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내부에서 암석이 녹아 만들어진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나와 지구 표면에 분출되는 과정을 화산 활동이라 한다. 그런데 어떤 화산은 폭발적으로 분출하는 반면 어떤 화산은 조용히 분출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화산 활동 방식은 마그마의 화학조성, 마그마에 포함된 기체함량 및 온도 등의 요인에 큰 영향을 받는데, 이 요인들이 마그마의 점성에 영향을 끼친다. 특히, 점성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용암이 식으면(온도가 하강하면) 점성이 높아지므로 용암은 잘 흐르지 않는다. 반면, 규산염 함유량이 적고 온도가 높은 마그마는 점성이 작고 빠르게 움직이므로, 지표면에 분출되어 시속 100km 이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마그마의 점성은 마그마에 포함된 규소 함량과 관련 있다. 일반적으로 마그마의 규소함량이 많으면 마그마의 점성은 증가하며, 규소 함량이 적으면 점성은 감소한다. 현무암을 형성하는 마그마는 약 50%의 규소를 함유하는 반면, 화강암을 형성하는 마그마는 70% 이상의 규소를 함유하고 있다. 마그마에 녹아 있는 가스도 중요하다. 가스의 대부분은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지는데, 마그마의 점성이 높으면 가스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지체되며 가끔 폭발적인 화산 폭발을 일으킨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특징들에 의해 스트롬볼리형 분출, 불칸형 분출, 플리니우스형 분출, 하와이형 분출 및 수르체이형 분출 등 다양한 화산의 분출이 일어나며 그 결과 순상화산, 성층화산, 종산화산, 암설구, 폭렬화구 등 다양한 화산의 형태가 만들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