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 부산시 서구 부민동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을 찾았다. 예전에 구덕교정에 박물관이 있었다.
부민동, 공공 건물을 동아대학교에서 매입, 부민동교정으로 쓰고 있다.
국보와 보물을 가지고 있다. 전시하고 있으면 귀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야외 석조물부터 본다.
동성로 오층석탑
오층석탑에 대한 설명판은 없다. '동성로'는 대구 시내인 것 같다.
아미동 오층석탑
이 석탑에 대한 별도 안내판은 없다. 아미동은 부민동과 인접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병원이 있는 곳이다.
아미동 오층석탑은 동아대학교 동문이 기증하였다.
삼층석탑 /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10호
고려 후기 ~ 조선 전기 석탑으로 여긴다. 높이 2.7m이다.
경남 합천군 대병면 상천리 옛 절터에서 1985년 구덕교정으로 옮겼고, 2010년 12월 이곳으로 다시 옮겼다.
전체 모양은 각 층의 비례가 안정되어 소박하고 간결한 느낌을 준다.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 등록문화재 제41호
일제강점기 때 경상남도 도청 건물로 지어졌다. 뒷건물은 동아대학교가 인수한 후 건립하였다.
이 건물은 6.25사변 때는 대한민국 임시 수도 대통령과 각료들의 집무실이었다.
전쟁 이후 경상남도가 도청으로 창원시로 이사 가기 전까지 사용하였다.
이후 부산법원/검찰청 건물로 쓰였다. 부산시청과 법원/검찰청이 거제동으로 이전, 동아대학교가 사 들였다.
하얀 건물은 부산법원/검찰청이 오면서 지은 건물이다.
문인석과 부도(승탑). 대적사 부도란 팻말이 있다.
감로사 부도
연자맷돌
석인상
부산 가면놀이 - 동래야류
목조 보살좌상(복제품), 국가무형문화재 목조각 장인 전기만 선생, 아들이며 제자인 전상용 선생께서 기증.
울산 반구대 암각화(유화), 고일웅 선생 기증. 암각화 일부분을 그린 것이다.
반구대 암각화, 그림인지 탁본인지 모르겠다. 아마 그림이겠다.
신화 관련 책에서 이런 내용을 읽었다. 사진 좌편에 위로 향하는 고래를 볼 수 있다. U자 모양도 있다.
이건 정자가 난자를 찾아 가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동물이 그려진 이 그림, 어떤 의미인지 아직 해석이 안 된 모양이다.
고래와 사슴, 사슴과 고래, DNA 일치률이 높다고 한다. 사슴이 고래로 진화한 것이 아닌가 상상하기도 했다.
왕솔, 천봉근 선생 기증
기획전시실, 문화재 발굴, 복원, 보존 등을 보여 준다.
의령 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 / 보물, 한 단 높은 곳에 있는 불상.
통일신라시대 제작(9세기), 의령 보리사지는 표지만 있다. 의령지역 전통사찰 탐방 때 가 보았다. 의령군 가회면.
의령 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 / 보물
송시열 초상 / 부산시 유형문화재, 동아대학교 소장
공자 초상
주자 초상
기자 초상
재갈 무후 초상, 제갈공명이겠다.
대원군 초상 / 부산시 유형문화재, 흥선 대원군일까? 19세기 작품이면 흥선 대원군이겠다.
지자총통 / 보물, 조선 1557년(명종 12)에 만듦. 재질은 청동.
쌍자총통 / 보물, 조선 1583년(선조 17) 만듦. 재료는 청동.
금강전도 12첩 병풍 / 부산시 유형문화재, 금강산을 그린 병풍. 19세기 작품.
관북여지도(1면 길주목) / 보물, 조선 1738년 종이에 채색, 1첩 13면. 함경도 요충지를 치밀하게 그린 지도집.
고려사(책) / 보물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 보물, 1604년(선조 37), 군신 간 의리를 다지는 장면을 그린 조선 최초 궁중 행사 기록화
新舊功臣會題名之圖 屛風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 부산시 유형문화재, 1558년(명종 13), 목판본, 1권 1책. 불교 서적
해주도 병풍 / 부산시 유형문화재, 1867년 이후 추정, 황해도 감영 해주성 일대를 그린 유일한 화화식 지도
한음 이덕형 초상 초본 / 부산시 유형문화재, 17세기.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 보물, 1첩 14면 ▷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은 본 카페엔 별도 올릴 예정, 그림과 현재 위치를.
정선 필 청풍계지각 / 부산시 유형문화재, 정선(1676~1759), 권세가 김삼용 별장(서울 인왕산 골짜기)을 그린 그림
홍현주 필 산수도 - 잔산잉수殘山剩水 / 부산시 유형문화재, 홍현주(1793~1865)
홍현주는 정조대왕 사위(부마), 홍현주가 정약용의 시를 더 해서 그린 그림.
휴대용 평면 해시계(평면일영) / 부산시 유형문화재, 강윤(1830~1898)이 제작.
원수명 가죽투구와 갑옷 어깨장식 / 부산시 유형문화재, 18세기 말~19세기. 가죽과 황동
(元帥名 皮胄(피주)와 肩龍(견룡/견장))
무궁화 자수, 한서 남궁억(1863~1939) 선생이 민족의식을 일으키기 위해 고안하고 만든 것. 무궁화 13송이는 조선 13도이다.
밀양 고법리 벽화묘, 이 그림은 밀양박물관에도 있다. 고법리는 밀양시 청도면이다. 본 카페(절을 찾아서) 밀양박물관 참조.
첫댓글 잘 보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