두 선한 신의 말씀이다 하고.
d. 로마 교회 제도를 혹평했다 (화상 예배,수도원,성례 등에 대하여)
e. 생활은 순결했고,개혁 정신이 강했다.
(3) 전파
a. 콘슨탄티누스가 27년간 키봇사에서 전도했다.
b.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포고나투스 세메온 (Pogonatus Simeon)을 사자로
보내어 (685년)정통 교회를 따를 것을 권면하였으나 도리어 시메온이
감동되어 그 무리에 가담하고 지도자가 되었고. 시메온은 699년에
화형을 당하였다.
c. 박해와 수령의 도덕적 타락 행위로 말미암아 분열되었다.(여황제 테오 도라의 박해로 10만명이 죽었다).
----------------------------------------------------------
☞ 과제 : 1. 그레고리 1세에 대하여 설명하라
2. 모하메드에 대하여 설명하라
3. 서 유럽 전도에 대하여 쓰라
II. 로마교회의 성장 시대
(800-1073)
1. 성장시대의 특징
1) 신성 로마제국이 건설된 점
2) 교황권의 강화와 부패가 있었던 점
3) 동서교회의 분리가 있었던 점이 특징이다
2. 샤를마뉴 (Charlemagne)대제
1) 왕위 계승
(1) 모하메드 군대를 격파한 샤를 마르텔의 손자로서 아버지 페팽 (Pepin)에
게서 왕위를 계승했다.
(2) 768년 즉위하여 46년간 재위하면서 영토 확장에 주력하였다.
a. 징벌 전쟁 50회
서 - 스페인 사라센인
남 - 이탈리아 롬바르드인.
동 - 색슨인.
(3) 대관식
a. 800년 크리스마스에 거행하고
b. 교황이 금관을 씌우며 로마 황제 칭호를 수여했다.
2) 업적
(1) 영토 확장, 교회 옹호 확장에 힘썼고(아우구스티누스의<하나님의 도성>
에 감화받아 건국 정신으로 삼음).
(2) 교육 정책 강화에 힘썼으며 (어린이에게 시편,음악,문법교육)
(3) 기독교를 발전시켰으며(각처에 수도원 설치,주일 엄수,11조,전도 강조
화상 예배 금지함)
(4) 궁정 학교를 개설하고 사방에서 고명한 학자를 초빙하여 강연케 하며.
(5) 영국 학자 앨퀸 (Alcuin 735-804)도 초청했다.
a. 궁정학교 교수로 초빙되었고. (782년)
b. 투르 (Tour) 수도원장이 되었으며.
c. 저서가 많았다.
d. 제자 라바누스 마우루스 (Hrabanus Maurus, 776-856)는 풀다 (Fulda)
수도원장이 되었다.
3. 신성 로마제국
샤를레망 대제부터 프란츠 2세까지 쓰인 명칭으로 기독교적 로마 제국을
의미한다
1) 대제국 분할
(1) 샤를마뉴 대제 사후 그의 아들 루이 (Louis the Pious..경건한 루이)가
즉위했으나 그는 호인이며 대국을 통치할 능력이 없어 교황 세력이 다시 일어나게 됐다.
(2) 루이가 죽으매 아들 3형제가 분쟁하다가 베르덩 조약 (treaty of Verdun)에 의하여 영토를 분할하게 된다 (840년).
a. 장남 로타아르 1세 (Louis)는 이탈리아 반도, 중부 프랑크,로마 황제 가 되고.
b. 차남 루이 (Louis)는 동 프랑크 왕이 되었으며.
c. 삼남 샤를 (Charles) 2세는 서 프랑크 왕이 되었다.
(3) 장남 로타아르는 세 아들에게 분할했으나 루이 2세는 이탈리아 왕이 되고 다른 두 아들은 870년 메르센 조약 (treaty Mersen)에 의해 동서
프랑크에 할양하였다.
2) 혼란한 나라
(1) 외적의 침입
a. 노르만족이 북방에서 침입하여 노르망디 왕국을 세우고 (911년)
b. 남쪽에는 사라센이 침입했으며.
c. 10세기에는 헝가리족이 침입해왔다.
(2) 국내 혼란
a. 삼형제 왕은 형제애와 연락이 단절되고.
b. 국내에는 봉건 제도가 급속도로 발전하여 서로 다투게 되었다.
c. 고대 문명은 찾아볼 수 없이 암흑 시대가 되고 말았다.
3) 신성 로마 제국 건설
(1) 옷토 1세(Otto,936-976)는 동 프랑크 3대 왕으로 선출되게 된다.
a. 샤를의 유업을 계승하여 기독교 옹호 사상을 왕국 건설에 결부시켰다.
b. 외적 침입을 격퇴하고 제후의 반란을 평정하고, 보헤미아,폴란드를 항복
시키고 이탈리아에 출병하여 교황을 원조함.
(2) 신성 로마 제국의 기원
a. 교황 요한 12세는 그의 공적을 찬양하고 962년 2월 2일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라는 칭호와 관을 줌.
b. 이후부터 동로마 국왕이 이탈리아 왕을 겸하는 자격을 얻었고 국세도 떨
치게 되었음.
(3) 옷토 2,3세도 이탈리아 정책에 열중했으므로 독일 국내는 제후의 실권이
강화되고 분립 상태가 조장되었다.
4. 로마 교황
1) 이시도르 문서 (역대 교황 교령집)
(1) 스페인 사람 이시도르 (Isidore,636년 사망)의 저작으로 알려졌으나 이
사람의 저작이 아닌 것으로 알려져 <가짜 이시도르 전집>이라고 부른다.
(2) 내용
a. 교회 규칙과 로마 감독의 서한 등이 담겨 있고.
b.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부서 (Donatio Constantini ad Sylvestrum; 콘스
탄티누스 황제가 실버스타와 그 후계자에게 라테란 궁전이 로마의 토지와
이탈리아 토지의 대부분을 기증한다는 내용의 날조 문서였다
c. 교직은 신의 특정한 계급으로서 지상 재판을 받지 않는다 했고.
d. 교황은 논쟁의 최고 재판자로 신 외에는 그 위에 설 자가 없다 했다.
(3) 교황 니콜라스 1세는 재주있고 담력있는 사람으로 이시도르 문서를 이용
하여 자기의 이상을 실현하였다.
2) 내정의 부패
(1) 교황권을 둘러싸고 이탈리아당과 독일당이 계속 투쟁하였다.
(2) 축첩 정치 시대
로마의 부유한 과부 테오도라 (Theodora)일가의 난잡한 생활에 교황 정
치가 일종의 장난감이 되는 현상이었다.
a. 테오도라에게 두 딸이 있었다.
b. 장녀 마로찌아(Marozia)의 남첩이 교황이 되어 세르기우스 3세라 했고(904)
c. 테오도라의 남첩 요한 10세가 즉위 15년간 재위했으며
d. 장녀가 알베리크와 결혼하여 낳은 아들이 요하네스 11세로 즉위(931)
e. 그 아우가 형을 죽이고, 4명의 교황을 세워 실권을 장악했다.
f. 그 후 형의 아들 옥타비안 (Octavian)이 요하네스 12세라 칭하고 즉위
하였으나 그가 옷토 1세에게 대관하였다.
(3) 그 후도 교직 매매, 음모,살해 등 죄악의 역사가 10세기 중엽까지 계속
되었다.
5. 동북 유럽 전도
1) 스칸디나비아 전도
(1) 전도자 안스가르 (Ansgar,801-865)
a. 프랑스 코르비 수도원에서 교육받은 독일 사람이다.
b. 827년 덴마아크왕 헤롤드(Harold)를 따라 덴마아크에 들어갔으나
반대자에게 축출당했다.
c. 스웨덴왕의 초청으로 가서 전도하고.
d. 1년 반 후 로마에 가서 교황에게서 덴마아크 스웨덴 감독으로 임명되었으나
스웨덴은 가우쯔버트(Gauzbert)에게 맡기고 덴마아크만 담당했다.
e. 국민들의 존경을 받으며 각처에 교회를 세우고 전도하다가 865년에 죽었다
(2) 스웨덴..1008년에 스코트코눙 (Skotkonung, 994-1024)왕이 세례받고 기독교 국가가 되었다.
(3) 덴마아크...하랄드(Harald)왕이 덴마아크 감독구를 세웠으니 그 아들
스웨그(Swegn)가 박해하다가 스웨덴 왕에게 축출 당했다. 다시 돌아와
회개한 표시로 교회를 보호했다.
(4) 노르웨이
a. 왕의 서자 하간이 영국서 교육을 받고 신자되어 형 에리크(Eric)를 대 신하여 왕이 되었으나 에리크파에게 전사했다.
b. 왕의 증손 올라프 (Olaf Trygvason, 995-1,000) 가 영국서 수세하고 돌아와 교화하다가 전사했고.
c. 성 올라프(Olaf,1014-1030)가 나와 영국인 신부를 청하여 교화케 하였다.
2) 슬라브족 전도
(1) 모라비아 전도
863년 키릴로스(Cyril)와 메토디우스(Methodius)형제가 전도했다.
a. 모라비아 왕의 청원으로 동 제국 황제 미카엘 3세가 파견했다.
b. 슬라브어를 잘하며 교황에게 복종하였다.
c. 슬라브어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4년만에 소환되었으나 키릴로스는 죽고
메토디우스만 갔으나 900년 왕의 폐위로 동생은 남방으로 도망했다.
(2) 보헤비아 전도
a. 모라비아와 정치,지리상 근접했으므로 무난히 전도하게 됐다.
b. 프라하 (Praha, Prague)감독구를 설치했다 (976)
c. 예배는 라틴식으로 로마 교회에 속했다
(3) 불가리아
a. 864 년에 추장 보리스칸 (Boriskhan) ( 또는 보고리스)이 미카엘 3세
에게 감독 파견을 요청하고 자신이 세례받았다.
b. 2년후 프랑크 왕 루이 (Louis) 와 교황 니콜라스 1세에게 감독 파송을
재차 요청하였다.
c. 동서양 교회의 세력 각축의 쟁점이 되었다가 결국 희랍에 속했다.
(4) 러시아
a. 건국 시조는 루리크 (Rurick)로서 862년에 노브고로드(Novgorod)를
수도로 정했다. 1325년에는 모스크바로 천도했다.
b. 루리크의 자부 올가 (Olga)가 어린 아들을 섭정하였다 ,그녀는 콘스탄티
노폴리스에서 세례받은 독신자였다.(957년)
c. 올가의 손자 블라디미르(Vladimir)가 기독교를 믿고 국교로 정했다.
ㄱ. 그는 사절단을 각국에 파송했다, 콘스탄틴노폴리스의 성 소피아 회당의
찬란한 장식과 엄숙한 예배 의식을 보고 돌아와 보고하니 이를 채용했다.
ㄴ. 안나 (Anna) 와 결혼할 때 수세를 조건으로 제시했으며.
ㄷ. 많은 회당을 세우고 교직자를 양성하였고.
ㄹ. 동로마 문화 수입에 최선을 다하였다.
6. 교리 논쟁
1) 성찬식
(1) 화체설
a. 다메섹의 요한이 이 설에 가까웠다.
b. 파스카시우스 라드베르투스 (Paschasius Radbertus)가 <주님의 몸과
피의 예식>이라는 책을 써서 구체화 시켰다.
c. 1215년 라테란 회의에서 교리로 결정하고 오늘날까지 사용한다.
2) 미신에 저항
(1) 클라우디우스(Claudius)
a. 스페인인으로 투린(Turin)감독이 되어
b. 성자 예배,화상 예배,로마 특권을 반대하였으며.
c. 루이(Louis)의 보호를 받다가 839년에 사망한다.
(2) 아고바르 (Agobard)
a. 리용 (Lyon)의 주교였으며
b. 화상 예배, 불의 심판 등의 풍속을 반대하고.
c. 성경의 문자,언어까지 계시된 것이 아님을 공언했다.
d. 840년 사망, 성자 칭호를 받았다.
(3) 이단 보고밀 (Bogomil)
a. 이원론 주장
ㄱ. 사람을 창조한 신은 사타나엘 (Satanael)이라 하고
ㄴ. 구속하신 신을 로고스라 했다.
b. 금욕주의, 노동을 권장하고, 전쟁을 반대했다.
c. 신자의 구별.
ㄱ. 보통 신자 ㄴ. 완전한 신자 - 결혼,육신,음주 안하는 자.
d. 수령은 박해로 사형당하였다. 15세기 말까지 계속되었었다.
7. 동서 교회 분리
1) 원인
(1) 일차적인 원인
a. 정치적 원인...동서 로마 제국이 분리된 때문에.
b. 문화적 원인...동:희랍어,서:라틴어를 사용하므로 의사가 불통되고
c. 인종적 원인...국민성의 차이때문에.
(2) 근인
a. 동서 관계없이 로마 교회가 샤를마뉴 대제에게 왕관을 수여 하므로.
b. 사상적인 이유.
ㄱ. 동 : 교리 중심 (사색,철학,황제 중심)
ㄴ. 서 : 제도 중심 (법적,교황 중심)
c. 교리적 이유 (성령론 문제)
ㄱ. 동 : 성부에게서 성령이 유출
ㄴ. 서 : 성령이 성부와 성자로부터 유출.
d. 성상 숭배 문제
ㄱ. 동 : 반대
ㄴ. 서 : 찬성
(3) 직접적인 원인...교권 쟁탈 문제
a.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이그나티우스 파면 문제
ㄱ. 동로마 황제는 이그나티우스를 반역죄로 감금함. 그 이유는 황제의
외숙 바르다스 (Bardas)가 자부와 간통 했으므로 857년 강림 주일의
성찬 참석을 거부하였기 때문에.
ㄴ. 후임에 포티우스 (Photius)를 선정 861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지방
대회에서 이그나티우스의 파면을 결의하였는데.
ㄷ. 로마 지방 대회는 이그나티우스를 대주교로 시인하고.
ㄹ. 동방은 교황을 부인(否認)하기로 결의하였다
b. 불가리아 문제
ㄱ. 불가리아 왕 보고리스(Bogoris)는 로마 교황과 접근 연락 취하다가.
ㄴ. 후에 왕은 교황에게 불만을 품고 동방에 속하기를 원하였다.
ㄷ. 당시 대주교 이그나티우스는 대감독을 불가리아에 파송하여 로마 교사
들을 추방하였다.
ㄹ. 포티우스 복직 후 불가리아는 동방에 속하게 되었다.
2) 결과
(1) 포티우스 사후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취임시는 교황에게 신앙고백서를
봉정하고 중대사를 재가받았다.
(2) 1054년 케룰라리우스(Kerularius) 대주교 때에는
a. 서방 계통 성전을 폐쇄,수도자들을 추방하고.
b. 불가리아 주교와 합세하여 교황의 오류를 공격,교황을 파문하므로.
c. 1054년 7월 16일에 동서방 교회는 완전 분리 되게 된다.
(3) 15세기 터이키에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점령되자 소피아 대주교가 러시아로
피난한 후 러시아 정교회가 중심이 되어 애굽,시리아 등 14개국 교회가
연맹을 조직하였다.
-----------------------------------------------------------
☞ 과제 : 1. 신성 로마제국에 대하여 쓰라
2. 이시도르 문서에 대하여 쓰라
3. 동서교회 분리에 대하여 설명하라
III.로마교회 전성시대
(1073-1303)
1. 전성시대의 특징
1) 십자군 전쟁이 있었던 점
2) 종교재판 및 고해성사제도가 생긴 점
3) 탁발교단이 발단된 점
4) 스콜라 철학이 발달된 점
5) 신비주의의 활동이 활발했던 점이 특징이다
2. 그레고리우스 7세
1) 교회의 상황
(1) 독일 황제는 로마 교회 내정을 간섭하고 교황 및 감독 임면을 좌우했고.
(2) 독일 국내 정세는 대제후가 실권을 장악하고, 교회는 영수 수중에 좌우됐고.
(3) 로마교회는 부패하고,어떤 때는 세명의 교황이 각각 정통이라고 주장도 했다.
(4)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황권 확립과 로마 교회 구원 운동의 지도자가
나타났으니 그가 힐데브란트(Hildebrand:그레고리우스 7세)이다.
2) 생애
(1) 1015년 소아나 (Soana)의 목수 아들로 태어나서.
(2) 성 마리아 수도원에서 수학했다.
(3) 그레고리우스 6세가 축출 당할 때 독일로 동반하였다. 그가 죽자 남부 프랑스
클뤼니(Clugny) 수도원으로 가서 각지를 순회하며 교왕권 확립에 힘썼다
(4) 레오 9세가 교황이 되자 그는 부집사직에 임명되어 교황권을 실제적으로
행사한다.
(5) 1073년 58세에 교황이 되고 (그레고리우스 7세).
(6) 1085년 70 세로 죽었다.
3) 업적
(1) 교직 매매를 금지하고 (2) 교직자의 독신 생활을 강조했고
(3) 교직 임면권과 재산 감독권을 교황 산하에 두었으며.
(4) 교황은 국왕을 지배할 권한이 있다며 교황권을 강화했다.
4) 독일왕 하인리히 4세와의 충돌
(1) 하인리히 4세가 교황을 반대한다.
a. 독일 토지의 반이 감독과 교회의 소유이므로 재산 감독권이 교황에게로
돌아가면 독일 왕의 실권이 약화되기에
b. 이탈리아 교황 반대파와 결탁하여.
c. 보름스(Worms)종교 회의 (1076)에서 교황 폐위를 결의했다.
(2) 교황은 하인리히 4세를 출교함.
국민은 국왕의 명령에 복종할 의무가 없다고 선언하게 된다.
(3) 카놋사 (Canossa)의 굴욕이 있게 된다
a. 제후들이 국왕을 반대하여 형세가 불리해지자 하인리히 4세는 사죄할 것을
결심한다.
b. 1077년 교황이 카놋사를 방문하였을 때 왕은 알프스 산을 넘어 출교를 철회
받게 된다.
c. 결과..표면상의 굴복이나 실제로는 하인리히 4세가 승리하게 된다.
ㄱ.교황의 출교 해제가 있자 독일에 반대한 제후들을 보복하므로.
ㄴ.교황이 또 출교하니 이번에는 국민들이 왕을 동정하게 된다.
ㄷ.하인리히 4세는 로마를 점령하고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는 남부 이탈
리아 살레르노(Salerno)로 도망했고 거리에서 객사하게 되었다.
3. 교회와 국가간의 관계
1) 칼릭스티우스 (Calixtius)와 하인리히(Henry) 5세의 보름스(Worms)협약
(1) 교황 칼릭스티우스 2세 (1119-1124)는 하인리히 5세를 파문하였으나 둘다
투쟁에 지쳐 협약을 맺게 된다.
(2) Worms 협약의 내용
a. 감독으로서 영지를 받게 될 때는 교황에게서 지환과 목자의 홀을 받고,
다음에 황제의 승인을 얻어 취임한다. 전에는 황제에게 임명권이 있었다
b. 임직식은 황제가 먼저하고 교황이 나중에 한다.
c. 황제가 거부하면 될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2) 알렉산도 3세와 프리드리히2세
(1) 프리드리히 왕은 보로냐 대학 교수 4명에게 황제권의 근거를 연구 조사케
하여, 과거의 방대했던 사실을 확인하고 옛 로마법을 주장하여 20년간
계속된다.
(2) 교황은 교회법을 주장하여 20년간 투쟁이 있었다.
(3) 황제가 5회나 로마에 출병했으나 교황은 롬바르드인의 도움으로 황제를
물리친다.
(4) 1177년 베네치아(Venezia)의 성 마가 (St.Mark)회당에서 황제는 교황
앞에 무릎을 꿇고 발에 입맞추어 항복하게 된다.
3) 캔터베리 대주교와 헨리 2세(영국)
(1) 왕은 1164년에 감독과 귀족 회의를 소집하고 클래렌던 법(Constitutions
of Clarendon)을 제정한다.
<내용>
a. 종교적 사건 외에는 교직자라도 국가 재판소 관할에 속한다.
b. 교직자는 국왕 허가 없이 국외 출입을 못한다.
c. 대감독,감독,사원장 선거는 국왕명에 준하고 국왕 회당에서 행할 것.
d. 상고는 국왕에게 하며 국왕에게 충성을 다할 것.
(2)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베키트(Thomas Becket)는 이를 거부하고 프랑스로
도망하였다가 5년후 화해가 성립되어 돌아온다.
(3) 베키트(Beeket)는 1170년 12월 29일 캔터베리 대성당에서 4명의 자객에게
피살당한다.
(4) 1172년 클래렌던법은 폐지되고 왕은 베키트 무덤 앞에 참회하고 성자 칭호
를 수여받았다.
4) 인노켄트(Innocent)3세의 정책 (1198-1216)
(1) 그의 사상
a. 교황은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대리자이며 왕의 왕인 까닭에 왕을 심판할
수 있다.
b. 교황은 하나님 보다 낮으나 사람보다 우월하다.
c. 베드로에게 주신 교회 통치권을 교황이 받았다고 주장했다.
(2) 그의 정책
a. 프랑스의 필립 2세(1180-1223)가 처와 이혼을 하고 다른 부인과 결혼한
것을 인정치 않고 본처와 재결합케 하였다.
b. 영국 왕의 굴복
ㄱ.영국 왕 요한은 교황이 명령한 캔터베리 대주교를 승인치 않는다.
ㄴ.교황은 영국왕을 출교하고 그 집행권을 프랑스 왕에게 줘버렸다.
ㄷ.영국왕이 굴복하자 1213년 복권시키고 매년 2차씩 공납을 보내게 약속
을 받아내게 되었다
(3) 특기 사항
a. 십자군을 일으킴(4회,1202-1204)
b. 종교 재판이 시작됨 c. 고해 성사 제도 실시함
5) 그레고리우스 9세와 프리드리히 2세
(1) 프리드리히 2세는 그레그리우스 9세로부터 십자군 문제로 3차례 파문당한다
(2) 프리드리히는 남 이탈리아와 시실리 섬을 소유해 버린다(200년간 교황령이었음)
(3) 교황은 정신계를,국왕은 속권을 하나님께로 받은 것이니 교황과 황제는
대등하다고 주장하였다.
6) 보니파키우스 8세와 필립 4세
(1) 프랑스왕 필립 4세는 1296년에 제정한 교직자 과세 금지제를 반대하고.
(2) 금 은을 외국에 보내는 것을 반대 했다.
(3) 교황 보니파키우스는 프랑스 왕을 출교 하려고 아나니(Anagni)에 있 을때 프랑스 왕이 파견한 마병에게 모욕 당하고 포로가 된다.
(4) 그후 석방되었으나 연로한 교황은 수치로 여기고 슬퍼하다가 별세했다
4. 십자군
1) 원인
(1) 회교도가 예루살렘을 점령하고(1071) 성지 순례자를 학대했다.
(2) 흉년으로 경제적 불황이 계속되자 반작용으로 신앙열이 발화되어 성지 순례
행사가 잦아졌다.
(3) 성지 회복 결의...교황 우르바누스 (Urbanus) 2세는 클레르몽 (Clermont)
종교 회의에서 십자군을 조직키로 한다.
(4) 십자군의 특전...일체의 죄를 사면해 주는 것이었다.
2) 경과
(1) 제 1회 (1096-1099)
a. 인솔자...그드프르와 (Godefroy),레이몽 (Raymond),로베르 (Robert),
위고 (Hugo).
b. 종군자...30만명 (독.불.영)
c. 예루살렘 함락...1099년 7월 15일 고드프르와가 왕이 됨.
(2) 제2회 (1147-1149)
a. 원인...에뎃사가 회교 수중에 들어가고 예루살렘을 위협함.
b. 교황 유게니우스(Eugenius) 3세가 베르나르투스를 유세케하고 독일, 프랑스왕이 호응함.
c. 결과...실패했으나 모하메드 자파분쟁으로 40년간 평안함.
(3) 제3회 (1189-1192)
a. 원인...1187년 10월 3일에 예루살렘이 함락되므로
b. 종군자... 영,불,독군이 합세
c. 경과...독군은 중도 귀국,불군도 귀국,영군만 단독진격
d. 휴전...성지 순례자를 괴롭히지 않기로 협정함.
(4) 제 4 회 (1202-1204)
a. 원인...인노켄트 3 세의 주장으로.
b. 결과...콘스탄티노폴리스 점령.
ㄱ. 교회의 유물을 서방 교회로 빼앗아 옴.
ㄴ. 라틴 제국을 세우고 발드윈 (Baldwin)을 제왕으로 삼음.
ㄷ.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를 로마 교회 계통으로 세우고 로마
교회에 예속시킴.
ㄹ. 동서 교회간의 증오감 격심해 짐.
(5) 제 5회 (1218-1221)- 소년 십자군
a. 원인...성지 회복을 죄없는 청결한 소년 소녀에게 맡기기로
b. 종군...프랑스 목동 스테파노와 독일 소년 니콜라이 등 소년 소년
3만명이 진격.
c. 결과....실패함 (도중 파선,기아로 많이 죽고 종으로 팔림).
(6) 제 6 회 (1228-1229)
a.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의 인솔로 대군이 성지로 진격 (왕은 불신 자 였으나 교황의 협조를 얻기 위해 종군)
b. 성지에 도착했으나 10년간 휴전키로 협정함.
(7) 제 7 회 (1248-1254)
a. 원인...프랑스 왕 루이 9세가 종교적 열심으로 일으킴.
b. 결과...1만명 군사가 거의 피살되고 왕만 귀국함.
(8) 제 8 회 (1270-1291)
a. 원인...루이 9세가 다시 일으켰으나 질병으로 사망.
b. 경과...영국왕 에드워드 1세가 진격하여 나사렛을 점령하고 10년간 평화조약을 맺음.
c. 결과... 1291년 드디어 예루살렘은 완전히 회교도 소유가 되어 버렸다.
3) 십자군 실패의 원인
a. 십자군의 핵심인 교황에게 군사 통솔권이 없었다는 점.
b. 출전한 귀족,기사들간의 전쟁 목적이 다르고 이해가 상반된 점.
c. 최고 목적인 종교열이 식어지고, 재물을 약탈하기 위한 불순 동기가 작용된점
d. 십자군은 오합지졸이었고, 회교 군대는 지리에 능했던 점을 들수있다.
4) 십자군의 유익
a. 회교도의 서방 침입을 저지시킴.
b. 유럽 제국의 단결 촉구, 기독교 국가의 의식을 환기시킴.
c. 귀족이 쇠퇴,봉건 제도 붕괴하고 상공업이 흥왕함.
d. 해운업의 발달로 이탈리아,지중해 연안 도시가 번영됨.
e. 모하메드 국가의 새 지식을 흡수하고 동방과의 접촉 기회가 많아짐.
f. 로마 교회의 수입 재산 증가로 교황권이 강화된 점을 들 수있다.
5. 스콜라 철학
1) 시대 구분
제 1기 9-12 c 발생기
제 2기 13c 전성기
제 3기 14-15c 쇠퇴기
2) 성격
(1) Scholar란 말은 샤를 대제의 궁정학교 명칭에서 유래되었다.
(2) 신앙과 지성, 종교와 철학의 유기적인 조화를 강조하고.
(3) 기독교와 희랍 철학의 혼합,교회 교리를 철학적으로 논증했으며.
(4) 그들의 책임은 신학을 그 시대 사조에 맞추어 재조정하는 일을 했다.
3) 가치
(1) 놀란만한 지능적 광대 구조, 신학 방법의 대진보를 가저 왔고
(2) 기독교 진리를 합리적 또는 철학적으로 논증했으며
(3) 진리 해설상 오류 방지에 큰 도움을 준 것이다.
4) 약점.
(1) 역사적 평론을 경시하고 터무니 없는 철학 위에 수립했던 점.
(2) 성경 해석에 전설적인 해설을 시도했던 점
(3) 형식 논리를 과도하게 구사하고,궤변을 일삼았던 점.
(4) 성경이나 교회 역사에 근거가 없는 이론을 도입했던 점,
(5) 이단을 뒤집어 놓은 것이 정통이라는 독단이 생긴 점이다.
5) 대표적 학자들
(1) 스코투스 에리게나 (Soctus Erigena)
a. 아일랜드 출신으로, 845년 궁정 학교에서 일하면서 높은 대우를 받았다.
b. 저서...<가짜 디오니시우스 (Dionysius)> (국왕의 명령으로 프랑스어 로 번역), <자연의 구분>
c. 사상...범신론적이며, 신과 만유를 동일시 했다.
(2) 안셀무스 (Anselmus, 1033-1109).
a. 생애
ㄱ. 북 이탈리아 아오스타 (Aosta)출신으로
ㄴ. 프랑스 베크(Bec) 수도원에서 수도했으며
ㄷ. 1078년 수도원장이 되었다.
ㄹ. 1093년 캔터베리 대감독에 선임되고.
ㅁ. 국왕 윌리암 2세와 충돌하여 국외로 추방되었다가.
ㅂ. 헨리 1 세때 소환되어 1109년 영국에서 죽었다.
b. 저서
ㄱ. 독백 (Monologion) ㄴ. 대화 (Proslogion)
ㄷ. 속죄론 (Cur Deus Homo).
(3) 아벨라르 (Abelard, 1079-1142).
a. 생애
ㄱ. 1079년 프랑스 출생으로.
ㄴ. 22세때 파리에 학교 세우고 철학을 강의했으며
ㄷ. 1115년 노트르담에 있을때 명성이 높았고.그는 실수로 엘로이즈
(Heloise)와 비밀 결혼 생활을 하다가 그녀의 숙부에게 거세당했다
ㄹ. 수도원장이 되었을 때 문하생이 수천명이 되었고.
ㅂ. 1140년 이단으로 선고받고, 2년 후에 죽게 된다.
b. 사상
ㄱ. 신학 연구의 자유를 주장하고.
ㄴ. 신의 계시를 신앙과 희망과 사랑과 성례에 의해서만 한정하고.
ㄷ. 선지자와 사도도 잘못될 수 있다 하며.
ㄹ. 원죄를 부인...자유 의지에 의한다고 했다.
ㅁ. 속죄설...도덕 감화설을 주창했다
(십자가는 죄인이 회개할 생각이 나게 한다는 것이다).
6. 프랑스 신비가
유럽 중세의 사상계는 양대 조류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A.스콜라 철학- 아벨라르- 추리를 중히 여기고 (객관적).
B.신비가 - 베르나르두스 - 직관을 중히 여겼다 (주관적).
* 독일 신비가 - 철학적이었고
* 프랑스 신비가 - 감정적 특성을 소유했었다
1) 베르나르두스 (Bernard, 1091-1153)
(1) 생애
a. 프랑스 귀족의 가문에서 출생,부친은 제1회 십자군 전쟁에서 전사,어머니는
독실한 신자였고, 7남매 중 3남으로 출생하였다.
b. 23세때 30명의 귀족들과 함께 시토 (Citeaux)수도원 원장으로 일했으며,
제2회 십자군 유세로 활동을 했다.
c. 2년후 12명의 동지들과 클래르보 (Clairvaux)수도원 원장으로 평생을 보내
게 된다, 겸손과 사랑을 가장 큰 명제로 삼았다
d. 허약한 신체와 극단적인 금식 생활로 바로 서서 다닐 수 없을 정도였다.
(2) 사상
a. 보수적 입장에서 아벨라르의 자유 사상을 배격하였으며.
b. 고난당하신 그리스도를 사모하였다.
c. 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분류.
ㄱ. 사람은 자아를 위해 자아를 사랑하고
ㄴ. 자아를 위해 신을 사랑하고.
ㄷ. 자아를 위해 신의 도움을 구하고.
ㄹ. 신의 사랑을 체험하면 신을 위해 신을 사랑하고
ㅁ. 신을 위해 자아를 사랑하는 자리에 이른다 한다.
(3) 시토 (Citeaux) 교단 = 시스터시안, Cistercian
a. 베르나르두스의 정신을 계승하여.
b. 황무지를 개간 농업에 종사하고, 이교도 전도에 역점을 두고, 기독교
문화 전파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7. 탁발 교단 (Mendicant Orders)
탁발교단이란 청빈한 생활을 서약하고 구걸로 생계를 이어가는 수도단이다
1) 발달 원인
(1) 교황과 감독 등이 부와 권세를 얻고 사원에서 안일하게 지내고.
(2) 예배 의식만 중히 여기고 설교를 가볍게 여겼고 백성들을 멀리하며.
(3) 수도사들은 청백한 일만 힘쓰고 전도와 구령 사업을 등한시 하므로.
2) 의의와 유래
유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320년 이집트 남방에서 허미트 (Hermit)수도원을 창설.
(2) 528년 베네틱투스 (Benedict) 수도원을 설립 (유자녀 교육)
(3) 910년 클루니 수도원 설립
(4) 1115년 베르나르두스(Berard)가 클래르보 수도원을 창설
(5) 1209년 프란체스코 (Francesco) 교단 설립.
(6) 1215년 도미니코 (Dominicou) 교단이 설립되었다.
3) 교단
(1) 시도 교단 (1098년 감독에게 복종하는 것을 조건부로 시도가 창설).
(2) 가르멜산 (Order of Carmelitis) 교단 (십자군 때 이탈리아 잔류병들이
모여서 이룩된 교단).
(3) 부라몬 교단 (1121년 설립,엄격한 금욕주의 교단).
(4) 아우그수티누스 교단 (13세기, 이탈리아 은둔사들로 조직)
(5) 프란체스코 교단 및 도미니코 교단 (교황이 탁발 교단으로 인정)
4) 중심 인물
(1) 프란체스코 (Francesco, 1182-1226).
a. 이탈리아 앗시시 (Assisi)출생으로.
b. 3인조 전도대 (소형 제단)를 조직하여 각처에 파송했다.
c. 교단을 운영했다( 교황 인노켄트 3세의 인가 받음. 교단원은 1221년에
3천명이었으며 귀족, 학자 ,부호들이 많이 입단함).
5) 영향
(1) 민중의 벗이 됨...당시 보통 수도사들은 일반이 모르는 언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들은 민중들을 도와주고 그들의 고백을 듣고 설교했고.
(2) 대학 세력의 확장 ...많은 대학 교수들이 참가했으며.
(3) 학자 배출...13세기의 학자들은 거의 이 교단에서 배출되었다.
8. 외국 전도
1) 라이몬드 룰리 (Raumond Lully,1234-1315).
(1) 스페인 출신의 귀족으로 예수의 십자가 환상을 보고. 프란체스코
교단원이 됐다
(2) 아라비아어를 배워 회교도에 전도했고.
(3) 저서로 <기독교 변증론 >이 있다.
(4) 기독교 대학에 동양어과 설치 운동을 하였으며.
(5) 79세 사망했다.
2) 코르비노의 요한 (John de Nonte Corbino)
(1) 13세기경 이탈리아 출신으로
(2) 중국에 가서 선교했다.
(3) 북경에서 신약, 시편을 중국어로 번역하고 6천명에게 세례를 베풀었다
3) 중국 선교
(1) 징기스칸의 손자 쿠빌라이가 원나라를 다스릴 때 이태리의 여행가
마르코폴로가 교황청에 100명의 선교사 파송을 청원했다.
(2) 1272년 도미니코 교단에서 선교사 2명을 파송했으나 가다가 돌아왔다.
(3) 20년후 프란체스코 교단에 속한 코르비노에 요한을 보내. 떠난지 수년
만에 도착, 쿠빌라이의 환영을 받고 전도 했다.
9. 예배와 생활
1) 예배
예배 용어는 라틴어가 사용되었으며 일반 교인은 설교를 듣고 감동을 받는
것이 아니라 예배를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2) 예전 (Sacraments) (한국 가톨릭 용어로는 [성사]라고 함)
1439년 피렌체 (Florence) 회의에서 7대 성예전을 공인함.
(1) 성세...몸에 물을 뿌리거나 침례로 입교를 증거하는 의식.
(2) 견진(Confirmation)...세례자에게 신앙 견고를 위한 성령을 얻게 하는
기름 붓는 의식.
(3) 성체...12세기경 롬바르두스 (1110-1161년)에 의한 형식.화체설을
토대로한 의식.
(4) 고해...죄를 신부께 참회 고백,신부로부터 면죄받는 예식.
(5) 혼배... 교회법이 합법으로 인정하는 결혼을 예전으로 신성시함.
(6) 종부(Eotreme Unction)... 임종시 병사자에게 기름을 바르는 의식,
신교에는 없음.
(7) 신품(Ordination)..영혼 인호를 쳐서 임직을 임명하는 예전.
3) 생활
(1) 숭배...하나님께는 예배, 그리스도께는 숭배,성모 마리아께는 최고 숭배.
(2) 공덕... 선행으로 죄사함을 받는다고 믿었음.
(3) 미사(Mass).. 세상 사람과 연옥의 사람을 위해 하나님께 제사드리는
의식.
a. 대미사.. 향 피우고 음악 연주, 주일과 축제일에 거행.
b. 소미사...음악없이 사죄의 미사로 신부가 거행.
c. 장례미사...죽은 자 위해 제사드리는 의식.
(4) 찬송가...중세의 장엄한 찬송은 그들의 생활화가 되었다.
10. 스콜라 철학 (II,III)
1) 대학 설립
(1) 기원...수도원이 발전되고 많은 학생이 모여온 것이 기원이 되었다.
(2) 설립된 대학
볼로냐(Bologna) 이탈리아 1158년 (법학)
파리 (Paris) 프랑스 1186년 (신학)
옥스퍼드(Oxford) 영국 1200년 (신학)
살레르노(Salerno) 이탈리아 1200년 (의학)
(3) 조직과 내용
a. 예과...음악,논리학,수학 등.
b. 본과... 신과 법과,의과.
c. 라틴어를 사용,강의와 변론을 했다.
(4) 특권
a. 국가나 교회가 간섭하지 않았고.
b. 교수나 학생의 자치 단체로 발전했다.
2) 대표적 학자들.
(1) 알렉산더 (Alexander of Hales, 1185-1245)
a. 프란체스코파 단원으로, 신학자 (영국인)였다
b.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입장에서 신학을 연구하는 교수로 (실제론)
파리에서 교수했다.
c. 저서...<신의 요의>
(2) 보나벤투라 (Gohn Bonaventura, 1221-1274)
a. 알렉산더의 제자로.
b. 프란체스코 교단 단원이었으며. c. 신비주의자, 고행주의자였다
(3)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Albertus Magnus 1193-1280)
a. 독일의 신비주의자였고, 도미닉 단원이었다.
b.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신비주의의 조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c. 쾰른 (Koln)에서 18년간 교수하다가, 87세로 죽었다.
(4)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inas,1227-1274).
a. 이탈리아 나폴리 아퀴노 백작의 아들이며 도미니코 단원, 파리대학
출신으로서 마그나누스에게 사사했다.
b. 1272년 교황 울반 2세의 초빙으로 나폴리 (Napoli)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가 1274년에 죽었다.
c. 저서 <신학총론> (Summa Totus Theolgia)
ㄱ.이 책은 중, 고대 기독교 사상을 집합하여 체계화 한것이며.
ㄴ.가톨릭 신앙의 표준이 되는 조직 신학서이다
ㄷ.근대 사상 부흥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신학 총론> 내용
1) 신학의 연구 목적
a. 하나님과 인간의 기원과 그 운명에 대한 지식을 얻으려는 것.
b. 이 지식은 이성과 계시라는 두 가지 길에서 나온다.
c. 계시는 성경에 완전히 나타났으니 해석은 교회가 하여야 한다.
2) 신관...삼위일체를 믿음. 계시에 의하여 알 수 있다 함.
3) 구원론...예정을 믿음.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로 오고, 은혜는 교회 성례를 통해서 온다 함.
4) 성예전
a. 성세...수세시 중생하고 원죄와 전죄와 용서를 받음.침례를 좋게 생각함
b. 성체...화체설.
c. 고해
ㄱ.죄에 대한 후회. ㄴ.신부에게 고백.
ㄷ.신부는 죄의 경중에 따라 명령함.(성지 순례,십자군,구제 헌금 등).
ㄹ.사죄 선언...사죄 선언이 없이는 수세후 지은 죄에서 용서받을 길이 없다.
d. 견진. e. 신품 f. 종부 g. 혼배.
5) 내세관...연옥설 주장.
6) 교회관... 구원의 기관, 교회의 머리는 교황, 교황은 신성하고 직분 수
행시 실수가 없다. 복종해야 구원받는다.
(5) 던스 스코투스 (John Duns Scotus, 1255-1308)
a. 생애
ㄱ.프란체스코 단원였고 ㄴ.옥스퍼드,파리,쾰른대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ㄷ.독일 쾰른 수도원장이 됐고. ㄹ.아퀴나스 반대자로 유명하다.
b. 사상
ㄱ.하나님의 명령은 언제나 선하다.
ㄴ.하나님의 뜻은 하나님의 뜻인 고로 선하다.
ㄷ.하나님의 계시에 의해 깨달을 수 있다.
ㄹ.은혜는 성예전으로 오는 것이 아니오 하나님께서 합당히 보셔야 한다.
ㅁ.무염 시태설(無染始胎說) 주장 - 원죄와 무관하다.
(6) 윌리엄 옥캄 (William occam, 1280-1348)
a. 영국 스코투스의 제자로
b.옥스퍼드 출신, 파리 대학 교수였으며.
c. 교회와 속권의 분리를 주장했다.
11. 신비 사상가와 신비주의 단체 (독일)
1) 독일의 특색
(1) 신통주의(神通主義) ..하나님과 완전한 교통이 있게 하려고 노력함.
(2) 하나님의 절대성 강조함 (상대적으로 인간의 공허성 주장)
(3) 약점...영감으로 오는 체험을 성경보다 중히 여김.
(4) 범신론적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 특색이다.
2) 대표자들
(1) 에크하르트(Eckhart,1260-1327)
a. 도미니코 단원으로 ,파리에서 수학했다.
b. 쾰른(Koln)에서 교수와 설교를 했고, 이단으로 몰렸다.
c. 신관...표현된 신과 은폐된 신으로 분간.삼위일체를 설명하기를 신지식은
자아의 지식이며 우주에 편만한 하나님으로 의식, 주관(성부),객관(성자)
사랑(성령)이라 했다.
d. 영혼....하나님의 불꽃,사람 속에 온 우주가 있다 한다.
(2) 타울러 (John Thauler,1300-1360)
a. 도미니코 단원으로, 에크하르트의 제자였다.
b. 파리 유학, 스트라스부르에서 설교했으며.
c. 복음주의 신비가로 실천력이 강했다.
d. 장례에 헌신적으로 참예했고.
e. 신의 내재와, 죄 회개하고 믿음으로 구원 받음을 강조했다.
(3) 루이스부뢰크(John Rutsbroeck,1294-1381).
a. 그륀탈(Grunthal)수도원에 은둔하여 신비적 논문을 저술했으며.
b. 순수한 정서의 사람으로. 명상과 하나님과 일치를 원했다.
(4) 수소 (Heinrich Suso.(1295-1366).
a. 도미니코 단원으로,에크하르트의 제자였다.
b. 콘스탄쯔(Constanz)수도원장이 되어,기도 생활과 잠언에 대한 지혜를
묵상했다.
3) 신비주의 단체들
(1) 베기니 (Beguini)
a. 11세기부터 있은 여자 독신 단체로.
b. 공동생활, 자급 자족하며 봉사를 목적으로 했다.
(2) 베가르드(Beghards)
a. 1220년에 조직된 남자,평민 직업자들의 단체로
b. 공동생활, 기도,자선사업에 힘썼다 c. 탄압으로 화형자가 생겼다.
d. 1311년 교황 클레멘스 5세가 해산 명령을 내린다.
(3) 신우단 (Gottesfreunde.신비자의 연맹)
a. 공동 생활을 하지 않으나 각각 기도와 봉사로 협조하였다.
b. 병자를 위문하며,1348년 흑사병 유행시에 시체 처리에 참여 힘을 썼다.
(4) 공동 운명의 형제 (Brethren of the Common Lot)
a. 게르하르트 그로오트 (Gerhard Groot)가 조직했으며
b. 교육,서적 보급,학교 설립했다.
c. 대표자.
ㄱ. 토마스 아 켐피스 (Thomas A Kempis (원명은 Thomas Hamerken von
Kempen) 1381-1471).
(1) 켐펜(Kempen)출생으로
(2) 성 아그네스(St,Agnes) 수도원 수도사였으며.
(3) 저서 - <그리스도를 본받아> <장미의 동산>등이 있다
ㄴ. 요한 벳셀 (Johann Wessel,1420-1489).
(1) 공동 운명의 형제단에서 설립한 학교에서 수학했고.
(2) 토마스 아 켐피스의 저서를 읽고 크게 감동받았으며
(3) 파리, 로마,쾰른 등지의 대학 교수로 명망이 있었다.
(4) 믿음으로 구원받음을 주장했다.
-----------------------------------------------------------
☞ 과제 : 1. 그레고리 7세의 생애와 업적을 쓰라
2. 십자군 전쟁에 대하여 설명하라
3. 스콜라 철학에 대하여 설명하라
4. 탁발교단에 대하여 쓰라
5. 스콜라 철학의 대표적 학자들을 쓰라
6. 신비주의 단체들에 대하여 쓰라
IV.로마교회의 쇠퇴시대
(1303-1517)
1.쇠퇴시대의 특징
1) 아비뇽 포로로 교황권이 실추된 점
2) 문예부흥 운동이 활발해진 점
3) 면죄부의 발행과 교회가 부패해진 점
4) 국가주의의 발생과 스콜라 신학이 붕괴된 점
5) 개혁전 개혁자들이 활발한 활동을 한점
6) 종교 개혁의 분위기가 확산 된 점이 특징이다
2. 문예 부흥
14세기와 15세기에 걸쳐 일어난 르네상스는 종교 개혁과 아울러 세계 역사의
큰 변혁운동이었다. 동방과의 접촉으로 그리이스와 라틴의 고전 문학이 부흥되
으로써 시작되었고 그 결과 (1) 권위에 반항하고 도리를 비평하며 (2)개인주의
세력이 성행하였고 (3)자연미를 동경하고 현세 향락을 추구하는 등의 여러가지
특징을 가진 운동이다.
1) 원인
(1) 9세기 초 샤를마뉴 대제가 문예를 장려하고.
(2) 기독교 사원 부속 학교가 발달하며
(3) 십자군 전쟁으로 각지 문화가 수입되고.
(4) 1453년 동로마 멸망으로 학자들이 모여 와서 고전 문학 연구열이 생기고
(5) 인쇄술의 발명 등으로 인하여 일어나게 된 것이다.
2) 발명
(1) 활자,인쇄기,나침판. (2) 지리적 발견으로 각지의 견문이 넓어짐.
3) 발단과 중심 인물
(1) 발단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일어났는데, 그 이유는 교통이 편리해지고, 경제력
이 커지며, 정치적 자유를 얻게 된 것들이 발단이다.
(2) 중심 인물
a. 단테 (Dante Algheri, 1265-1321)...<신곡> <신생>.
b. 페트라르카 (Petrarca, 1304-1374)...로마의 계관 시인으로. 라틴 문학,
키케로 문학을 연구했다.
c. 복카치오 (Boccacio,1313-1375)...<단테 전기> <데카메론>
d. 레오나르도 다빈치 (Leonardo da Vinci.1452-1519)...화가,과학자,<성만찬>
e. 라파엘(Raphael, 1483-1520)...교황청 초청으로 벽화 제작 <성모자>.
f. 미켈란젤로 (Michael Angelo,1475-1564)...조각가,화가 <성모>
4) 종교,도덕의 새로운 부흥.
(1) 독일에서는 150년간 17개 대학 설립되었다.
(2) 벳셀(Wessel),루돌프 아그리콜라 (Rudolf Agricola),브란트(Brand)에 의해
교육 및 개혁이 일어났다.
(3) 에라스무스...화란에서 신약을 처음으로 그리이스어로 발행했다.
(4) 존 콜레트(John Colet,1466-1519)..옥스퍼드 대학 교수로서 우화적 신학
타파에 힘썼다
(5) 토마스 모어 (Thomas More,1478-1525)...<유토피아>를 저술했다.
5) 영향
(1) 현대 문화 발전에 크게 공헌했으며.
(2) 성경 원어 출판 및,성경 주해의 발전을 가져왔고.
(3) 제도와 권위에 반항하며,개인주의의 부흥을 가져왔다.
3.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자들
1) 구분
(1) 교리적 개혁자....위클리프,후스.
(2) 실제적 개혁자....사보나롤라.왈도.
(3) 신비적 개혁자....어크하르트,켐피스,벳셀.
2) 왈도 (Waldo)
(1) 왈도
a. 프랑스 리용 출신의 부자 상인이었다.
b. 성경 및 기독교 문서 번역 사업에 투자했으며.
c. 1177년 재산을 팔아 구제하고 전도 운동을 시작했다(마19장에 감화로)
d. 1184년 이단으로 몰려 파문당했으나 스페인, 남부 독일,이탈리아에 널리
퍼졌다.
e. 1197년 보헤미에서 사망했다.
(2) 왈도의 주장.
a. 성경이 신앙과 행위의 유일한 표준이라 했고
b. 산상 보훈 지키기에 힘썼으며.
c. 연옥설과, 죽은자 위한 기도 및 예전을 취하지 않았다
d. 1215년 인노켄트 3세의 박해를 받았으나,이탈리아 통일후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단체가 되었다.
2) 존 위클리프(John Wyclif 1324-1384)
(1) 생애
a. 옥스퍼드 대학 졸업 후 교수가 됐으며, 궁정 목사 되었다.
b. 국왕 사절로 프랑스에 가서 교황 사절과 협상을 했으며.
c. 1382년 성경을 영어로 번역했다.
d. 교황이 영국에 과중한 세금을 부과한 것과, 고위 승려들의 타락을 공격
하자 교황이 체포령을 내렸으나, 왕실의 보호로 무사했다.
e. 런던 대회에서 이단으로 규정되어 대학을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와 목회
생활을 하다가 사망했다.
f. 41년후 콘스탄쯔 회의(1414-1418)에서 그의 주장을 정죄하고 뼈를 불살랐다
(2) 신학
a. 성경만이 신앙의 유일한 표준이라 하고
b.속죄권을 부인하였으며
c. 화체설을 배격하고
d. 교황 정치의 불필요를 역설하였고.
e. 승려의 독신주의를 비난했다.
3) 장 후스(Jan Hus,1367-1415)
(1) 보헤미아 수도 프라그 대학 교수로서 총장까지 지냈으며.
(2) 위클리프의 개혁 정신에 감화받아.
(3) 교황 정치의 부패를 공격하고 속죄권 판매를 반대했다.
(4) 신변의 위험으로 도피하여 <교회론>을 저술했고.
(5) 콘스탄쯔 회의에 소환되어 황제로부터 신변 안전보호 약속을 받고 출두하여
(6) 토굴에 감금당해 심문받다가 이단자로 규정받고 1415년 7월 6일에 화형을
당했다
(7) 그가 죽은 후 보헤미아인들이 분개하여 장 찌시카(Jan Zizka <체코>
Jean Ziska <프랑스>)를 중심으로 개혁당을 결성하였다.
4. 바벨론 포로 (Babylonian Captivity)
교황청이 프랑스의 아비뇽에 거주함으로 교황이 프랑스의 정치도구로
전락하게 된 시기를 말한다
1) 원인
(1) 교황 보니파키우스 (Boniface) 8세와 프랑스왕 필립과의 투쟁에서 프랑
스가 강하여 교황이 일시 구금되었다 (교회와 교직자들에게 과세하므로).
(2) 1309년 프랑스인 클레멘스 5세가 교황이 되어 아비뇽에 천도하고 전황이
프랑스 왕에 대해 내린 책벌을 취소하였다(70년간)
2) 경과
(1) 교황 클레멘스 5세가 프랑스 왕의 괴뢰 노릇을 하게 된다.
(2) 아비뇽에 주재한 교황은 요한 22세 (1316즉위),베네딕투스12세 (1334),
클레멘스 6세 (1352),우르바누스 6세 (1362), 그레고리우스 11세 (1370)
(3) 그레고리우스 11세가 죽자 백성들이 이탈리아인으로 교황을 세우기를
요구,추기경들은 이탈리안으로 교황을 세우고,우르바누스 6세라고 칭하고
로마로 환도한다.
(4) 우르바누스 6세가 카디날의 사치와 부패를 공격하니 아비뇽에 교황을 세우고
클레멘스 7세라고 불렀다.
(5) 약 40년간 (1378-1417) 분열되었었다.
a. 로마 교황 (이탈리아,독일,영국)
b. 프랑스 교황 (프랑스,스코틀랜드,스페인)
3) 결과
(1) 교황과 국왕간의 대립하고 (2)로마 교황과 프랑스 교황의 대립하며
(3) 대립된 교황들은 재정 결핍을 막기 위하여 교직 매매를 했다.
(4) 파리대학장의 제자 제르손(Jean de Gerson,1363-1429)은 교회의 타락을
우려 교회회의를 열고, 두 교황을 퇴위시키고, 알렉산도르 5세를 새 교황
으로 선출하였다. 그러나 3명의 교황이 싸우는 형편이 되었다.
(5) 제르손은 1414년에 세 교황을 모두 퇴위 시키고 마르틴 5세를 세움으로
교회의 싸움은 종식되었다.
5. 교황권과 대회의
1) 피사 (Pisa)회의
(1) 1409년 제르손이 교회의 타락을 우려하여 의회가 세력을 장악하므로 해결
할 수 있다고 믿어.
(2) 두 교황을 퇴위 시키고 밀란 대감독을 교황으로 세워 알렉산도르 5세라고
칭했다.
(3) 그 결과 3명의 교황이 싸우게 되었다.
2) 콘스탄쯔(Constanz)회의
(1) 회원...신학자, 귀족 등 5천명 참석했다.
(2) 결의
a. 세 교황을 면직하고 마르틴 5세 선거에 성공했고.
b. 장 후스의 사형을 가결했으며.
c. 위클리프의 뼈를 불사르기로 결의했다.
3) 바젤 (Basel)회의 (1431-1433)
(1) 목적...교회 전체 개혁,이단 박멸,기독 교단의 평화 도모를 위해.
(2) 교황의 반대..개회 13개월 후에 정지 명령을 내렸으나.
(3) 회의 강행...최고 주권이 대회에 있다고 주장하고 교황 없이 강행한다
(4) 결의
a. 대회의는 교황 위에 있다. b. 교황의 전제와 강제 징세를 제한할 것.
c. 보헤미아의 후스당과 협정 체결 (15명 출석)
ㄱ.성찬 때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신자들에게 떡과 포도주를 줄것.
ㄴ.죄 있는 자는 교직자라 해도 처형한다.
ㄷ.장로,집사 등이 하나님의 말씀을 자유로 설명할 권한이 있다.
ㄹ.교직자는 재산을 소유하지 말 것 등을 결의 했다.
4) 피렌체(Firence)회의 (1438-1439)
(1) 회원...바젤 회의를 반대한 교황,이탈리아 교직자, 그리이스 황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등.
(2) 안건...로마 교회와 그리이스 교회의 합동 문제.
(3) 결의
a. 성령의 출처 문제...<아들로 부터>라는 문구를 서방측이 삽입할 수 있다.
b. 연옥의 불의 성질이 정신적인 것인가.아니면 물질적인 것인가에 대해
양편 모두 생각할 수 있다.
c. 성찬식의 떡은 누룩이 있든지 없든지 모두 가하다.
d. 교황은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목자요, 교사요 ,통치자이다.
(4) 합동 축하 예배...1439년 7월 6일 피렌체 예배당에서 거행했다
(동방교회가 머리숙인 것은 터어키의 침입으로 원조를 구하기 위해서였음)
(5) 합동 결렬...황제가 귀국하니 예루살렘,안디옥,알렉산드리아 교회 대주교
들이 반대하여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6) 동 로마 제국의 멸망....1453년 모하메드의 공격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되어 멸망했다.
6. 동 로마 제국의 멸망과 동방 교회
1) 동 로마 제국의 멸망.
(1) 1453년 터어키 왕 모하메드 2세가 콘스탄티누스 2세를 공격하여.
(2) 동 로마 제국은 선전하였으나 50여일 만에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 당하고
(3) 황제가 전사하고 만다
2) 동방 교회
(1) 모하메드 교도들이 성 소피아 회당을 점령했고.
(2) 기독교인은 전도는 할 수 없으나 신앙 유지는 가능케 했다.
(3) 교리, 조직,예배는 변함이 없으나 점점 쇠퇴해 갔다.
(4) 교회 재산은 몰수당하고 학교는 붕괴되었으며.
(5) 교직자의 권위가 추락되고 황제의 종속에 불과하게 되었다.
(6) 모하메드교는 우대하며 기독교는 학대했으며
(7) 크리스챤 소년 중 건장한 자를 징집하여 모하메드식 훈련과 교육
으로 군대를 편성하였다.
7. 예배와 생활
1) 예배
(1) 설교...탁발 교단과 아우구스티누스파의 설교는 감화를 주었다.
(2) 성경에 대한 새로운 관심...번역,성경 역사,교리문답.종교극 등으로 복음을
전파하였다.
(3) 찬송가...일반인이 함께 부르게 했다.
2) 동방 교회의 예전 (7예전)
(1) 세례...세 번 물에 잠금, 소아 세례도 시행함.
(2) 견진...사제가 십자형으로 얼굴,가슴,수족에 기름 바름.
(3) 고해...죄를 통회,고백하면 사제가 사죄문을 외움.
(4) 신품...임직식.
(5) 혼배...결혼식
(6) 성전...병자를 위해 포도주와 기름을 일곱 차례 온몸에 바르고 성경을
병자의 머리에 두고 사죄문을 외움.
(7) 성체....예배의 중심, 먼저 성찬 제물을 하나님께 드리고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되기를 기도함.
(8) 기타 특색...성자의 화상,십자가,유물 예배가 왕성했다.
3) 생활
(1) 교회
a. 비용 확보를 위하여 속죄표 판매가 성행하고.
b. 종교 재판소로 탄압했다.
ㄱ.프랑스,스페인에서는 이단에 대한 처벌이 잔인하였으며.
ㄴ.마녀 박살에 박차를 가하여 30만명의 부인들이 화형을 당했다.
(2) 교직자
a. 고급 승려는 공공연히 축첩했고.
b. 하급 승려들의 축첩도 묵인했으며.
c. 수도원은 경제적으로 풍부하여 탁발을 중지하고 논쟁을 일삼았으며.
d. 엄격파는 이단으로 몰아 화형했다.
e. 경건파 승려들과 평신도에 의해 <공동 운명의 형제단>이라는 단체가
일어나기도 했다.
ㄱ.노동으로 자급생활을 하고.
ㄴ.구약 교리를 지키고 성경 연구,묵상,설교,교육,봉사 활동을 하였다
----------------------------------------------------------
☞ 과제 : 1. 문예부흥의 원인과 그 영향에 대하여 쓰라
2.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자들에 대하여 설명하라
3. 바벨론 포로의 원인과 결과에 대하여 쓰라
4. 동로마 제국의 멸망과 동방교회에 대하여 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