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부위
전체를 약으로 이용한다.
수치법
누고배건(螻蛄焙乾) : 누고(螻蛄)의 날개와 다리를 떼어내고 기왓장 위에서 황갈색이 될 때까지 약한 불로 가열함.
금기
허약한 자는 복용하지 말 것.
성미
한(寒), 함(鹹)
작용부위
효능행수(行水)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퇴종(退腫)붓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임하열격(下噎膈)기운을 아래로 내려 딸꾹질 및 목이 메이는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해독(解毒)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주치병증나력(瘰癧)서루(鼠瘻), 역자경(癧子頸), 경력(頸癧), 노서창(老鼠瘡) 작은 것이 나(瘰), 큰 것이 역(癧)임. 림프절에 멍울이 생긴 병증. 근심과 분노로 간화(肝火)가 막혀 담(痰)이 되어 경락에 머물렀다가 근육을 수축해 멍울이 됨. 목(頸項)과 귀 뒤, 자개미에 한두 개의 멍울이 생겨 구슬을 꿴 것처럼 이어지고, 처음에는 콩알만 하다가 점차 커져 복숭아씨 만해지고, 증한장열(憎寒壯熱), 인항강통(咽項强痛)이 있고, 누르면 움직임. 남자는 이마에 힘줄이 드러나고, 조열(潮熱)이 나고, 기침하고, 땀이 남. 부인은 눈에 핏발이 서고, 월경이 중단되고, 골증(骨蒸)과 오심번열(五心煩熱)이 있음.석림(石淋)임증(淋證)의 하나.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프고 결석이 섞여 나오는 병증. 습열(濕熱)이 아래에 몰려 있고 방광이 혼탁하여 열이 오랫동안 울결하여 발생한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석림후(石淋候)>에서 "석림(石淋)은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돌이 나오는 것이다. 신(腎)이 수(水)를 주관하는데 수가 맺히면 변화하여 돌이 되므로 신(腎)에 결석이 생긴다. 신이 허하면 열이 승(乘)하는데, 열이 있으면 임증(淋證)이 된다. 이 병의 증상은 소변을 보면 음경(陰莖) 속이 아프고 소변이 끝까지 제대로 나오지 못한다. 아랫배와 방광이 땅기면서 아프고 결석이 요로(尿路)로 나오는데, 심한 경우는 요로가 막혀서 까무러칠 정도로 아프다.(石淋者, 淋而出石也. 腎主水, 水結則化爲石, 故腎客砂石. 腎虛爲熱所乘, 熱則成淋, 其病之狀, 小便則莖裏痛, 尿不能卒出, 痛引小腹, 膀胱裏急, 沙石從小便道出, 甚者寒痛合悶絶.)"라고 하였다.소변불리(小便不利)소변량이 줄거나 잘 나오지 않거나 심지어 막혀서 전혀 나오지 않는 병증. [위생보감(衛生寶鑑)] 제17권에 "소변불리(小便不利)에는 3가지가 있어 하나로 말할 수는 없다. 진액(津液)이 장위(腸胃)로만 스며들어 설사를 하면서 소변량이 적고 잘 나오지 않는 것이 첫번째로, 치료는 분리(分利)해야 한다. 열(熱)이 하초(下焦)에서 진액과 엉켜 열습(熱濕)이 되어 통하지 못하는 것이 두번째로, 반드시 삼설(滲泄)해야 낫는다. 비위(脾胃)의 기가 순조롭지 못해 물길을 제대로 터서 방광(膀胱)으로 내려보내 소변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것이 세번째로, 순기(順氣)하여 기화(氣化)시키면 나온다.(小便不利者有三, 不可一槪而論也. 若津液偏滲於腸胃, 大便泄瀉而小便澁少, 一也, 治宜分利而已. 若熱搏下焦津液, 則熱濕而不行, 二也, 必滲泄則愈. 若脾胃氣澁, 不能通利水道, 下輸膀胱而化者, 三也, 可順其氣, 令施化而出也.)"라고 하였다수종(水腫)몸 안에 수습(水濕)이 고여 얼굴과 눈, 팔다리, 가슴과 배, 심지어 온몸이 붓는 질환. [영추(靈樞)] <수창(水脹)>에서 "수(水)가 막 일어날 때에는 눈꺼풀이 마치 방금 일어났을 때처럼 조금 붓는데, 목의 동맥이 뛰며 때로 기침하고 사타구니가 차며 정강이가 붓고 배가 커지면 수종이 이미 형성된 것이다.(水始起也, 目窠上微腫, 如新臥起之狀, 其頸脈動, 時咳, 陰股間寒, 足脛腫, 腹乃大, 其水已成矣.)"라고 하였다악창(惡瘡)(1) 창양(瘡瘍)으로 인한 농혈(膿血)이 부패하여 오래되어도 낫지 않는 병증. 구악창(久惡瘡), 악독창(惡毒瘡), 완창(頑瘡)이라고도 함. [유연자귀유방(劉涓子鬼遺方)]의 제5권에 두창(頭瘡), 악창(惡瘡), 골저(骨疽) 등에 쇠똥을 태워 그 연기를 쐬는 방법에 관한 기재가 있는데, 악창을 골저와 같이 묶어 다스리는 것으로 보아 잘 낫지 않는 온갖 외양을 일컫는다. [소아위생총미론방(小兒衛生總微論方)]에서는 "소아(小兒)가 전신의 접히는 부위에 악창(惡瘡)이 생기는 것은, 장부(臟腑)에 열(熱)이 있어 외부로 발(發)하는데 외부에서는 풍습(風濕)이 침범하니, 내사(內邪)와 외사(外邪)가 함께 뭉쳐서 기혈(氣血)과 서로 얽혀 그 경락(經絡)의 허(虛)한 곳을 따라가다 정체(停滯)되어 결취(結聚)되는 까닭에 생기니, 혹 크거나 혹은 작고, 혹 가렵거나 혹은 아프고, 혹 궤란(潰爛)되거나 혹은 창(瘡)이 생기고, 혹 농(膿)이 나오거나 혹은 혈(血)이 나오고, 혹 부패(腐敗)되기도 하며 독기(毒氣)와 겸한 것은 오래도록 낫지 않으니 모두 악창(惡瘡)에 속한다.(小兒有緣身生諸惡瘡者, 由臟腑有熱, 衝發於外, 外被風濕所乾, 內外相乘, 搏於氣血, 隨其經絡虛處, 停滯留結而生, 或大或小, 或痒或痛, 破爛成瘡, 或膿或血, 或腐或敗, 挾毒所作者, 久而不差, 皆曰惡瘡.)"라고 하였다. (2) 고름이 많이 들어 있고 심한 증세가 나타나는 온갖 종기.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35권에서 "여러 가지 창(瘡)이 몸에 생기는데, ……창이 가렵고 아프며, 후끈거리고, 부으면서 창에 고름이 많고, 몸에 장열(壯熱)이 나면 악창이라고 한다.(諸瘡生身體, …… 瘡癢痛焮腫而瘡多汁, 身體壯熱, 謂之惡瘡也.)"라고 하였다. (3) 악성 혹[腫瘤]을 말함. 근래에 나쁜 혹 덩어리를 악창이라고도 한다. (4) 나력(瘰癧)을 말함. 곽박파(郭璞把)의 [산해경(山海經)]에서는 역(癧; 연주창)을 악창이라고 하였다.
포함 처방 (총 7건)구명통심산(救命通心散)소장기(小腸氣)로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자연동산(自然銅散)A넘어지거나 부딪쳐서 근골(筋骨)이 상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차구산(車狗散)대소변을 오래도록 보지 못하여 번만(煩滿)하여 죽을 것 같은 자에게 쓰는 처방임통신산(通神散)A추차산(推車散)대소변(大小便)이 막혀 죽을 것 같은 병증을 치료하는 처방임신선도정약(神仙刀箭藥)의우방(又方)자연동산(自然銅散)B넘어지거나 부딪쳐서 근골(筋骨)이 상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