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에 가입한 직장인 가입자 이모 씨(39·여)는 최근 보험사들의 실손보험료 인상 소식에 등골이 서늘하다.
작년말 월 7만3000원짜리 실손보험에 들자마자 보험료가 바로 오르게 된 것.
가입자는 “인상 직전 가입한 게 다행이지만 1년마다 갱신하는 것이라서 어차피 내년부턴 10만 원 가까이 내야 한다. 속은 것 같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지난달 22개 보험회사가 실손보험료를 6.8∼44.8%(40세 남성 기준) 일제히 올린 데 대해 거센 여론의 반발이 쏟아지고 있다.
의료비 실비를 보상해주는 실손보험은 가입자가 3150만 명(2015년 상반기 기준)을 넘어서 ‘제2의 국민건강보험’이라는 평가를 받은 인기 상품이다.
중복 가입이 제한되기 이전에 보험을 2개 이상 든 가입자(23만 명)를 제외해도 전체 국민의 62%가 넘는다.
그러나 보험사의 손해율이 치솟자 금융당국이 보험료 인상 규제를 완화했다.
이후 흥국화재가 44.8%, 현대해상이 27.3%, 삼성화재가 22.6% 인상하는 등 실손보험을 다루는 25개 보험사 중 22곳이 잇따라 보험료를 인상한 것. 일단 신규 가입자에게만 적용되지만 기존 가입자도 짧게는 1년, 길게는 3∼5년 주기로 갱신해야 해서 결국은 인상된 보험료 부담을 피해 갈 수 없다.
보험업계는 “실손보험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며 값비싼 시술과 진료를 권하는 병의원들의 과잉 진료가 근본적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이를 막기 위해 환자 개인이 아닌 병원이 직접 보험금을 청구토록 하고, 제3의 손해사정인이 이를 심사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관련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반면 의료업계에서는 “민간 보험사들이 운용과 설계의 잘못을 떠넘기고 있다”며 강력히 저지할 태세다.
‘책임 떠넘기기’ 공방 속에 과잉 진료와 보험료 인상의 악순환은 국민건강보험에도 영향을 미쳐 건강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기까지가 동아일보 기사 스크랩하여 전달드린 내용이고 저희 JFC병원에서는 아래와 같은 상품을 구상중이고 아직은 미시행중에 있습니다. 적정한 시간에 의견을 구하려 합니다.)

[병원 연이용권 또는 개인과 병원간 협약상품 구상]
ㅇ금액 : 미정 (RMB 2000위안 책정 검토중)
ㅇ개요 : 상기 정해진 금액은 개인이 매달 한국에서 건강보험공단에 납부하는 금액중 2개월분 보험료로 생각하면 긍정적 이해에 도움.
ㅇ혜택 : 이용권 지정자 1인은 병원이용시 매회 150위안(진료비 약품대) 발생되고 지정자 직계가족은 220위안(진료비 약품대) 정도로 발생될 예정.
ㅇ 기대효과 : 3인또는 4인의 가족이 월평균 RMB 170위안(RMB166.66) 미만의 연간 병원이용권으로 칭다오 한국병원을 상시로 편하게 이용함.
납입하신 금액내에 지정자 기존건강 검진 또는 독감백신을 무료로 포함할 구상임.
ㅇ 기타 : 상기 진료보장 및 칭다오 교민 진료를 위하여 2월 현재 한국의 유명 가정의학과 전문의 원장님께서 출국 준비중입니다.
ㅇ JFC 국제병원 진료재개일 : 2월 29일 월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