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물을 섭취하는 경로는 과일, 채소 등 다양하기 때문에
꼭 물을 2리터 마실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또 모든 것은 과유불급이기에, 지나치게 과하게 마시면
물 중독으로 인해 사망이라는 극단적인 사태가 발생될 가능성도 있으니,
적당히 조절하여 마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분이 하는 역할
"우리 인체의 70%는 물이다."
물이 70%나 구성하고 있는 만큼,
수분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분과 소화
수분은 소화기와 신장, 뇌 등 모든 장기의 활동을 촉진시킵니다.
자주 체하는 사람이라면 소화제를 달고 살기 전에 마시는 물의 양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식사 전후에 물을 바로 마시면
소화액을 희석시켜 소화에 방해가 되고,
당분의 흡수를 촉진해 살이 찌는 원인이 되니,
식사 전후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 마시도록 해 주세요.
또 밥을 물에 말아 먹으면 밥을 덜 씹게 되고 소화효소가 희석되어
소화 및 분해 효과가 약해지니 밥을 물에 말아 먹는 것은 삼가해주세요.
밥을 물에 말아 먹을 경우, 소화에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수분이 변비에 끼치는 영향
변비 역시 수분섭취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데요,
변비는 변이 대장을 통과할 때
대장에서 수분을 지나치게 많이 흡수하면서 발생합니다.
몸에 수분과 미네랄이 부족하면 변이 소장과 대장을 거치면서
단단해지기에 변비의 고통에서 벗어나려면
물을 마시는 횟수를 늘리고 것이 좋습니다.
특히 매일 아침 공복 상태에서 마시는 차가운 물 한잔은 변비에 특효약이라고 합니다.
수분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체내에 수분이 부족하면 세포에 노폐물이 쌓이고 에너지 대사도 느려져
온 몸이 무기력해지고 피로감이 몰려옵니다.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 야외활동을 조금만 해도
쉽게 지치고 피로해지는 것도 이와 관련 있습니다.
이것이 장기화될 경우 편두통이나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으니
물 마시는 것을 습관화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잠자기 30분 전 반 잔에서 한 잔 정도의 물을 마시면 숙면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올바른 수분섭취
커피와 녹차 등 음료에는 카페인이 들어 있어 이뇨작용을 촉진하여
마신 물의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물을 몸 밖으로 배출시킵니다.
아메리카노와 믹스커피를 즐겨 마신다면 물을 더 많이 마시면서 수분 보충을 해줘야 합니다.
찬물? 뜨거운 물?
일반적으로 아침에 마시는 찬물은
위와 장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해 변비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 보고가 있습니다.
하지만 손발이 차고 소화기관이나 폐가 약한 경우에는
찬물이 혈액순환에 방해가 되기도 하는데요.
여름에 찬물을 마시면 몸은 뜨겁고 몸 속은 차가워지기 쉽기 때문에
찬물을 마실 때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11~15℃ 사이의 약간 시원한 정도의 물이
체내 흡수가 가장 빠르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