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一杯のかけ蕎麦] (한 그릇의 메밀국수)
これは大晦日に、「北海亭」という札幌の、ある蕎麦屋で起こったお話です。どの蕎麦屋にとっても、一番の書き入れ時は、大晦日です。
ここ「北海亭」でも、朝から晩までてんてこ舞いの大忙し。それでも、夜十時を過ぎた頃から、客は二、三人に減り、新たに入ってくる客もいなくなりました。女将は、頃合を見はからって、根は優しいが、むっつりした顔の主人に代わって、従業員に大晦日の「金一封」と「年越しそば」を持たせて帰しました。
最後の客が帰り、店じまいの準備をしていると、入り口の戸が静かに開いて、季節外れの格子柄のハーフコートを着た女性が、揃いの新しいトレーニングウェアを着た六歳と十歳位の子供を連れて入ってきました。「毎度、いらっしゃいませ。」「あの...かけ蕎麦...一つだけ...お願いできますか?」女の人はためらいながら言いました。後ろで二人の子供が不安そうにお母さんを見上げていました。
「あっ、えーと、いいですよ。どうぞ。」
女将は、三人をストーブに一番近いテーブルに案内すると、大きな声で厨房の夫に言いました。「かけ一丁!」三人をちらっと見て、「あいよ、かけ一丁!」と答えて、夫は生そばひと玉半を鍋に入れました。生蕎麦ひと玉一人分。三人に気づかれないように、茹で上がったひと玉半を、丼に入れました。
数分後には、顔を寄せ合い、一杯のかけ蕎麦を食べている三人の話し声が、かすかに聞こえてきました。「あー、おいしい!」兄がいいました。「お母さんも食べなよ。」弟は、そば一本を母親の口元に持っていきました。「ごちそうさまでした。おいしかったです。」三人は、食べ終わると、150円払い、お辞儀をして帰って行きました。「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よいお年を!」店主と女将は、声を合わせて言いました。
連日繁盛の蕎麦屋に、再び大晦日がやってきました。昨年よりも忙しい大晦日になりました。時計が十時を打ち、店じまいをしようとしていると、入口が開き、子供を二人連れた女の人が入って来ました。
女将は、女の人の格子柄のハーフコートを見て、去年の最後の客を思い出しました。
「あの...かけ蕎麦...一つだけ...お願いできますか?」「あっ、いいですよ。どうぞこちらへ。」女将は、去年三人が座ったテーブルに案内して、大きな声で夫に言いました。
「かけ一丁!」「あいよ、かけ一丁!」そして消したばかりのストーブに火を入れました。「ねえ、お前さん、サービスして三人前出してやらない?」と妻は夫の耳元に囁きました。「駄目だよ。そんなことしたら、かえって気を遣わせるじゃないか。」「仏頂面だけど、お前さんもいいとこあるね。」
ひと玉半の生蕎麦を茹でている夫を見て、妻は微笑みました。夫は、いつものように黙って、ひと玉半のかけ蕎麦を出してやりました。二人がカウンターの内と外に立っていると、かけ蕎麦を食べながら話している親子の会話が聞こえてきました。
「おいしいよ。」と兄。「お母さん、また北海亭でおそば食べられたね。」と弟。「来年も食べられるといいわね。」三人は、食べ終わり、150円払って帰って行きました。店主と女将は、その日何度も繰り返した同じ言葉を、三人にも言いました。「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よいお年を!」
翌年も蕎麦屋は大繁盛し、また大晦日がめぐって来ました。九時半を過ぎた頃から、北海亭の店主と女将は口数が少なくなり、何となく落ち着かなくなりました。十時を過ぎて、店主は従業員を帰らせると、この夏値上げした、壁にかかった お品書きを一枚一枚ひっくり返しました。かけそば200円はかけそば150円に換わりました。二番テーブルには、すでに「予約席」の札が置いてあります。
十時半。あの三人、母親と二人の息子が、客がいなくなるのを待っていたかのように入って来ました。兄は学生服、弟は兄からのお下がりなのでしょう。少しだぶだぶのジャンバーを着ていました。母親は相変わらず、あの色あせた格子柄のハーフコートでした。「今晩は、いらっしゃいませ。」女将は三人に微笑みました。「あの...かけ蕎麦...二つ...お願いできますか?」「あっ、勿論、いいですよ。どうぞこちらへ。」
女将は、あの二番テーブルに案内すると、さりげなく「予約席」の札をはずしました。そして大きな声で夫に言いました。「かけ二丁!」「あいよ、かけ二丁!」鍋に生そば三玉が入りました。かけ蕎麦二杯を囲んで、楽しそうな笑い声が聞こえてきました。三人の会話は弾んでいるのでしょう。女将は夫と視線を交わすとニコッとしました。
店主は、相変わらずの無愛想な顔で頷(うなず)きました。「あのね、私、二人にお礼が言いたいの。」「...お礼?...何のこと?」弟が尋ねました。「実はね、死んだお父さんが起こした交通事故で八人もの人が怪我したでしょう。...保険だけでは足りなくて、お母さんは毎月五万円ずつ返していたの。」「知ってるよ。」兄が答えました。
店主と女将は、身動きもせずにじっと聴いていました。「支払い期限は来年の三月だけど、今日全部払い終えたの。」「わー、本当?お母さん。」兄が言いました。「本当よ。淳は毎日買い物をして、夕ご飯を作ってくれてたわね。お兄ちゃんは朝刊と夕刊の新聞配達をしてくれてた。二人のおかげで、お母さんは何の心配もなく働くことができたのよ。ボーナスが出て、借金を全部返せたの。」「お母さん、すごい!よかったね。でもこれからも僕が夕ご飯作るよ。」弟は言いました。「僕も新聞配達続けるよ。淳、頑張ろうな!」「ありがとう、ありがとね。本当に!」
「あのね、僕達、お母さんに秘密にしておいたことがあるんだ。淳と僕の二人の秘密,,..?それはね...淳の担任の先生からのお知らせ、覚えてる?11月の日曜日の授業参観の通知...あの日、淳は、もう一通お母さん宛の手紙を預かってきたんだ。...その手紙には、淳の作文が、北海道代表として全国作文コンクールに入選したこと、参観日にみんなの前で淳に、その作文を読んでもらうこと、などが書いてあったんだ。淳は、お母さんにわかると、仕事を休むだろう、と思って手紙を隠したんだって。でも、淳の友達が、そのことを僕に話してくれたもんだから...だから...僕がお母さんの代わりに授業参観に行ってきたの。」
「まあ...そう...それで?」「先生は、『大きくなったらどんな仕事をしたいか』という作文を、クラスのみんなに書かせたんだ。淳の作文の題は、『一杯のかけ蕎麦』。そこまで話すと、先生は、淳に作文を読ませたんだ。僕は『北海亭』のことだな、とピンときたけど、何であんな恥かしいことを書いたんだろう、と思った。淳は、お父さんが事故で死んだこと、借金が一杯あること、お母さんが朝から晩まで働いていること、僕が新聞配達をしていること...全部読み上げたよ。
それから、大晦日の夜、三人で一杯のかけ蕎麦を食べたこと...お蕎麦がおいしかったこと。三人で一杯のかけ蕎麦でも...お店の人は大きな声で、『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よいお年を!』と言ってくれたこと。その声が、『負けるな!がんばれ!くじけるな!』と言ってるように聞こえたこと。
そして最後に、淳は大きな声で読んだんだ。...大きくなったら、お蕎麦屋さんになって、お客さんに、『頑張ってね。お幸せに!』って大きな声で言ってあげたいんです。...ってね。」蕎麦屋の店主と女将は、カウンターの後ろで聞いていましたが、しゃがみこみ、一本のタオルの両端を引き合い、涙をふいていました。「淳が作文を読み終えると、先生が『淳君のお母さんの代わりにお兄さんが来ていますので、ちょっと話をしてもらいたいと思います。』って言ったんだ。」「まあ、それでどうしたの?」
「突然のことで、最初、何を言ったらいいかわからなかったけど、...皆さん...淳と仲良くしてくれてありがとう...淳は毎日、夕ご飯を作ってくれます。だから、クラブ活動の途中で家に帰らなくてはならないので、迷惑をかけていると思います。弟が『一杯のかけ蕎麦』を読み始めた時は、僕は恥ずかしく思いました。でも、淳が作文を、堂々と大声で読んでいるのを聞いているうちに、一杯のかけ蕎麦を恥ずかしいと思う、僕の心の方が、もっと恥ずかしいことなんだって気づいたのです。...僕は、あの日、一杯のかけ蕎麦を注文した、お母さんの勇気を思いました。...淳と僕は仲良くしてお母さんを助けていきます。みんなも淳と仲良くして下さい、って言ったんだ。」
母と子は、楽しそうに年越し蕎麦を食べました。しんみりとお互いの手を取り合ったり、笑いころげて肩をたたきあったり...前の年とは全く違った雰囲気でした。「ごちそうさまでした。おいしかったです。」と言うと、300円払い、深々と頭を下げて出て行きました。店主と女将は、その年最後の三人の客を、大きな声で送りだしました。「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よいお年を!」
また一年が過ぎました...北海亭では、九時半を過ぎると、二番テーブルに「予約席」の札が置かれました。でもあの母親と二人の息子は現れませんでした。次の年も、その次の年も、三人のために二番テーブルを用意しましたが、三人は現れませんでした。
北海亭は改装され、新しいテーブルとイスに入れ替わりましたが、古びた二番テーブルとイスは昔のままに、新しいものに囲まれるように置いてありました。「何だって、こんなところに古いテーブルとイスが置いてあるんですか?」と不思議がる客もいました。
店主と女将は「一杯のかけ蕎麦」の由来を語り、この古いテーブルでどんなに励まされたか、三人がいつの日かやって来たら、このテーブルに座ってもらうのだ、と付け加えました。
「幸せのテーブル」の話は口コミで広まっていきました。実際その評判のテーブルで蕎麦を食べようと遠い所からやって来た女子校生や、「幸せのテーブル」が空くのを待って注文し直す若いカップルもいました。
数年が過ぎたある大晦日、家族同様の付き合いの店主の友人たちが仕事を終えて、次から次へと集まって来ました。彼らにとっては、この数年来続いている年中行事でした。北海亭で、除夜の鐘を聞きながら、年越し蕎麦を食べて、仲間とその家族全員で最寄りの神社に詣でるというものでした。
九時半を過ぎ、刺し身の大皿を持って入って来た魚屋夫婦を皮切りに、三十人以上の友人たちが酒やおつまみを持ってやって来ました。店内は一気に賑やかになりました。「二番テーブル」のことは誰もが知っていましたが、あの三人が今年も来ていないことは口にしませんでした。「予約席」が空いていても、誰も座らず、テーブルのそばの狭い座敷に、肩を寄せ合って座り、後から来る人のために、スペースを作っておきました。
十時過ぎ、宴はたけなわになりました。飲んだり食べたりする人、店主の料理の手伝いをしたり、冷蔵庫から何かを取り出したりする人、年末大売り出しのこと、夏に海水浴に行ったこと、孫ができたことなどを話している人、など、など...。その時、入り口の戸が開きました。みんな、話を止めました。入口に目を向ける人もいました。
ジャケット姿の二人の若者が、手にコートを持って、蕎麦屋に入って来ました。溜息とともに、宴の喧騒がもとに戻りました。女将が、「すみませんが満席なので...。」と二人に丁重にお断りしようとした時、着物姿の婦人が入ってきて二人の間に立ちました。みんな固唾をのんで、耳をそばだてました。「あの...かけ蕎麦...三つ...お願いできますか?」女将は、その声を聞いてはっとしました。決して忘れられないあの記憶...十数年前店に来た、母親と二人の息子...が蘇りました。
女将の視線は、驚きのあまり、目を見開いている夫と、今やって来たばかりの三人の間を、行ったり来たりしました。「あっ...えーと...そちら...そちらさまは...」女将はとまどいながら言いました。若者の一人が答えました。
「私たちは十四年前の大晦日に、ここで一杯のかけ蕎麦を三人で食べた母子です。一杯のかけ蕎麦に勇気づけられ、おかげで、三人で何とか助け合いやって来ました。その後、母の実家の滋賀県に移りましたが、今年、私は医師国家試験に合格し、研修医として京都大学付属病院で働いています。そして来年の4月からは札幌総合病院で勤務することになっています。今回、病院関係者との最初の打ち合わせと、父親の墓前報告を兼ねて札幌に来ました。弟は、蕎麦屋さんにはなりません でしたが、京都の銀行に勤めております。人生で最高の贅沢...大晦日に母と一緒に北海亭に行って、かけ蕎麦を三つ注文する、ということを弟と計画しました。」
若者の話を頷きながら聞く店主と女将の目には涙が溢れてきました。入口近くのテーブルで蕎麦を啜っていた八百屋のおやじさんは、蕎麦をゴクッと飲み込むと、立ち上がりました。「よう、お二人さん!何をもたもたしているんだよ。十年間、大晦日の十時に来る予約席のお客を待っていたんだろ。ついに来たんだよ。お客さんをテーブルに通しなよ!」
女将は、八百屋のおやじさんの肩を叩くと、気を落ち着けて、大きな声で言いました。「いらっしゃいませ!お待ちしておりました。こちらへどうぞ。二番テーブル、かけ三丁!」「あいよ、かけ三丁!」店主は、いつもの無愛想な顔を涙で濡らして答えました。蕎麦屋では、突如として一斉に拍手と喝采が湧き起こりました。
外では、ちょっと前まで降っていた粉雪も止み、新雪に映える北海亭の暖簾が元旦の風に揺れていました。
原作:栗良平「一杯のかけそば」より
●[한그릇의 메밀국수]
이것은 섣달 그믐날에 '북해정'이라는 삿포로의 한 메밀국수 가게에서 일어난 이야기입니다. 여니 때 보다 메밀국수 가게에 가장 손님이 많은 대목은 섣달 그믐날입니다.
이곳 '북해정'에서도 아침부터 밤까지 정신없이 바쁩니다. 그래도 밤 10시가 넘었을 무렵부터 손님은 두세 명으로 줄었고, 새로 들어오는 손님도 없어졌습니다. 안주인은 기회를 보아, 근본은 착하나 무뚝뚝한 남편을 대신해 종업원에게 섣달 그믐날의 '금일봉'과 '해넘이 국수'를 들려 귀가시켰습니다.
마지막 손님이 돌아가자 영업을 끝낼 준비를 하고 있는데 입구 문이 조용히 열리며 철 지난 격자무늬 반코트를 입은 여성이 새 운동복을 입은 여섯 살과 열 살 정도의 아이를 데리고 들어왔습니다. "어서 오세요." "저... 메밀국수... 한 그릇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여자손님이 망설이면서 말했습니다. 뒤에서 두 아이가 불안한 듯이 엄마를 올려다보고 있었습니다.
"아, 네, 좋아요. 이쪽으로 앉으세요." 안주인은 세 사람을 난로와 가장 가까운 테이블로 안내하며 세 사람을 힐끗 보고 주방 남편에게 "메밀국수 한 그릇!"이라고 큰 소리로 말했습니다. 남펀은 "알았어, 메밀국수 한 그릇!" 이라고 대답하고 생메밀 한 사리 반을 냄비에 넣었습니다. 생메밀 한 사리가 1인분. 세 사람이 눈치채지 못하게 삶아진 한 사리 반을 그릇에 담았습니다.
얼마 후 얼굴을 맞대고 한 그릇의 메밀국수를 먹고 있는 세 사람의 말소리가 희미하게 들려왔습니다. "아, 맛있어!" 형이 말했습니다. "엄마도 먹어." 동생은 메밀국수 한 가락을 어머니의 입에 넣어 주었습니다. "잘 먹었습니다." "맛있었어요." 세 사람은 다 먹은 후 150엔을 내고 인사를 하고 돌아갔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가게 주인과 내외는 한목소리로 말했습니다.
연일 번창하는 메밀국수 가게에 다시 섣달 그믐날이 찾아왔습니다. 작년보다 더 바쁜 섣달 그믐날이 되었습니다. 시계가 10시를 알리고 문을 닫으려고 하는데 입구가 열리고 아이를 둘 동반한 여자가 들어왔습니다. 안주인은 여자의 격자무늬 반코트를 보고 작년의 마지막 손님이 생각났습니다. "저... 메밀국수... 하나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아, 좋아요. 이쪽으로 오세요." 안주인은 작년에 세 사람이 앉은 테이블로 안내하고 큰 소리로 남편에게 말했습니다.
"메밀국수 한 그릇!" "알았어요, 메밀국수 한 그릇!" 그리고 막 끈 난로에 불을 지폈습니다. "저기, 여보 서비스로 3인분 해주면 어떨까?" 라고 아내는 남편에게 귓속말로 속삭였습니다. "안 돼. 그러면 오히려 눈치채지 않겠어"
"무뚝뚝한 당신에게도 그런 재치있는 면이 있군요."
한 사리 반의 생메밀을 삶고 있는 남편을 보고 아내는 미소를 지었습니다. 남편은 평소처럼 말없이 한 사리 반의 메밀국수를 내어 주었습니다. 두 사람이 카운터 안과 밖에 서 있는데, 메밀국수를 먹으면서 이야기하고 있는 모자의 대화가 들려왔습니다.
"맛있어."라는 형. "엄마, 또 북해정에서 메밀국수 먹었네."라는 동생." "내년에도 먹을 수 있으면 좋겠구나." 라는 엄마. 세 사람은 다 먹고 150엔을 내고 돌아갔습니다. 가게 주인내외는 그날 몇 번이나 반복한 같은 말을 세 사람에게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듬해에도 메밀국수 가게는 대성황을 이루었고, 또 섣달 그믐날이 돌아왔습니다. 9시 반이 지났을 무렵부터 북해정의 가게 주인 내외는 말수가 적어지며 왠지 모르게 안정되지 않는 모습이었습니다. 10시가 넘어서 가게 주인은 종업원을 돌려보내자 이번 여름 가격을 인상한 벽에 걸린 메뉴판을 한 장 한 장 뒤집었습니다. 메밀국수 200엔은 메밀국수 150엔으로 바뀌었습니다. 2번 테이블에는 이미 '예약석' 팻말이 놓여 있었습니다.
10시 반. 그 세 사람, 어머니와 두 아들이, 손님이 모두 돌아가기를 기다리라도 하고 있었다는 듯이 들어왔습니다. 형은 교복, 동생은 형으로부터의 퇴물림한 듯한 약간 헐렁한 잠바를 입고 있었습니다. 어머니는 여전히 그 빛바랜 격자무늬 반코트 차림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서 오세요." 안주인은 세 사람에게 미소를 지었습니다. "저... 메밀국수... 두 그릇... 부탁드려도 될까요?" "네, 물론 됩니다. 이쪽으로 오세요."
안주인은 예의 2번 테이블로 안내하면서 재빨리 '예약석' 팻말을 치웠습니다. 그리고 큰 소리로 남편에게 말했습니다. "메밀국수 두 그릇!" "알았어요, 메밀국수 두 그릇!" 냄비에 생메밀 세 사리가 들어갔습니다. 메밀국수 두 그릇을 사이에 두고 세 사람이 둘러앉은 테이블로부터 즐거운 웃음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세 사람의 대화는 활기에 차 있는 것 같았습니다. 안주인은 남편과 눈을 마주치며 미소를 지었습니다. 남편은 여전히 무뚝뚝한 얼굴로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저기, 나 너희 두 사람에게 고맙다는 말을 하고 싶어." "... 고맙다니? ... 무슨 말이야 엄마?" 동생이 물었습니다. 사실 돌아가신 아버지가 일으킨 교통사고로 여덟 명이 다쳤잖아 ... 보험만으로는 부족해서 엄마는 매달 오만엔씩 갚았어." "알고 있어." 형이 말했습니다. 가게 주인 내외는 꼼짝도 하지 않고 가만히 듣고 있었습니다.
"지불 기한은 내년 3월인데 오늘 다 냈어." "와, 엄마 정말이야?" 형이 말했습니다. "정말이야. 준은 매일 찬거리를 사와 저녁을 차려 주었지. 형은 조간과 석간 신문 배달로 도움을 주었고. 너희 두 사람 덕분에 엄마는 아무 걱정 없이 일할 수 있었어. 보너스가 나와서 빚을 다 갚을 수 있었단다." "엄마, 대단해! 잘됐어요. 하지만 앞으로도 내가 저녁 준비할게." 동생은 말했습니다. "나도 신문 배달 계속할게. 준, 힘내자!" “고마워, 고마워. 정말!" 엄마는 말했습니다.
"있잖아, 우리 엄마한테 비밀로 해둔 게 있어. 준과 나의 두 사람의 비밀...? 그건 말이야... 준의 담임선생님으로부터의 통지, 준은 기억하고 있지? 11월 일요일 수업 참관 통지... 그날 준은 또 한 통의 어머니 앞으로의 편지를 받아왔어. ... 그 편지에는 준의 글짓기가 홋카이도 대표로 전국 글짓기 콩쿠르에 입선한 것, 참관일에 모두의 앞에서 준이 그 글짓기를 발표하는 것 등이 적혀 있었어. 준은 엄마가 알면 일을 쉬게 될 것 같아 편지를 숨겼대. 그런데 준의 친구가 그 사실을 나한테 얘기해줬어... 그래서... 내가 엄마 대신 수업 참관을 다녀왔어." "어머... 그래... 그래서?"
"선생님은 커서 어떤 일을 하고 싶으냐는 글짓기를 반 친구들에게 쓰게 했어. 준의 글짓기 제목은 '한 그릇의 메밀국수'. 선생님은 준에게 글짓기한 것를 읽게 했어. 나는 '북해정'을 말하는구나, 하고 감이 왔지만, 왜 저런 부끄러운 것을 썼을까, 하고 생각했어. 준은 아버지가 사고로 돌아가신 것, 빚이 많은 것, 어머니가 아침부터 밤까지 일하고 있는 것, 내가 신문 배달을 하고 있는 것...등을 다 읽었어." 그리고?
"섣달 그믐날 밤 셋이서 한 그릇의 메밀국수를 먹은 것... 메밀국수가 맛있었던 것. 셋이서 한 그릇의 메밀국수를 먹었는데도... 가게 주인은 큰 소리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고 말해준 것. 그 목소리가 지지 마! 힘내! 기죽지 마! 라고 말하는 것처럼 들린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준은 큰 소리로 읽었어... 커서 메밀국수 가게를 차려 손님에게 '힘내세요. 행복하세요!' 라고 큰 소리로 말해주고 싶어요... 라고 말이죠."
메밀국수 가게의 주인과 안주인은 카운터 뒤에서 듣고 있었습니다만, 머리를 숙여 한 개의 수건 양 끝을 서로 끌어당기며 눈물을 닦고 있었습니다. "준이 글짓기 글을 다 읽자 선생님이 준 군 어머니 대신 형이 와 있으니 얘기 좀 해주면 좋겠어요. 라고 했어요." "그래, 그래서 무슨 말을 했어?"
“갑작스러운 일이라 처음에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랐는데.... 여러분... 준과 사이좋게 지내줘서 고마워요... 준은 매일 저녁을 준비해야 합니다. 그래서 동아리 활동 도중에 집에 돌아가야 해서 친구들에게 폐를 끼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동생이 '한 그릇의 메밀국수'를 읽기 시작했을 때 저는 부끄러웠어요. 하지만 준이 지은 글을 당당하게 큰 소리로 읽는 것을 듣고 있는 사이에, '한 그릇의 메밀국수'가 부끄럽다고 생각한 내 마음이 더 부끄러운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저는 그날 메밀국수 한 그릇을 주문한 어머니의 용기를 생각했습니다. ... 준과 저는 사이좋게 지내서 어머니를 돕겠습니다. 모두들 준과 사이좋게 지내 주세요, 라고 말했어."
어머니와 아이는 즐겁게 한 해를 보내는 세모의 메밀국수를 먹었습니다. 차분히 서로의 손을 맞잡거나, 웃으며 어깨를 두드리거나... 지난 해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였습니다. "잘 먹었습니다. 맛있었어요." 라고 말하며 300엔을 지불하고 깊이 고개를 숙이고 나갔습니다. 가게 주인 내외는 그해 마지막 세 손님을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고 큰 소리로 배웅했습니다.
또 한 해가 지났습니다... 북해정에서는 9시 반이 지나자 2번 테이블에 '예약석' 팻말이 놓였습니다. 하지만 그 어머니와 두 아들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다음 해도, 그다음 해도 세 분을 위해서 2번 테이블을 비워두었는데 세 분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북해정은 리모델링되어 새로운 테이블과 의자로 바뀌었는데, 낡은 2번 테이블과 의자는 옛날 그대로 새로운 것에 둘러싸이도록 놓여 있었습니다. "왜, 한가운데에 낡은 테이블과 의자가 놓여 있나요?" 라고 신기해하는 손님도 있었습니다.
가게 주인 내외는 '한 그릇의 메밀국수'의 유래를 말하며 이 오래된 테이블에서 얼마나 격려를 받았는지, 세 사람이 언젠가 찾아오면 이 테이블에 앉혀 드리고 싶다고 덧붙였습니다.
'행복의 테이블' 이야기는 입소문을 타고 퍼져나갔습니다. 실제로 그 소문난 테이블에서 메밀국수를 먹으려고 먼 곳에서 온 여고생이나 '행복의 테이블'이 비기를 기다려 다시 주문하는 젊은 커플도 있었습니다.
십수 년이 지난 어느 섣달 그믐날, 가족처럼 지내는 주인 친구들이 일을 마치고 속속 모여들었습니다. 그들에게는 최근 몇 년간 계속되고 있는 연중 행사였습니다. 북해정에서 제야의 종소리를 들으면서 해넘이 모밀국수를 먹고 친구들과 그 가족 모두가 가장 가까운 신사에 참배하는 것이었습니다.
아홉 시 반이 넘어 생선회가 담긴 큰 접시를 들고 들어온 생선가게 부부를 시작으로 서른 명이 넘는 친구들이 술과 안주를 들고 찾아왔습니다. 가게 안은 단번에 북적거렸습니다. '2번 테이블'에 대해서는 누구나 알고 있었지만, 그 세 사람이 올해도 오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도 말을 꺼내지 않았습니다. '예약석'이 비어 있어도 아무도 앉지 않고 테이블 옆 좁은 방에 어깨를 맞대고 앉아 뒤에 오는 사람들을 위해 공간을 만들어 두었습니다.
10시가 넘어서 모임 행사는 무르익었습니다. 마시거나 먹는 사람, 주인의 요리 준비를 돕거나 냉장고에서 무엇을 꺼내는 사람, 연말 대매출, 여름에 해수욕 간 일, 손자가 생긴 일 등을 이야기하는 사람 등등. 그때 입구 문이 스르륵 열렸습니다. 모두 말을 멈췄습니다. 입구로 눈을 돌리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재킷 차림의 두 젊은이가 손에 코트를 들고 가게로 들어왔습니다. 실망의 한숨과 함께 연회의 떠들썩함으로 되돌아왔습니다. 안주인이 "죄송하지만 만석"이고 두 사람에게 정중히 거절하려고 했을 때, 기모노 차림의 부인이 들어와 두 사람 사이에 섰습니다. 다들 마른침을 삼키고 귀를 쫑긋 세웠습니다. "저... 메밀국수... 셋... 부탁드려도 될까요?" 안주인은 그 목소리를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 결코 잊을 수 없는 그 기억...십여 년 전 가게에 온 어머니와 두 아들...이 되살아났습니다.
안주인의 시선은 놀란 나머지 눈을 부릅뜨고 있는 남편과 이제 막 온 세 사람 사이를 왔다 갔다 했습니다. "아... 음... 그쪽... 그쪽은..." 안주인은 당황해하면서 말했습니다. 젊은이 중 한 명이 대답했습니다.
우리는 14년 전 섣달 그믐날 이곳에서 한 그릇의 가케소바를 셋이서 먹은 모자입니다. 한 그릇의 메밀국수에 용기를 얻었고, 덕분에 셋이서 어떻게든 서로 돕와 왔습니다. 그 후 외갓집인 시가현으로 옮겼습니다만, 올해 저는 의사 국가 시험에 합격하여 연수의로 교토 대학 부속 병원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내년 4월부터는 삿포로 종합 병원에서 근무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병원 관계자와의 첫 회의와 아버지의 묘소에 보고를 할겸 삿포로에 왔습니다. 동생은 소바 가게주인은 되지 않았지만 교토의 은행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인생 최고의 음식... 섣달 그믐날 어머니와 함께 북해정에 가서 메밀국수를 세 그릇 주문한다는 것을 동생과 계획했습니다.
젊은이의 말을 고개를 끄덕이며 듣는 가게 주인 내외의 눈에는 눈물이 쏟아졌습니다. 입구 근처 테이블에서 메밀국수를 먹고 있던 채소가게 아저씨는 국수를 꿀꺽 삼킨 후일어섰습니다. "주인 내외! 뭘 우물쭈물하고 있어. 10년 동안 섣달 그믐날 10시에 오는 예약석 손님을 기다렸잖아. 드디어 왔어. 손님을 예약석에 모시게!"
안주인은 채소가게 아저씨의 어깨를 다독이며 마음을 가라앉히고 큰 소리로 말했습니다. "어서 오세요!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이쪽으로 오세요. 2번 테이블, 메밀국수 3그릇!" "알았어요, 메밀국수 3그릇!" 가게 주인은 평소의 무뚝뚝한 얼굴을 눈물로 적시며 대답했습니다. 메밀국수 가게에서는 갑자기 일제히 박수갈채가 쏟아졌습니다. 밖에서는 얼마 전까지 흩날니던 눈도 그치고 내린 눈이 빛추는 북해정의 출입구의 가림막천이 설날 바람에 흔들리고 있었습니다.
원작: 구리 료헤이 '한 그릇의 가케소바'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