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 集註 (맹자 집주)
卷之 十 萬 章 章 句 下 (권지 십 만장 장구 하)
16 耕者之 所獲 (경자지 소획) 은, 一夫 百畝 (일부 백무) 니, 百畝之 糞
1 2 3 5 4 1 2 3 4 1 2 3 4
(백무지 분) 에, 上 農夫 (상 농부) 는, 食 九人 (사 구인) 하고, 上次 (상차) 는,
1 2 5 3 4 1 2
食 八人 (사 팔인) 하고, 中 (중) 은, 食 七人 (사 칠인) 하고, 中次 (중차) 는,
5 3 4 1 4 2 3 1 2
食 六人 (사 육인) 하고, 下 (하) 는, 食 五人 (사 오인) 이니,
5 3 4 1 4 2 3
庶人 在官 者 其祿 (서인 재관 자 기녹) 도, 以是 爲差 (이시 위차) 니라.
1 2 4 3 5 6 7 3 1 4 2
解釋 밭가는 사람의 얻는 바는, 한 지아비가 백 무인데, 백 무의 밭에 거름을 함에,
상 농부는, 아홉 식구을 먹이고, 상의 다음은, 여덟 식구를 먹이고, 중은, 일곱
식그을 먹이고, 중의 다음은, 여섯 식구을 먹이고, 하는, 다섯 식구을 먹이고,
서인(평민)으로 벼슬 자리에 있는 사람의 그 녹도, 이러한 차등으로 써 하느니라.
字解 耕: 밭갈 경. 者: 사람 자. 之; 어조사 지(~ 의란 뜻) 所: 바 소. 獲; 얻을 획.
一: 하나 일. 夫: 지아비 부. 百: 백 백. 畝: 밭 이랑 무. 百; 백 백
畝: 밭이랑 무. 之: 어조사 지. 糞: 똥 분 (거름이란 뜻) 上: 윗 상. 農: 농사 농.
夫; 장부 부 (사람이란 뜻) 食; 먹을 식 (먹이다란 뜻) 九: 아홉 구.
人: 사람 인 (식구란 뜻) 食; 먹을 식 (먹이다란 뜻) 次; 버금 차, 다음 차.
八: 여덟 팔. 人: 사람 인 (식구란 뜻) 中: 가운데 중. 食; 먹을 식 (먹이다란 뜻)
七 : 일곱 칠. 人: 사람 인.(식구란 뜻) 食; 먹을 식 (먹이다란 뜻) 六: 여섯 육.
人; 사람 인(식구란 뜻) 下; 아래 하. 食; 먹을 식 (먹이다란 뜻) 五: 다섯 오.
人: 사람 인 (식구란 뜻) 庶: 뭇 서. 人: 사람 인. 在: 있을 재.
官: 벼슬 관 (관직이란 뜻) 者: 사람 자. 其: 그 기. 祿: 녹봉 녹. 以: 써 이.
是: 이 시 (이러한dml 뜻) 爲: 할 위 (삼다란 뜻) 差: 차등 차.
庶人(서인): 평 민, 보통사람.
17 萬章 (만장) 이, 問曰 敢問 友 (문왈,감문 우) 하노이다, 孟子 曰 不挾 長
1 2 3 4 6 5 1 2 5 4 3
(맹자 왈 불협 장) 하며, 不挾 貴 (불협 귀) 하며, 不挾 兄弟而 友
3 2 1 5 3 1 2 4
(불협 형제 이 우) 니, 友也 者 (우야 자) 는, 友其 德也 (우기 덕야) 니,
1 2 3 1 2
不可 以 有挾也 (불가 이 유협야) 니라.
5 6 2 4 3
解釋 만장이, 물어 말하기를 감히 벗에 대하여 묻노이다, 맹자가 말하기를 나이 많음을
가지고 잘난체 말며, 귀함을 가지고도 잘난체 말며, 형제가 많음을 가지고도 잘난체
말고 벗해야 하니, 벗이라는 것은, 그 덕을 벗하는 것이니, 잘난차함을 가지고
있음은 써 옳지 아니하니라.
字解 萬章(만장) 問: 물을 문. 曰: 말할 왈. 敢: 감히 감. 問: 물을 문.
友: 벗 우. 孟子(맹자) 曰: 말할 왈. 不: 아닐 불 (말다란 뜻)
挾: 가질 협 (생각하다나, 잘 난체하다란 뜻) 長: 어른 장, 나이많을 장. 不: 아닐 불((말다란 뜻)
. 挾: 가질 협 (생각하다나, 잘 난체하다란 뜻) 貴: 귀할 귀. 不: 아닐 불 (말다란 뜻)
. 挾: 가질 협 (생각하다나, 잘 난체하다란 뜻) 兄; 형님 형. 弟: 동생제.
而: 어조사 이, 말이을 이, 友: 벗 우. 友: 벗 우. 也: 어조사 야. 者: 것 자.
友: 벗 우. 其: 그 기 . 德: 덕행 덕. 也: 어조사 야. 不: 아닐 불. 可: 옳을 가.
以: 써 이. 有: 있을 유. 挾: 가질 협 (생각하다나, 잘 난체하다란 뜻) 也: 어조사 야.
18 孟獻子 (맹헌자) 는, 百乘之 家也 (백승지 가야) 니라, 有友 五人焉
1 2 3 4 5 4 1 2 3
(유우 오인언) 하더니, 樂正裘 (악정구) 와, 牧仲 (목중) 이오,
1 2
其 三人 則 予 忘之矣 (기 삼인 즉 여 망지의) 로라, 獻子之 與此 五人者
1 2 3 4 5 6 1 2 8 3 4 5 6
(헌자지 여차 오인 자) 로, 友也 (우야) 에, 無 獻子之 家者也
7 4 1 2 3 5
(무 헌자지 가자야) 니, 此 五人者 亦有 獻子之 家 (차 오인 자 역유 헌자지 가) 면,
1 2 3 4 5 6 7
則 不與之 友矣 (즉 불여지 우의) 리라.
1 4 2 3
解釋 맹헌자는, 백승을 두는 집안이라, 벗 다섯 사람이 있더니, 악정구와 목중이요,
그 나머지 세 사람은 곧 내가 잊었노라, 헌자가 이 다섯 사람과 더불어, 벗을 함에,
헌자의 집안을 없이 여기는 것이니, 이 다섯 사람이 또한 헌자의 집을 있게여기면,
곧 더불어 벗하지 아니하리라.
字解 孟: 맹씨 맹. 獻: 드릴 헌. 子; 아들 자. 百: 백 백. 乘: 멍에할 승, 수레 승, 탈 승.
之: 어조사 지. 家; 집 가 (집안이나 가문이란 뜻) 也: 어조사 야. 有: 있을 유.
友: 벗 우. 五: 다섯 오. 人: 사람 인. 焉: 어조사 언. 樂: 풍류 악
正: 바를 정. 裘: 가죽옷 구, 사람이름 구. 牧: 기를 목. 仲: 버금 중. 忘: 잊을 망.
其: 그 기. 三: 셋 삼. 人: 사람 인. 則: 곧 즉. 予; 나 여 (내가란 뜻)
之: 어조사 지. 矣: 어조사 야. 獻子(맹헌자 임) 之: 어조사 지. 與: 더불 여.
此: 이 차. 五: 다섯 오. 人: 사람 인. 者: 것 자. 友: 벗 우. 也: 어조사 야.
無: 없을 무. 獻子(맹헌자 임) 之: 어조사 지. 家; 집 가(집안이나 가문이란 뜻)
者: 어조사 자. 也: 어조사 야. 此: 이 차. 五: 다섯 오. 人: 사람 인.
者: 어조사 자. 亦: 또 역. 有: 있을 유. 獻子(맹헌자 임) 之: 어조사 지.
家; 집 가(집안이나 가문이란 뜻): 則: 곧 즉. 不: 아닐 불. 與: 더불 여.
之: 어조사 지. 友: 벗 우. 矣: 어조사 의.
孟獻子(맹헌자): 魯(노)나라의 어진 大夫로,仲孫蔑(중손멸)이라함, 獻子는 孟獻子임
樂正裘(악정구): 魯(노) 나라 사람임. 牧仲 (목중): 魯(노) 나라 사람임.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