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광화문 한자 현판 떼고 한글 현판 달기 모임
 
 
 
카페 게시글
한말글 새소식 Re:Re:Re:한자교육기본법안’ 반대 국민 대회 밝힘글과 보도자료
국어사랑 추천 0 조회 46 11.06.30 06:34 댓글 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1.06.30 08:29

    첫댓글 중,고등학교에서 한자를 1800자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 글자면 보통 우리가 생활하는 데 큰 불편이 없습니다. 그러나 학생들이 선택하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한자가 그만큼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영어 교육 시간을 늘리다보니 국사와 한자와 또 다른 과목이 선택과목이 되었습니다. 영어 시간을 줄이고 중, 고교에서 한자를 잘 가르쳐야 합니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에게는 한자 고통을 주지 말아야 합니다. 한자 필요하고 공부하고 싶으면 열심히 하세요. 그리고 한자를 많이 알면 할 일이 있습니다. 옛 한문책들을 빨리 쉬운 우리말로 번역하는 일을 하세요. 그게 한자를 좋아하고 잘 아는 이들이 할 일입니다.

  • 작성자 11.06.30 12:10

    저도 영어가 참 싫었습니다. 영어시간에 국어사전 펴서 공부할 정도로...ㅎㅎ 저는 영어 사전 아닌 국어사전 들고 등교했습니다.
    덕분에 한자도 알게 되었습니다. 국어사전을 한자가 없는 사전으로 만들면 참 좋겠죠? 그렇게 생각하십니까?
    정확한 국어를 알기 위한 도구가 바로 한자입니다. 그리고 폭넓은 공부를 한다는 것은 고통이 아니라 즐거움이지요.
    공부를 고통쯤으로 치부하시는 것은 어른의 생각은 아닌듯 싶네요.
    그리고 학교 때 한자 공부 게을리해서 늦게 깨닫고 훗날 한자 공부하는 사람 많습니다.
    뒤에 후회하지 않도록 반드시 한자 교육은 정상화 하여야 합니다.

  • 11.06.30 12:17

    다시 말합니다. 쓸데 없는 소리 하는 데 시간과 힘을 빼았기지 말고 진짜 한자 전문가가 되어 한문으로 된 번역을 하는 데 힘쓰기 바랍니다. 혹시 한자가 모두 몇자인지 아시나요? 그리고 그 한자 가운데 몇자를 아시나요? 궁금합니다.

  • 작성자 11.06.30 12:29

    그럼 제가 묻겠습니다. 우리 국어 단어가 몇 단어인지 아십니까? 그리고 님은 우리 국어 어휘중 몇 자를 아시나요?
    그런 건 물을 필요가 없죠.
    이 나라의 교육에 관한 의견을 내고 있는 제가 쓸데 없이 제 정열을 소비하고 있다고 절대 생각하지 않습니다. 시간이 많이 걸리더라도 충분히 토의하고 토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11.06.30 20:05

    국어사랑님, 중국에서 3500자의 한자를 익히는에 할애하는 시간이 얼마인지 아십니까, 우리민족이 또 하나의 한국어를 배우는만큼의 시간을 소비합니다. 그 많은 시간이면 국어단어를 더 충분하게 배워낼수가 있습니다. 영어나 한자는 필요한 사람, 소원인 사람, 특장인 사람들이 배우는것이 맞습니다. 중국이 한자만 쓰지만 엊그제의 뉴스에도 나왔지만 인터넷문해율은 한국이 세계1위로 한자권 어느나라보다 앞섭니다.

  • 작성자 11.07.01 02:07

    국어가 나라말이니 나라국에 말씀어인줄 알고 할애라는 말이 시간이나 공간따위를 즐겨 나누어주다는 뜻이니 나눌할에 즐길애 라고 알고 소비라는 말은 써서 사라지게 하는 것이니 사라질 소에 쓸비라는 것을 알며 소원이란 말은 원하는 바이니 원할원에 바소라는 것을 아는데 무어그리 어렵겠습니까? 국어의 뜻을 알면 쉽게 아는데... 반은 배우고 들어가는데 공부하는 시간 그렇게 많이 걸릴까요? 또 그렇게 한글의 뜻을 알수 있는데 국어공부에 도움이 안될까요? 한자를 모르는 학생에게 문해율이 뭔지 물어보세요. 할애가 뭔지 물어보세요. 들어는 봤는데 정확한 뜻은 아마 모를거예요. 한자를 알면 스스로 풀이한답니다.

  • 작성자 11.07.01 02:53

    한자를 공부한다면 문해율이 더 나아질 듯 합니다.
    읽기 쉬운 한글과 하나의 음절만으로 뜻을 내포하고 있는 한자를 알기 때문에 우리의 말과 글은 세계에서 빛을 발하고 있는 것입니다.

  • 11.07.02 17:18

    완전한 학술문자로, 아니면 완전한 일상생활문자로 자리매김 하기엔 우리의 말글살이 흔적이 무척 혼란스러움을 느끼면서 고맙게 잘 읽어 보았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