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1 개량
작성일: 2020-02-27 01:48:25
KA-1에도 A-FAC 임무(저속 A-FAC)를 위한 임무 장비와 함께 생존성 강화를 위한 자체방어체계 통합, 정밀유도무기 통합 등의 성능 개량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KA-1의 저속 A-FAC 임무를 위한 임무 장비로는 타게팅 FLIR 장비(EO/FLIR, 레이저 거리 측정기, 레이저 트레이서 통합 타게팅 영상 터렛)와 Link-K 데이터 링크 단말기이다.

타게팅 FLIR 터렛으로 식별하여 획득한 표적의 조준 정보는 KA-1의 항법 데이터와 함께 임무 컴퓨터가 처리하여 표적 좌표를 산출하며,
산출된 표적 좌표 정보는 장차 KA-1에 탑재되는 KGGB-2, 공대지 미사일의 사격제원으로 사용되거나 임무 컴퓨터에 연동된 Link K 데이터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Link-K의 메세지 포맷은 STANAG 5516 메세지 포맷을 많이 참고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Link 16과 Link 22의 J-series 메세지와 마찬가지로 참조점과 표적 좌표, 고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용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JTAC(Joint Terminal Attack Controller)가 수신하여 표적을 공격할 고정익 항공기의 대기점(IP) 또는 공격헬기의 BP(Battle Point) 좌표를 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표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각종 제원들(접근 금지 공역 포함)과 표적 식별, 유도 장비 신호 식별에 필요한 정보 등을 표적 좌표(UMT)와 함께 사용하여 항공 공격을 유도하게 된다.

이같은 방식으로 타게팅 FLIR/조준 터렛과 Link-K를 보유한 KA-1의 A-FAC과 지상의 JTAC이 일종의 TACP(Tactical Air Control Party)로서 기능하게 된다.
임무를 위해 위험한 공역으로 진입해야 하기 때문에 생존성 향상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KA-1에 타게팅 장비와 Link-K를 통합하는 작업과 함께 KA-1의 생존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들이 도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조종석의 내탄성을 대폭 강화하고 RWR과 채프/플레어 살포기, MWS(Missile Warning System)등이 통합해야 한다.
MWS는 한화 시스템에서 이미 LAH에 통합되는 적외선 센서 MAWS를 제작하고 있기 때문에 동형 장비, 또는 그 개량형의 통합이 가능하다.
이런 류의 적외선 MWS는 낮은 고도에서는 노이즈 발생 문제가 있지만 고도를 확보하면 표적을 장거리에서 탐지, 추적할 수 있으며, 심지어 긴 탐지거리를 사용하여 발사 단계에서부터 추적할 수도 있기 때문에 KA-1의 작전 고도가 지금보다 더욱 높아진다면 유효한 자체방어용 센서로 사용될 것이다.

KA-1에 타게팅 터렛이 통합되면 표적 획득이 가능한 고도가 더욱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 MWS 도입은 적절한 선택이 될 것이다.
KA-1에 KGGB와 헬파이어(또는 그와 동급의 공대지 유도탄) 등의 공대지 유도무기 통합 계획도 KA-1 발전 계획에 있다.
다만 공대지 무장 수용 범주를 확대하고 페이로드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1,600 마력급 엔진을 탑재하여 최대이륙중량을 더욱 증가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페이로드 증가와 정밀유도무기 운용능력 부여는 KA-1이 <TAI의 Hurkus 무장 공격형>과 <Embraer의 Super Tucano>등과 경쟁하여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서 터키의 Hurkus에는 TAI와 Aselsan, 그리고 Roketsan이 개발에 참여하여 개발하고 있는 Hurkus 무장형, 즉 Hurkus-C에는 Aselsan의 모드-5 IFF 응답기와 CATS(Common Aperture Targeting System) 타게팅 터렛(Hurkus-C의 동체 하부에 통합), 그리고 Roketsan의 Cirit 2.75 인치 레이저 유도로켓 발사 포드와 Mizrak-U 공대지 미사일이 통합된다.
TAI는 Hurkus-C를 파리 에어쇼 등에 출품하는 등, 활발한 해외 판촉을 하고 있다.
KA-1도 장차 Hurkus-C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Cirit과 동급 유도무기인 국산 2.75 인치 유도로켓, Mizrak-U(UMTAS) 공대지 미사일과 사정거리가 비슷한 공대지 미사일인 헬파이어 미사일(타게팅 터렛의 레이저 조준기로 유도되는 AGM-114R이 유력)의 통합으로 동급 이상의 무장 능력을 확보해야 한다.

천검 공대지 미사일의 경우에는 Mizrak-U와 동일한 발사 중량과 사거리의 미사일로서, Mizrak-U와 마찬가지로 양방향 데이터 링크로 유도되는 미사일이지만,
Mizrak-U와 달리 광섬유 데이터 링크로 유도되는 유선 유도 미사일이기 때문에 별도의 무선 RF(Radio Frequency) 데이터 링크 유도형이 개발되지 않는 한 KA-1에 탑재될 수 없다.
(출처 -월간 디펜스 타임즈 2019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