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스크리트어 입력하는 법 >
sanskrit.gls
불교원전을 이루고 있는 문자인 산스크리트어를 영문자 표시 형태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이 있으나 선배들이 만들어 놓은 산스크리트어 상용구를 자신의 컴퓨터에 옮겨 등록하면 쉽습니다.
sanskrit.gls를 우선 cd 에서 찾으십시요
그리고 sanskrit.gls를 자신의 컴퓨터의 HNC\USER\ 란에 HWP.GLS 이름으로 넣어주면 됩니다.
이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해 넣을 수도 있읍니다.
산스크리트어 상용구를 쓰는 선배의 컴퓨터나 또는 대학원 컴퓨터 실의 여러 컴퓨터 중에서 산스크리트어 상용구가 등록되어 있는 한글이 있는 컴퓨터 (ctrl f3을 눌러 산스크리트어 글자가 나오는 것 )를 찾아냅니다.
그리고 그 컴퓨터 상의 HNC\USER\ 란에서 HWP.GLS를 찾아 ( 디스켓에 복사한 뒤 ) 이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의 HNC\USER\ 란에 복사해 넣어주면 됩니다.
참고로 HNC\USER\ 란의 HWP.GLS 는 아래아 글 30 도스에서 사용한 상용구가 저장되는 파일입니다.
기존에 자신이 나름대로 만들어 놓은 특별한 상용구가 있고 이를 보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는 미리 HNC\USER\ 란의 HWP.GLS를 다른 이름으로 바꾸거나 일단 다른 곳(디렉토리)에 옮겨 보관할 필요가 있읍니다.
한편 산스크리트 파일의 원본도 saskrt.GLS 등으로 하나 보관해 두시면 좋을 것입니다.
참고로 한글 96 인 경우는 확장자가 .ido 로 상용구 파일이 되있습니다.
<사용법>
한글을 사용할 때에 먼저 CTRL f3 을 눌러 내용을 확인합니다.
원하시는 글자의 약부호를 대강 익히신 뒤 약부호를 입력하시고 나서 ALT + I를 눌러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ā ī ṇ ṅ ṃ ṣ ḷ ṣ ś √ ... 등 등의 글자를 입력하실 수 있읍니다.
한편 자신이 스스로 원하는 형태로 상용구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가령 아래아 글 3.0 이하인 경우는
ctrl f3를 눌르고 원하는 문자와 산스크리트어를 ctrl f10을 눌러 찾아 하나 하나 만들 수 있읍니다.
< 키보드 자체를 바꿔 입력하는 법>
saskrt.key
이 방법은 늘상 산스크리트어만을 쓰는 경우가 아니면 오히려 복잡합니다. 그러나 꼭 이렇게 쓰실 필요가 있는 경우는 다음의 방법으로 합니다.
일단 cd 에서 saskrt.key를 찾기 바랍니다.
이 파일은 대학원 컴퓨터 실상의 컴퓨터 내 c:\hnc\drv 상의 파일들에서 찾을 수도 있읍니다.
이 saskrt.key 파일을 자신의 hnc\drv\ 에 넣으신 뒤
hwpcfg 를 실행하시고
메뉴에서 글자판 선택항의 userkbd 란에서
saskrt.key를
선택하여 넣으시고
한글을 실행하여
ALT F2를 눌러 자판을
선택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또한
자판배열을 보시려면 ALT + F1를 누르시면 됩니다.
자주 쓰실 경우는 자주쓰는 자판에 등록하여 두시고
shift 키와 space 키를 눌러 선택하실 수 있읍니다.
이외로 선택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한글 도움말에서 메뉴 - 글자판 항목의 설명을 참조하여 주세요
참고로 f1 키를 누르신 뒤 메뉴에서 글자판 선택 배당 등 등의 항목을 참조하시거나
alt + f2 를 누른 상태에서
f1을 누르면 해당 도움말을 찾아 보실 수 있읍니다.
키 보드를 직접 일일이 바꿔 사용하시려면
자신이 일일이 유저키보드를 만들어 입력하는 방법도 있읍니다.
그러나 복잡하오니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 참고로 이상의 파일은 일부 통신상의 불교동호회 자료실에서도 구할 수 있읍니다. >
한편 여기서 한 걸음 더나아가
산스크리트어의 원 형태 모습 (데와나가리의 원문 형태 ) 기타 팔리어 등의 원문 형태모습을 살리려면
그 폰트를 직접 구해 윈도우 폰트 디렉토리에 넣으신후 선택해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폰트는 현재 인터넷상에 올라 있으며 유료자료로 알고 있읍니다.
꼭 필요하신 분은 개별적으로 검색하여 파일을 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유감스럽지만 아직 대학원 컴퓨터실내에 올려진 자료는 없습니다.
< 많이 쓰는 상용구의 등록 사용 >
산스크리트어를 상용구로 등록하여 사용하여
상용구를 추가로 등록해 쓸 수 없는 경우등에는
상용구 기능을 위해
shift-f8 의 빠른 교정기능을 대신 이용하시면 됩니다.
이 때 약호(틀린글자)는 보통 통상적으로 쓰지 않는 글자 형태( 가령 일정기호추가+약호)가 되어야 합니다
가령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말을 반복해 쓸 상황이라면
빠른 교정란에 //아뇩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이런 식으로 등록해 놓고
//아뇩만 치면 해당글자가 입력되어 나타납니다.
이 이상으로 아래아 글의 세세한 기능은 생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