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 결혼정보회사의 가입 평가조건(남성)
I. 직업(100점 만점)
1등급(100점): 서울지방법원 판사, 행정고시(재경직렬), 3급이상 일반직 고위공무원
2등급(95점): 서울지검 검사, 서울 외 지방법원 검사, 행정고시(일반직렬), 5급이상 일반직 고위 공무원
3등급(90점): 사법고시 합격자(500등 이내), 강남지역 개업 치과의사 및 기타 전문의, 국립대학 교수
4등급(85점): 대학병원 페이닥터, 강남지역 개업 한의사, 외국계 및 대형 증권사 펀드매니져&애널리스트, 서울권 주요 10개 사립대학 정교수, 김앤장 출신 변호사, 삼일회계법인 회계사
5등급(80점): 3대 금융권 공기업 취업자(한은,수은,산은), 일반병원 페이닥터(군의관), 4대 로펌 변호사, 변리사, 4대 회계법인 회계사, 주요 10개 대학 이외 정교수
6등급(75점): 검찰/국세청/법원/국정원 7급공무원, 경찰대 출신 간부직(비경찰대 출신 제외), 고연봉 공기업 공채출신(도로공사,SH공사,석유공사,한국전력), 기술사(한양대 공대 이상 출신), 8대 회계법인 회계사, 10대 로펌 변호사
7등급(70점): 삼성/SK/대한항공/LG 등 10대 그룹 이내의 전략기획팀/자산운용팀/비서실 등 S급 부서 취직자, 4대 은행 본사 취직자, PB(Private Banker), 외국계 증권사 취직, 감정평가사, 전문대 교수, 개업약사, 한국경제연구소/국세청/감사원 소속 국책연구소 연구원
8등급(65점): 일반 7급 공무원, 일반 고액연봉 대기업(GS칼텍스/SK정유/포스코/SKT/KT/대 림), 교사(임용고시 출신), 세무사, 법무사, 관세사, 노무사, 외국계 제약회사 연구직
9등급(60점): 일반 30대 대기업의 일반 사무직, 시중 4대 은행 일반지점 취직자, 국민연금공단/의료보험공단 취직자, 서울시청/검찰/법무부/국세청등의 주요 국가부서 9급 공무원, 교육계열 7급 이상
10등급(55점): 일반 9급 공무원, 비 임용고시 출신 교사, 마이너 공사(철도공사, 수협, 신협), 50대 그룹 이내 대기업 영업직 및 일반 사무직
11등급 및 기타 등급(25점): 일반 경찰 및 소방공무원, 영세 개인 사업자, 중소기업 취직자, 기술공, 공무원 제외 체육관련 업무 종사자
*위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직업군은 비 선호 직업군임으로 별도의 심사를 거치며, 일반적으로는 30점 처리
*연봉이 1억 이상일 경우에는 +10점 가산
*개인 사업자의 경우, 연 수익 2억 이하는 관계 없이 11등급으로 처리한다
*한양대 공대 출신 이하의 대기업 생산직 및 연구직은 조기퇴직률이 높으므로 2클래스를 내린다
II. 학벌(100점 만점)
1. 서울대, 포항공대, 카이스트, 상위 10개 의대&경희대 한의예과: 100점
2. 연세대, 고려대(법, 경영, 경제등 주요학과 출신에 한해), 상위 30개 의대&5대 약대, 경찰대, 3대 한의예과: 90점
3. 성균관대(법, 상경),서강대(상경),한양대(법, 상경, 공대), 부산대, 경북대, 경희대, 외대, 서울교대, 육군사관학교: 80점
4. 부산, 경북을 제외한 주요 지방 국립대, 건국대, 동국대, 지방교대 : 60점
5. 기타 지방 및 경기권 사립대(주요대학 분교): 30점
*괄호안의 학과 출신은 +5점
*비등록된 4년제 대학은 학벌점수에서 일괄 기본점수 30점 처리
*2,3년제 출신 및 고졸 0점 처리
*편입 출신은 전적대학의 수준을 고려하여 등록위원회에서 별도로 결정함
*주요대학 분교 출신(원주 연세대, 서창 고려대, 용인 외국어대, 수원 경희대, 안성 한양대)는 전부 일괄 30점 처리한다
*연세, 고려, 성균관대, 서강, 한양, 경희, 외대 편입 출신까지는 기존 대학에 부여된 점수에서 20점 감함
*예체능 출신의 경우 대학에 관계없이 점수를 가산하지 않는다
*외국 명문대 목록은 별첨
*석, 박사 출신은 10개 명문대의 경우 각각 +5/+10점을 가산함
Cf)주요 10개 명문대는 서울대, 포항공대, 카이스트,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외대, 경희대, (지방의 경우 부산대, 경북대 포함) 출신을 의미한다.
III. 가정환경 및 재산 점수(100점)
1. 50억 이상: 100점
2. 30억 이상: 90점
3. 20억 이상: 80점
4. 15억 이상: 70점
5. 10억 이상: 60점
*형제의 수가 2명을 초과할 경우 -15점
*외동일 경우 +10점 가산
*10억 이하는 재산 점수 0점 처리, 100억 이상인 경우는 추가 가산점 +30점(이 경우의 가산점은 부여된 점수 100점을 초과해도 추가 가산이 가능하다
*부모님이 별거 및 이혼 상태일 경우 가정환경 -20점
*부모님이 직업군에서 3등급 이상에 속할 경우이고, 현직일 경우 +20점
*부모님이 회사규모 100억 이하의 개인 사업 및 자영업자의 경우 -20점
IV. 외모(50점 만점)
1. 신장 180cm 이상/준수한 외모: 50점
2. 신장 180cm 이상/호감가는 외모: 45점
3. 신장 180cm 이상/평범한 외모: 40점
4. 신장 175cm 이상/준수한 외모: 35점
5. 신장 175cm 이상/호감가는 외모: 30점
6. 신장 175cm 이상/평범한 외모: 25점
*외모의 평가는 등록위원회의 심의를 거친다
*남성 신장 175cm 이하는 -15점
*얼굴에 심한 흉터가 있을 경우 -5점
*기타 외모의 수준에 따라서 심사절차를 통해 최대 +10점 가산이 가능하며, 신장 조건이 맞아도 외모가 문제가 있을 경우(심한 여드름, 흉터, 화상, 반응장애)에는 최대 -20점 감산 가능하다
V. 기타(50점)
*직장과 본가 모두 서울에 있는 경우 +20점
*흡연자의 경우 -10점
*대형급 차량이상 보유시(BMW,벤츠 +10점) +5점
*서울시에 5억 상당 아파트 소지 및 부모로부터 증여받은 경우 +50점
*2억 이상의 주택 보유자 +20점
<U>*개인적인 심각한 병력이나 유전병이 있는 가계일 경우 -50점</U>
*30살 미만의 경우 +10점
*35살 이상이 경우(초혼) -10점
*부양 의무가 있는 경우 -30점
상기의 조건은 최대 50점의 제한 없이 감, 가산이 가능하다.
플래티넘 클래스의 경우 320점을 가입 허가기준으로 한다
총점 270점 미만인 경우 자체 회원등록을 금지한다
모 결혼정보회사의 가입평가조건(여성)
I. 외모(100점 만점)
1. 신장 165이상, 미인형, 몸무게 50킬로 미만 (100점)
2. 신장 163이상, 미인형, 몸무게 47킬로 미만 (90점)
3. 신장 160이상, 미인형, 몸무게 45킬로 미만 (80점)
4. 신장에 160 미달인 미인형 (70점)
5. 신장 165이상, 호감형, 몸무게 50킬로 미만(70점)
6. 신장 163이상, 호감형, 몸무게 47킬로 미만(65점)
7. 신장 160이상, 호감형, 몸무게 45킬로 미만(60점)
*여성의 경우, 외모가 호감형 미만일 경우 30점 감산
*미인형, 호감형 이외의 신장 160 미만의 경우 20점 감산
*뚱뚱한 체형의 경우 20점 감산
*흡연자의 경우 20점 감산
*외모 점수는 마이너스로 Total Score에서 반복 차감 가능함
II. 직업(100점 만점)
1등급(100점): 서울지방법원 판사, 행정고시(재경직렬), 3급이상 일반직 고위공무원
2등급(95점): 서울지검 검사, 서울 외 지방법원 검사, 행정고시(일반직렬), 5급이상 일반직
3등급(90점): 사법고시 합격자(500등 이내), 강남지역 개업 치과의사 및 기타 전문의
4등급(85점): 대학병원 페이닥터, 강남지역 개업 한의사, 외국계 증권사 펀드매니져, 서울권 주요 10개대학 정교수, 국립대학 교수
5등급(80점): 3대 금융권 공기업 취업자(한은,수은,산은), 일반의사(군의관), 4대 로펌 변호사, 변리사, 4대 회계법인 회계사, 주요 10개 대학 이외 정교수
6등급(75점): 검찰/국세청/법원/국정원 7급공무원, 경찰대 출신 간부직(비경찰대 출신 제외),고연봉 공기업 공채출신(도로공사,SH공사,석유공사,한국전력), 개업 약사, 기술사(한양대 공대 이상 출신), 아나운서
7등급(70점): 10대 로펌 변호사, 8대 회계법인 회계사, 삼성/SK/대한항공/LG 등 10대 그룹 이내의 전략기획팀/자산운용팀/비서실 등 A급 부서 취직자, 4대 은행 본사 취 직자, PB(Private Banker), 외국계 증권사 취직, 감정평가사, 전문대 교수
8등급(65점): 일반 7급 공무원, 일반 고액연봉 대기업(GS칼텍스/SK정유/포스코/SKT/KT/대 림),교사(임용고시 출신), 세무사, 법무사, 관세사, 노무사
9등급(60점): 일반 30대 대기업의 일반 사무직, 시중 4대 은행 일반부서 취직자, 국민연금공단/의료보험공단 취직자, 서울시청/검찰/법무부/국세청등의 주요 국가부서 9 급 공무원, 교육계열 7급 이상
10등급(55점): 일반 9급 공무원, 비 임용고시 출신 교사, 마이너 공사(철도공사, 수협, 신협)
11등급(50점): 디자이너, 마케터, 광고업계 종사자, 컨설턴트
12등급(20점): 예체능 계열 직업 종사자, 일반 경찰 및 소방공무원, 영세 개인 사업자, 중소기업 취직자, 기술공, 공무원 제외 체육관련 업무 종사자
*스튜어디스, 간호사, 일반 학원강사 등 등록이 빈번하지만 남성측 집안에서 비선호하는 여성직업군의 경우 해당 점수에서 -10점 감산
*연봉 1억 이상일 경우 직업군에 관계없이 +10점 가산
*교육계 직업군(교수, 조교수, 정교사, 교육청 정식 공무원)의 경우 여성은 +10점 가산</U>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업군의 경우 +5점 가산
III. 가정환경 및 재산 점수(100점)
1. 50억 이상: 100점
2. 30억 이상: 90점
3. 20억 이상: 80점
4. 15억 이상: 70점
5. 10억 이상: 60점
*형제의 수가 3명 이상일 -15점
*외동일 경우 +10점 가산
*10억 이하는 재산 점수 0점 처리, 100억 이상인 경우는 추가 가산점 +30점
*부모님이 별거 및 이혼상태일 경우 가정환경 -20점
*부모님이 직업군에서 3등급 이상에 속할 경우이고, 현직일 경우 +20점
*부모님이 회사규모 100억 이하의 개인 사업 및 자영업자의 경우 -20점
IV. 학벌(50점)
1.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포항공대, 카이스트: 50점
2. 성균관대(법, 상경),서강대(상경),한양대(법, 상경, 공대), 부산대, 경북대, 경희대, 외대, 서울교대, 이화여대, 서울교대: 40점
3. 부산, 경북대를 제외한 국립대 및 주요 서울 소재 15개 대학: 30점
*외모와 직업 점수에서 150점 이상 획득했을 경우 40점에 준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편입의 경우, 전적 대학을 고려하여 (전적대학+졸업대학)/2의 점수를 부여한다
*2, 3년제 전문대 출신자의 경우 0점 처리
<U>*사범대 및 교대 출신의 경우 +5점 가산
*주요대학 분교 출신(원주 연세대, 서창 고려대, 용인 외국어대, 수원 경희대, 안성 한양대)는 전부 일괄 10점 처리한다
*연세, 고려, 성균관대, 서강, 한양, 경희, 외대, 이화여대 편입 출신까지는 기존 대학에 부여된 점수에서 20점 감함
*10개 주요대학 석박사 출신 각각 +5/+10
Cf)주요 10개 명문대는 서울대, 포항공대, 카이스트,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외대, 경희대 출신을 의미한다.
수도권 이외 지방의 경우 부산대,경북대를 포함함.
V. 여성의 부모(50점-100점)
1. 3급이상 고위 공무원 재직, 판검사, 주요지역 개인병원 의사, 구청장(2급) 이상 선출직 정치인, 30대 그룹 전무이사 이상, 300억 규모 이상의 개인 회사 운영자, 정부기관장: 50점
2. 5급이상 고위 공무원 재직, 변호사, 회계사, 변리사, 페이닥터, 4대 은행 지점장, 교수, 기술사, 대형언론 편집장 및 PD, 시의원 이상 선출직 공무원, 외국계 대기업 관리직 임원 이상: 40점
3. 30대 대기업 부장급 이상, 100대 그룹 임원 이상, 법무사, 세무사, 감정평가사, 관세사, 노무사, 장학관, 5급이상 교육공무원, 100억 규모 이상의 개인 사업 운영자, 약사: 30점
4. 일반기업 차장급 이상, 일반교사, 학원강사, 중소기업 운영자, 영업직 사원, 개인사업자, 유통업계 종사자, 단순 노동 종사자: 10점
*현직이 아닐 경우 -20점 감산
*영세 개인 사업자의 경우 100억 규모가 안될 경우 0점 처리한다
*기타 평가 사유를 거쳐서 최대 +20점까지 가산이 가능하다
*재산 보유액에 비례하여 추가 감산, 가산이 가능하다
*10점대 직업군의 경우 재산이 10억 이하일 경우 일괄 0점 처리한다
*부모 모두 4년제 대학 졸업시 +10점
*부모 양쪽의 점수를 각각 추가 배당한다(부 50점, 모 50점)
VI. 기타(감산조건)
*직장과 본가 모두 서울에 있는 경우 +20점
*초혼이 아닌 경우 -30점 감산(아이가 없을 시)
*초혼이 아니며, 아이가 있을 경우 -70점 감산
*흡연자의 경우 -30점
*3억 이상의 개인자산 보유시 +50점
*1억 이상의 개인자산 보유시 +20점
플래티넘 클래스의 경우 300점(어머니쪽이 직업을 가졌을 경우 330점)을 가입 허가기준으로 한다
총점 250점(어머니쪽이 직업을 가졌을 경우 280점) 미만인 경우 회원등록을 금지한다
첫댓글 존나 무서운 세상이다..편입의 경우, 전적 대학을 고려하여 (전적대학+졸업대학)/2의 점수를 부여한다..머..이런 것까지..
스튜어디스, 간호사, 일반 학원강사 등 해당 점수에서 -10점 감산(안습;;;)
학벌에서 너무 많이 까먹는다 ㅠ
출처가 불분명하네 ㅡㅡ 출처있는 근거있는 자료만 퍼오길 바람
듀오
남자 270점 이하는 아예 회원이 되지도 못하네 ㅡㅡ;;
뭔 의사는 5등급?? 대다수 직업은 걍 11등급이고 허허
좃슬까잡숴 ㅜㅜ
115점이네 탈락 ㅋㅋ
존나이따위냐
삭제된 댓글 입니다.
예민하게 반응할 거 있냐? 일반적인 사회인식으로 보면 될 듯..이런 등급표 보면서 내 학벌이나 직업은 어느 정도 평가를 받는구나 대충 알 수 있는거지.
ㅋㅋ 김앤장변호사는 1등급아니면 2등급인데.. 무슨 500등이내 연수원변호사보다 낮아?
저기 12등급까지의 국민들보다, 저기 없는 국민들이 8:2 9:1 정도로 많을듯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