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복회를 해체하고 '건국회'를 만들라 ◈
중세 마녀 감별법은 의외로 간단했어요
지목된 여인을 돌덩이에 매달아 호수에 던졌지요
가라앉으면 무죄, 떠오르면 마녀였어요
마녀면 화형이지요
뜨겁게 달군 쇠판 위를 걷게 해서 쓰러지면 무죄,
견뎌내면 마녀였어요
한번 지목되면 어차피 죽었지요
‘말레우스 말레피카룸’이라는 15세기 책에 나와 있어요
‘마녀를 심판하는 망치’라는 뜻인데 지침서 역할을 했지요
일본 에도 시대에 기독교를 탄압하면서 신자를 색출하는 방법도
기가 막혔어요
십자가 상이 새겨진 금속판 위를 밟고 지나가게 했지요
밟으면 집으로 갔고, 거부하면 망나니에게 붙들려 갔어요
중국 문화혁명 때 베이징의 어떤 여교사는 학생들에게
“지진이 나면 최대한 빨리 대피하라”고 했지요
그러자 학생들이 “모택동 초상화를 들고 나갈까요?” 물었어요
교사는 얼른 대답을 못하고 “최대한 빨리 피해”라는 말을 되풀이했지요
이 50세 여교사는 반모택동주의자로 몰려
홍위병 여학생들에게 맞아 죽었어요
캄보디아 ‘킬링필드’ 때는 손에 굳은 살이 없거나,
안경을 썼으면 학살 대상인 지식인이었지요
한국에서도 인간의 속생각까지 가려내는 ‘감별 DNA’가
정치판을 흔들곤 했어요
2016년 총선을 앞두고 ‘진박 감별사’ 파동이 벌어졌지요
박근혜 대통령의 마음, 즉 ‘진짜 박심’을 얻은 후보를
감별한다는 사람들이 여당 공천을 좌우했어요
특정 지역의 일부 후보들은 마치 암수 판정을 기다리는
병아리라도 된 듯한 신세였지요
이것이 탄핵으로 이어진 보수 몰락의 시발점이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어요
그러나 이는 지나친 탄핵의 합리화 였지요
그런데 요즘 야당에 횡행하는 ‘수박’ 감별은
원래는 간첩 잡는 데 쓰던 말이었어요
겉으론 선량한 시민이지만 속으로 빨강 사상을 가졌다는 뜻이지요
근년에 야당 개딸들에 의해 완전히 의미가 뒤집힌 수박 감별은
비명계 색출용으로 쓰이고 있어요
작년 가을 인터넷에 퍼졌던 ‘수박 감별기’가 섬뜩하지요
모두 6가지 기준으로 채점을 했어요
1) 검사탄핵 발의
2) 불체포특권 포기
3) 대의원 1인1표제 같은 쟁점에 어떤 입장인가를 물었지요
당도(糖度)를 0~5점으로 매겼는데, 5점이면 축출 대상이 됐어요
며칠 전 독립유공자의 자손들이 주축이 된 광복회에서
누군가의 속생각을 들여다본다는 감별법을 제시했지요
이른바 ‘뉴라이트 판별법 9가지’인데,
‘이승만을 건국 대통령이라고 하는 자’
‘1948년(8·15)을 건국절이라고 하는 자’를 우선 찍어냈어요
‘건국’ ‘건국절’을 입에 올리면 ‘친일 매국’이 된다는 식이지요
한 발자국 삐끗하면 사상 검증 종교 재판소가 될 판이지요
보훈을 위한 조직인 광복회가 어쩌다 이렇듯 사상에 오염되어
본연의 임무를 망각하고 사상검증까지 하게 되었는지
한심할 따름이지요
차라리 굉복회를 헤체하고 “건국회”를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 언제나 변함없는 조동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