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I Love NBA
 
 
 
카페 게시글
非스포츠 게시판 스크랩 영화 인터스텔라 스포
[부정선거]중얼중얼 추천 1 조회 1,356 14.11.13 20:10 댓글 1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11.13 20:16

    첫댓글 아...... 흰색은 종이고 검은색은 글씨군요

  • 14.11.13 20:25

    진짜...어렵네요. 난독증 생긴줄 알았어요 ㅎ

  • 14.11.13 21:00

    좋은글입니다.

  • 작성자 14.11.13 21:03

    이거 쉽게 설명해주실분 구합니다. 저도 퍼왔지만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 14.11.13 21:41

    전 진짜 3번은 도저히 이해를 못하겠어요..중력이 공간을 왜곡시킨다는 것도 정확한 개념이 안서는데 시간이 도대체 어떻게 왜곡이 된다는건지 ㅜㅜ 아 머리야

  • 14.11.13 21:47

    뭔지 모르겠는데 영화는 꿀잼

  • 14.11.13 22:08

    영화 보면서 제일 의문인게 주인공이 블랙홀 안에서 사건 지평선을 통과하는 것인데 어떻게 통과하나요?
    그들에게 비호를 받았다고 해도 돌파할때 5차원 공간 만들어줄때나 가능한 얘기고
    일단 블랙홀 근처만 가도 체중이 수배로 증가할텐데요. 통과는 커녕 진입 시도만 해도 압궤 현상이 일어나야 하지 않나요?
    스페이스 오페라가 아닌 워낙 이론적으로 무장한 영화라 이건 좀 이해가 안 가더군요.
    그리고 26차원인 줄 알았는데 11차원으로 이뤄진게 현재 대세론인가 보네요.

  • 14.11.14 09:49

    뭐.. 영화적 감수성으로 이해해야 할 듯 합니다. 저도 블랙홀을 통과한다고? 어떻게? 유기물이 그걸 버틸 수가 있어???? 란 의문을 어떤 방식으로 풀어줄지 기대했는데.... 어물쩍 넘어갔더라구요. 아직 인간의 지식으로 그걸 표현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긴 하다는 생각으로 이해했습니다.

  • 14.11.19 16:14

    블랙홀을 통과한게 하니라 시간 수평선을 스쳐지나간 것 아닌가요? 블랙홀 근처로 가면서 비상탈출로 살짝 궤도에서 비껴나가서 시간 수평선에서 지구에 중력을 이용해 영향을 준 뒤 웜홀로 빠져나간 중 알았는데...

  • 14.11.19 16:32

    @낑낑 그게..저도 나중에 초문명을 건설한 인류의 후손이 큐브를 만들어줘서 탈출한 걸로 알았는데 그게 아닌듯 합니다.
    정확한건 디렉터컷을 다시 봐야겠지만 '초끈 이론'으로 탈출한 것 같습니다.

    사상의 지평선을 넘어 블랙홀 중심에 있는 중력 특이점에 도착해 쿠퍼의 정신이 물리적 시간을 넘어
    과거 현재 미래가 얽히고 섥힌 공간에 도달한 겁니다. 그게 큐브죠.
    그리고 목적을 이룬 후 쿠퍼의 정신을 시간이 따라 잡아 현실이 된 후 웜홀을 통해 다시 나왔다고 봐야 할 듯 싶습니다.
    블랙홀은 일단 빨려 들어가면 빛보다 빠른 속도로 탈출해야하기 때문에 살짝 궤도 비껴 나가고 자시고가 애초에 안 됩니다.

  • 14.11.19 16:27

    @낑낑 다만 앞서 제가 설명한거 들으시면 아시겠지만 초끈 이론은 과학계에서 판타지 취급 받는 수준이라
    이론으로 중무장한 인터스텔라에선 안 어울리는 부분이 아닌가 개인적으로 생각을 해봅니다.

    저는 초끈이론이 아니라 인류의 머나먼 후손이 도와줘서 큐브가 만들어진 줄 알았기에
    타임 패러독스로 받아들였는데 여기저기서 보니 초끈이론을 정말로 영화에 쓴 듯 싶네요;
    이 경우 애초에 토성에서 첫번째로 열려있는 웜홀을 누가 열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습니다.
    적어도 영화상에서 쿠퍼가 열진 않았거든요.

  • 14.11.13 22:23

    감사합니다. 제가 문과라 잘 몰라서 그러는데 옛날에 '청소년을 위한 상대성 이론'이란 책을 본 기억을 더듬어 보면... 이 개념이 예를 들면 시간을 '시각'으로 느낀다라고 가정하면, 시각은 물건에 반사된 빛을 통해 시간을 느끼는데... 예를 들면 방안에 의자 하나와 벽에 그림이 있으면... 빛이 이 물건들을 때리고 눈으로 들어온다. 그런데 빛이 엄청 빨라서 우리는 동시라고 느끼지만, 더 가까이 있는 의자의 빛이 벽에 걸린 그림 보다 더 사건적으로 최근의 빛이다... 만약 빛보다 빠를 수 있다면 시간 개념이 달라질 거다... 이랬던 것 같은데요. 제가 이해하고 있는 게 맞는 개념인가요?

  • 14.11.13 22:53

    저도 이런식으로 이해하고있어요! 이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당ㅋ

  • 14.11.13 23:23

    제대로 이해하고 계신 것 맞습니다. 빛에도 속도가 존재하는 이상 우리가 인지하는 시간은 상대적일 수 밖에 없는거죠.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