奬忠壇 ( 장춘단 )
장춘단공원(奬忠壇公園)의 기막힌 역사(歷史)
奬忠壇 ( 장춘단 )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閔氏)가 살해된 지 5년 뒤인
1900년 9월, 고종은 남소영(南小營) 자리에 장충단을 꾸며 사전(祠殿)과 부
속건물을 건립,을미사변 때 순사한 장졸들의 영혼을 배향하여 매년 봄·가을
에 제사를 지냈다.
처음에는 을미사변 때 전사한 시위대장 홍계훈(洪啓薰),영관(領官) 염도희
(廉道希)·이경호(李璟鎬)를 주신으로 제향하고 대관(隊官) 김홍제(金鴻濟)·
이학승(李學承)·이종구(李鍾九) 등 장병들을 배향하여 제사지냈다.
그러나 ‘창선(彰善)·표충(表忠)의 일이 어찌 군인에게만 한할 것이랴.’는 육
군법원장(陸軍法院長)백성기(白性基)의 제청에 의해 다음해부터 을미사변
때 순국한 궁내부대신 이경직(李耕稙)을 비롯,임오군란· 갑신정변 당시에
순의(殉義), 사절(死節)한 문신들도 추가, 문무의 많은 열사들이 장충단제향
신위(奬忠壇祭享神位)에 포함되었다.
당시 이 같은 항일 ·배일(排日)의 인물들을 장충단에 제향한 일은 장병들을
크게 감격 고무시켰으며 일제의 횡포가 극심함에 따라 일반의 장충단에 대
한 경모심도 더욱 커졌다. 경술국치(庚戌國恥)를 전후하여 애창된 《한양가
(漢陽歌)》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어 그러한 일면을 말하여 준다.
"남산 밑에 지은 장충단 저 집
나라 위해 몸바친 신령 뫼시네/
태산 같은 의리에
목숨 보기를 터럭같이 하도다/
장한 그분네."
제사를 지낼 때에는 군악을 연주하고 군인들이 조총(弔銃)을 쏘았다. 그러나
1910년 8월 장충단은 일제에 의해 폐사되고 말았다. 1920년대 후반부터 일
제는 이곳 일대를 장충단공원으로 이름하여 벚꽃을 심고 공원시설을 설치하
였으며, 상해사변(上海事變)당시 일본군인 결사대로 전사한 육탄삼용사의
동상과 이토(伊藤博文)의 보리사(菩提寺)인 박문사(博文寺)를 건립하였다.
광복 후 육탄삼용사의 동상과 박문사는 철거되었다 6·25전쟁으로 장충단 사
전과 부속 건물은 파손되었으나 장충단비(奬忠壇碑: 서울특별시 지방유형문
화재 제1호)는 남아 있다.
이 비는 원래 영빈관 내에 있었는데,1969년 지금의 수표교(水標橋: 서울특별
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서편으로 옮겼다.비의 ‘奬忠壇(장충단)’ 세 글자는 순
종이 황태자였을 때 쓴 글씨이며, 뒷면에는 민영환(閔泳煥)이 쓴 143자의 찬
문(撰文)이 새겨져 있다 정부수립 후 장충단공원 경내에는 여러 공원시설이
들어섰다.
장충단은 지금의 신라호텔내의 영빈관자리가 유력하고 그남쪽의 타워호텔에
이르는 터는 南小營으로 대한제국육군의 병영으로 군의 주둔지였으며 서로
는 국립극장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였다.
안개 낀 장충단공원 (최치수 작사, 배상태 작곡, 배 호 노래.)
1960년대 불멸의 가수 배호가 불러서 히트시킨 ‘안개 낀 장충단공원’이라는
노래는 부르면 부를수록 구구절절 참으로 애절하기 그지없습니다.도대체 어
떤 사연이 서려 있기에 들으면 들을수록 이토록 가슴이 애잔해지는 걸까요?
(1절)
안개 낀 장충단 공원 누구를 찾아 왔나
낙엽송 고목을 말없이 쓸어 안고 울고만 있을까
지난날 이 자리에 새긴 그 이름 뚜렷이 남은 이 글씨
다시 한 번 어루만지며 돌아서는 장충단공원.
(2절)
비탈길 산길을 따라 거닐던 산기슭에
수많은 사연에 가슴을 움켜쥐고 울고만 있을까
가 버린 그 사람이 남긴 발자취 낙엽만 쌓여 있는데
외로움을 달래 가면서 돌아서는 장충단공원.
위의 ‘이 자리에 새긴 그 이름'과 '뚜렷이 남은 이 글씨’는 무엇을 의미하며, ‘가슴을
움켜쥐고 울어 버린 수많은 사연과 가 버린 그 사람이 남긴 발자취’는 과연 누구의
사연과 발자취일까요?이 노래가 헤어진 연인을 잊지 못하며 흐느끼는 단순한 사랑
의 노래일까요? 대한민국 국민 대부분은 배호의 노래와 먹거리인 장충동 족발만
알고 있을 뿐 장충단 공원에 얽힌 슬픈 사연은 물론 그곳이 어디에 있는지조차 잘
모르고 있습니다
첫댓글 송무학수(松茂鶴壽)
소나무처럼 늘 푸르고 젊게 살고 학처럼 건강하게 오래오래
살라는 뜻입니다.천하를 잃어도 건강하면 幸福!
돈보따리 짊어지고 요양원 가봐야 무슨 소용 있나요?
경로당 가서 학력 자랑 해봐야 누가 알아주나요?
늙으면 있는 자나, 없는 자나, 그 자가 그 자요.
배운 자나, 못 배운 자나 거기서 거기랍니다
병원 가서 특실입원, 독방이면 무슨 소용 있나요?
지하철 타고 경로석 앉아 폼 잡아 봐야 누가 알아주나요?
늙으면 잘 생긴 자나, 못생긴 자나 그 자가 그 자요.
모두가 도토리 키 재기요, 거기서 거기라오.
지난날의 영화는 다 필름처럼 지나간 옛일,
돈과 명예는 아침이슬처럼 사라지고 마는 허무한 것이랍니다.
노년 인생 즐겁게 살려거든 친구와 건강 많이 챙기십시오.
버스 지나간 뒤 손들면 태워줄 사람 아무도 없듯이 뒤늦게
건강타령 해봐야 이미 버스는 지나간 뒤랍니다.
천하를 다 잃어도 뭐니 뭐니 해도 건강이 최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