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헌 살롱] 선농대제(先農大祭)
조선시대에 농사가 잘되게 해달라고 국왕이 직접 제사를 올리던 유적지 두곳이 있다. 하나는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에 있는 선농단(先農壇)이고, 다른 하나는 성북동에 있었던 선잠단(先蠶壇)이다. 선농단은 그해 농사가 잘되게 해달라는 제사 터였고, 선잠단은 누에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던 곳이었다. 선농단은 먹는 문제였고, 선잠단은 입는 문제를 위한 기원이었다. 제기동(祭基洞)의 '제기(祭基)'라는 명칭도 선농단이라는 제사 유적지에서 유래한 것이다.
국왕이 대신들과 함께 행차하여 선농단에 제사를 지내던 시기는 24절기 가운데 곡우(穀雨) 무렵이다. 상당히 큰 국가 행사였다. 곡우는 농사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을 알리는 절기이다. 이때 비가 와야만 그해의 농사가 풍년이 든다. 국왕이 농사의 신인 신농씨와 후직씨에게 제사를 지낸 다음에는 선농단 남쪽의 밭에서 직접 밭을 갈았다. 왕이 먼저 시범을 보인 셈이다.
1476년(성종 7)에는 이곳에 관경대(觀耕臺)를 쌓았다는 기록이 보인다. 왕이 백성들의 논밭일 하는 모습을 바라보기 위한 용도의 대(臺)였다. 현재 남아 있는 유적은 사방 4m 크기의 돌단만이 남아 있다. 이 아래에 높이 약 10m, 둘레 2m, 수령 약 500년 되는 향나무도 남아 있다. 선농단 축조 당시에 심은 향나무로 추정된다. 제사를 지낼 때 반드시 향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사를 올리던 건물 주위에는 거의 수백년 된 향나무가 서 있다. 이 향나무도 역시 그런 용도이다.
선농제의 절정은 설렁탕이었다고 생각된다. 모든 행사에서 맛있는 음식이 나와야만 대미를 장식하는 법이다. 선농제의 특별 메뉴는 바로 설렁탕이었다. 설렁탕은 선농제에서 비롯되었다. 쇠고기, 뼈, 내장을 모두 함께 넣고 장시간 푹 고아서 만든 음식이다. 세종이 선농단에서 친경(親耕)을 하고 난 후에 배가 고프다 보니, 밭 갈던 소를 그 자리에서 잡아 국을 끓여 먹었던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이후부터 제사가 끝나면 이 설렁탕을 끓여서 행사를 보러 온 60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대접하였다. 농림수산식품부 주최로 26일에 제기동 선농단 일대에서 선농문화축제가 열린다. 21세기에도 농사는 여전히 핵심 산업이다.
조선일보 2009.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