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孟子 集註 (맹자 집주)
卷之 十 萬 章 章 句 下 (권지 십 만장 장구 하)
19 非惟 百乘之家 爲然也 (비유 백승 지가 위연야 ) 라, 雖 小國之 君
6 1 2 3 4 6 5 1 2 3 4
(수 소국지 군) 이라도, 亦 有之 (역 유지) 하니, 費 惠公 (비 혜공) 이,
1 3 2 1 2
曰 吾 於子思 則 師之矣 ( 왈 오어 자사 즉 사지의) 오, 吾於 顔般 則 友之矣
1 2 4 3 5 6 7 1 3 2 4 5 6
(오어 안반 즉 우지의) 오, 王順 長息 則 事我 者也
1 2 3 5 4 6
(왕순 장식 즉 사아 자야) 라하니라.
解釋 오직 백승의 집만 그러할만 함이 아니라, 비록 작은 나라의 임금 이라도,
또한 그러함이 있나니, 비 나라의 혜공이, 말하기를 내가 자사에게[는 곧
스승으로 대 하고, 내가 안반에게는 곧 벗으로 대 하고, 왕순과 장식은 곧
나를 섬기는 사람이라고 하니라.
字解 非: 아닐 비. 惟: 오직 유. 百: 백 백. 乘: 수레 승 (수레를 끄는 말을 뜻함)
之: 어조사 지 (~ 의란 뜻) 家: 집 가. 爲: 할 위. 然: 그러할 연. 也; 어조사 야.
雖: 비록 수. 小: 작을 소. 國: 나라 국. 之: 어조사 지 (~ 의란 뜻) 君: 임금 군.
亦: 또 역. 有: 있을 유. 之: 어조사 지 (~ 그러함이란 뜻으로 백승가란 뜻임)
費: 비 나라 비. 惠公(혜공) 曰: 말할 왈. 吾: 나 오 (내가란 뜻)
於: 어조사 어 (~ 에게란 뜻) 子思(자사) 則: 곧 즉. 師: 스승 사.
之: 어조사 지(대하다란 뜻) 矣: 어조사 의. 吾; 나 오 (내가란 뜻) 於: 어조사 어 (~ 에게란 뜻)
顔般(안반) 則: 곧 즉. 友: 벗 우. 之: 어조사 지(대하다란 뜻) 矣: 어조사 의. 王順(왕순)
長息(장식) 則: 곧 즉. 事: 섬길 사. 我: 나 아. 者: 사람 자. 也: 어조사 야.
費 惠公 (비 혜공)은; 비(비) 나라의 임금이며, 費(비)나라는 費邑(비읍)땅의 임금.
20 非惟 小國之 君 (비유 소국지 군) 이, 爲然也 (위영야) 라, 雖 大國之 君
8 1 2 3 4 5 7 6 1 2 3 4 5
(수 대국지 군) 이라도, 亦 有之 (역 유지) 하니 , 晉 平公之於 亥唐也
1 3 2 1 2 4 3
(진 평공지어 해당야) 에, 入云 則 入 (입운 즉 입) 하며, 坐云 則 坐
1 3 2 4 1 2 3 4
(좌운 즉 좌) 하며, 食云 則 食 (식운 즉 식) 하며, 雖 疏食 菜羹
1 2 3 4 1 2 3 4 5
(수 소식 채갱) 이라도, 未嘗 不飽 (미상 불포) 하니, 蓋 不敢 不飽也
4 1 3 2 1 5 2 4 3
(개 불감 불포야) 라, 然 (연) 이나, 終於 此 而已矣 (종어 차 이이의) 오.
1 4 3 2 5
弗與 共 天位也 (불여 공 천위야) 하며, 弗與 治 天職也 (불여 치 천직야) 하며,
5 1 4 2 3 5 3 4 1 2
弗與 食 天祿也 (불여 식 천녹야) 하니, 士之 尊 賢者也 (사지 존현 자야) 라,
5 1 4 2 3 1 2 4 3 5
非 王公之 尊賢也 (비 왕공지 존현야) 니라.
5 1 2 4 3
解釋 오직 작은 나라의 임금만이, 그러함이 아니라, 비록 큰 나라의 임금 이라도,
또한 그러함이 있나니, 진 나라의 평공이 해당에게, 들어오라고 이르면 곧
들어가고, 앉으라고 이르면 곧 앉고, 먹으라고 이르면 곧 먹으며. 비록 거친 밥과
나물국이라도, 일찌기 배불리 (먹지)아니함이 없었으니, 대개 감히 배부르지 아니
함이 없으리라. 그러하나, 이것으로 그칠 뿐이리오, 더불어 하늘이 준 지위(왕위)을
함께 하지 아니하며, 하늘이 준 직책을 함께 다스리지도 아니하며, 하늘이 준 녹도
함께 먹지도 아니 하니, 선비로서 어진 사람을 존경하는 것이라, 임금으로서의 어짐을
존경하는것은 아니니라.
字解 非: 아닐 비. 惟: 오직 유. 小: 작을 소. 國: 나라 국. 之: 어조사 지(~ 의란 뜻)
君: 임금 군. 爲: 할 위. 然: 그러할 연. 也: 어조사 야. 雖: 비록 수. 大: 큰 대.
國: 나라국. 之: 어조사 지(~ 의란 뜻) 君: 임금 군. 亦: 또 역. 有; 있을 유.
之: 어조사 지(~ 의란 뜻) 晉: 진 나라 진. 平公 (평공) 之: 어조사 지 (~ 이란 뜻)
於: 어조사 어 (~ 에게란 뜻) 亥唐 (해당) 也: 어조사 야. 入: 들어올 입.
云: 이를 운 (하면이란 뜻) 則: 곧 즉. 入: 들어갈 입. 坐: 앉을 좌.
云: 이를 운 (하면이란 뜻) 則: 곧 즉. 坐: 앉을 좌. 食: 먹을 식.
云: 이를 운 (하면이란 뜻) 則: 곧 즉. 食: 먹을 식. 未: 아닐 미. 雖: 비록 수.
疏; 성글 소 (거칠다란 뜻) 食: 먹을 식. 菜: 나물 채. 羹: 국 갱. 嘗; 일찟 상.
不: 아닐 불 (없다란 뜻) 飽: 배부를 포. 蓋: 대개 개. 不: 아닐 불 (없다란 뜻)
敢: 감히 감. 不: 아닐 불. 飽; 배부를 포. 也: 어조사 야. 然; 그러할 연.
終: 마침 종 (그치다란 뜻) 於: 어조사 어 (~ 으로란 뜻) 此: 이 차 (이것이란 뜻)
而: 어조사이, 말이을 이. 已; 뿐 이. 矣: 어조사 의. 而已矣(이이의)는: 뿐이란 뜻.
弗: 아닐 불. 與: 더불 여. 共: 한기지 공 (함께란 뜻) 天: 하늘 천.
位: 자리 위 (지위나 왕위란 뜻) 也: 어조사 야. 弗; 아닐 불. 與: 더불 여, 함께 여.
治: 다스릴 치 (수행하다란 뜻) 天: 하늘 천. 職; 직분 직, 벼슬 직 (직책이란 뜻)
也: 어조사 야. 弗: 아닐 불 與: 더불 여, 함께 여. 食: 먹을 식. 天: 하늘 천.
祿: 녹보 녹. 也: 어조사 야. 士; 선비 사. 之: 어조사 지 (~ 로서란 뜻)
尊: 존경할 존. 賢: 어질 현. 者: 사람 자. 也: 어조사 야. 非: 아닐 비. 王: 임금 왕.
公: 존칭 공. 之: 어조사 지. 尊: 존경할 존. 賢: 어질 현. 也: 어조사 야.
亥唐(해당)은: 晉(진) 나라의 어진 사람 임.
|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