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바이어가 밝힌 자사 인기제품
- 지금 시장에서 팔리는 제품의 인기요인 -
□ 무엇이 팔리고 있나
○ 경기침체로 인해 소비자들이 지갑을 좀처럼 열지 않고 구매패턴이 급격히 변화하는 가운데 업계 관심은 ‘지금 시장에서 무엇이 팔리고 있는가’에 집중
- 업체들이 소비자 선호나 유행 트렌드를 리드 또는 예측하기 힘든 바이어 마켓 상황이라 이른바 ‘팔리는 제품’에 대해 더욱 촉각을 세우고 있음.
- 이는 단지 히트제품을 알아내 유사한 제품을 위한 차원이 아님.
- 그 제품이 팔리는 이유나 환경을 캐치해 소비경향 및 제품 개발 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것
○ 구매하는 사람이 있으므로 팔리는 제품도 있기 마련
- 소매업체나 이들의 벤더가 되는 공급업체들은 종종 “이렇게 어려워도 누군가 사는 사람은 있기 때문에 팔리는 제품은 있기 마련이다. 그게 무엇인지 찾아내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함.
- 비록 물량은 예전보다 많이 줄었지만 불황 중 선전한 히트제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미국 백화점·전문점들의 이번 시즌 인기제품
○ 캐주얼 의류 제이크루(J.Crew), Creative Director
- 액세서리부문이 매출 급증을 보임. 고객들의 액세서리 구매가 몇 배 증가한 것으로 느껴질 정도
- 작은 칵테일링, 진주 묶음을 레이어드한 제품 등 대부분 액세서리제품의 반응이 좋았음.
- 자사제품 가격대가 구매하기 쉬운 프라이스 포인트였기 때문으로 분석(45달러에서 시작, 진주제품은 150달러까지)
- 플랫슈즈 판매 성적도 좋음. 가격 대비 품질이 좋은 ‘밸류’를 강조한 결과
· 올 초 플랫슈즈 정가를 128달러에서 98달러로 내린 바 있음. 100달러 이하의 지불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좀 덜 생각하고 빠르게 구매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
- 이로 인해 해당 제품 수익폭은 약간 줄었으나 판매량이 늘고 고객의 지갑을 열기 시작한 것에 대해 긍정적 평가
- 고객들 반응은 “이탈리아산 신발이 100달러 미만이라니!” 라면서 고민없이 쉽게 구매 결정
- ‘Cupcake T’라고 불리는 작고 재미있는 비대칭 러플이 달린 부드러운 탱크T 매출도 경이로운 수준
J.Crew 플랫슈즈(99달러)
○ 캐주얼 의류 갭(GAP), President
- 이번 봄시즌은 다양한 컬러와 신선하고 밝은 의류 판매가 장악. 사람들의 기분을 낙관적으로 만들기 때문
- 봄 신상품 가디건, 22가지 색깔을 44달러에 판매. 고객 호응의 이유는 가격이 합리적이고 다른 옷과의 믹스 매치가 잘 돼 활용도가 높기 때문으로 분석
GAP 봄 신상품 가디건(44.50달러)
○ 캐주얼 의류 바나나 리퍼블릭(Banana Republic), President
- 불경기에 액세서리 품목은 여성 소비자들이 기분을 전환하고 옷장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선택하는 패셔너블하고 쉬우며 저렴한 방법
- 자사 비즈니스도 액세서리부문이 강세. 가벼운 캐시미어 혼방 스카프, 뱀무늬 벨트, 크고 과감한 스테이트먼트 주얼리가 인기제품
Banana Republic 뱀무늬 벨트(98달러), 스테이트먼트 주얼리(각 59달러, 125달러)
○ 의류 브랜드 도나 카란(Donna Karan International), Vice President·General Merchandise Manager of Retail
- DK, DKNY 라인 모두에서 최근 유행 핫아이템인 보이프렌드 재킷이 잘 팔림.(가격대 : DKNY 브랜드 제품은 445달러, 컬렉션 제품은 2895달러)
- 12가지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DKNY Cozy 제품은 연중 반응 좋아(가격대 : 160~195달러)
Donna Karan 컬렉션 보이프렌드 재킷(2895달러), DKNY Cozy(160~195달러)
○ 패션의류점 인터믹스(Intermix), Vice President of Fashion Merchandise
- 재미있고 쾌활하며 기분 좋게 해주는 제품들이 잘 팔림. 특히 여성 고객들은 새롭고 신선한 제품을 원함.
- 홀치기 무늬 염색, 낡은 듯한 느낌의 독특한 스타일 데님의 판매 실적이 좋고 색다른 컬러에 반짝이는 금속을 장식한 티셔츠도 잘 나가는 제품 중 하나
- 상의와 하의가 하나로 이어진 점프슈트는 빅히트 제품. 구매효과가 바로 드러나기 때문으로 풀이
- 액세서리품목 중에는 헤어밴드와 모자가 크게 성공
Intermix 판매 중인 디자이너 브랜드 점프슈트(각 620달러, 345달러)
○ 중고급 백화점 니만 마커스(Nieman Marcus), Senior Vice President·Fashion Director
- 신발품목이 히트제품. 과감하고 매력적인 디자인의 스테이트먼트 슈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 정말 좋음.
- 신발이 이번 시즌, 기분을 좋게 하는 제품(Feel-good piece)으로 나타남. 블랙 에나멜 가죽, 여행가방용 가죽을 사용한 제품 모두 인기. 살색과 같은 컬러의 누드슈즈도 놀라운 아이디어 제품
- 립스틱도 불황기에 립스틱이 잘 팔린다는 '립스틱 효과'를 증명하듯 잘 팔림. 겔랑의 Rouge G 레드컬러 립스틱이 히트
Nieman Marcus 판매 중인 디자이너 브랜드 슈즈(760달러)
○ 최고급 백화점 버그도프 굿맨(Bergdorf Goodman), Senior Vice President·Fashion Office and Store Presentation
- 고객들을 기분좋게 하거나 섹시하다고 느끼게 하거나 또는 차분하고 편안한 느낌이 들게 하는 제품들에는 반드시 호응이 나타남. 주목할 점은 잘 팔리는 제품은 고객들이 ‘무언가 느낄 수 있도록’ 한다는 점
- 특히 독특한 디자인의 신발품목이 히트. 젊은 유명디자이너들의 잇(It : 젊은층이 반드시 소지하고 싶은 제품을 지칭하는 용어)제품들 반응도 좋은 편
- 양초제품치고 매우 고가임에도 불구 이끼가 낀 자연적인 돌향기가 나면서 평화로움을 느끼게 하는 Cire Trudon 브랜드의 Carmelite향 제품이 잘 팔림.(75~80달러)
Bergdorf Goodman 판매 중인 Cire Trudon 브랜드 양초
○ 고급 백화점 바니스 뉴욕(Barneys New York), Senior Vice President·Fashion Director
- 스카프와 핸드백 및 신발의 매출이 매우 높음. 잘 팔리는 이들 제품의 공통점은 클래식한 ‘베이직’제품이 아니라는 점
- 스카프는 독특하고 흔하지 않은 프린트와 컬러 제품이 히트
- 핸드백은 스타일리쉬하면서 기능적이고 흔히 볼 수 없는 디자인, 컬러가 과감함.
- 신발은 특별한 컬러가 소비자 호응도 높아
Barneys New York 판매 중인 Forget Me Not 스카프(365달러), Proenza Schouler PS1 백(3645달러)
○ 백화점 로드 앤 테일러(Lord&Taylor), Executive vice president / General merchandise manager
- 커스텀주얼리(모조장신구)품목 매출이 매우 높음.
- 가격 대비 활용도와 효과가 좋아 의류를 구입하기보다 액세서리를 구입하는 경향이 원인
- 전반적으로 컬러가 강한 제품이 대세. 뱅글, 레이어드 목걸이 등 Sea bead를 사용한 보헤미안 스타일 제품은 모두 반응이 좋음. 가격대는 30~60달러
- 신발품목도 퍼포먼스가 좋음. 작년 유행제품인 글래디에이터 스타일에 단추, 체인, 금속조각, 돌 등의 장식을 더한 제품이 인기
- Michael Kors의 앞을 지퍼로 잠그는 디자인 구두, 가수 Gwen Stefani가 런칭한 L.A.M.B. 브랜드의 젤리슈즈 등도 잘 팔림.
Lord &Taylor 판매 중인 Kenneth Jay Lane Couture 뱅글제품(24달러)
□ 시사점
○ 경기침체기, 독특하고 과감하거나 특징이 뚜렷한 제품들이 상대적으로 잘 팔리는 것으로 나타나
- 미국의 대표적인 백화점과 전문점에서 ‘팔리는’ 인기제품들은 구매효과가 분명해 소비자들이 지출 대비 얻는 것이 많다고 느끼는 제품들임.
- 구매효과란 우수한 품질, 기분 전환, 스타일의 즉각적인 180도 변화, 다양한 활용도 등
- 소비자들의 가치지향적 소비성향을 여실히 드러냄
○ 이번 봄시즌을 보내며, 바이어들은 불확실한 트렌드 속에서도 팔릴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감을 얻었다고 말함.
- 독특해서 기존에 갖고 있지 않은 제품
- 우울한 고객들의 기분을 좋게 해주는 제품 선호
- 기본적인 제품이라면 가격 대비 매우 우수한 품질로 가치를 강조
○ 바이어들은 당분간 지속될 경기침체 속 돌파구를 찾기 위해 이러한 특징을 가진 제품 소싱에 적극적으로 나설 듯
- 한국업체들은 이러한 시장정보를 바탕으로 제품 개발, 제품 구색을 맞춰야 바이어와 상담 기회를 갖고 어필할 수 있을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