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남당항 해양공원
지역 대표 관광지로 즐길거리 풍부… 음악분수서 물놀이하며 더위 피하고 트릭아트존에선 연인과 ‘인생샷’… 노을 감상엔 ‘남당노을전망대’가 제격 죽도에선 둘레길 산책하며 자연 만끽… 홍성은 ‘애국자의 지역’으로도 유명충남 홍성군 남당항 노을전망대의 낙조. 천수만의 잔잔한 바다와 갯벌이 붉게 물들어가면서 빨간색 덱 해상 전망대와 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광활한 천수만 너머로 대나무 섬인 죽도와 더 멀리 안면도가 병풍처럼 바라보이는 곳. 석양이 잔잔한 수면을 붉게 물들이며 신선계의 황홀경을 연출하는 곳. 가을 대하, 겨울 새조개 등 사시사철 해양 먹거리로 입맛까지 돋워주는 곳. 바로 충남 홍성군의 남당항이다. 명품 해양 경관과 식도락 관광지로 주목받아 온 남당항이 최근 새롭게 변신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물놀이형 음악분수, 네트 어드벤처를 갖춘 오감 만족 해양공원이 항구에 들어섰다.》
바다 매립지에 5만5000㎡ 규모로 조성된 남당항 해양공원은 홍성군이 여름 피서지 및 휴양지로 야심 차게 선보인 대표 관광 브랜드다. 해양공원은 물놀이 체험형 음악분수, 트릭아트 존, 네트 어드벤처 등 다양한 즐길거리를 갖추고 있다.
남당항 해양공원의 물놀이 체험형 음악분수. 홍성군 제공
해양공원의 중심 무대인 물놀이 체험형 음악분수는 6600㎡ 규모로 국내 최대 크기를 자랑한다. 음악과 분수 쇼를 즐길수 있는 음악분수 무대는 거울못(면적 1960㎡, 중앙 깊이 25cm), 바닥분수 및 안개분수, 야간 경관 조명 등으로 구성돼 있다.
거울못은 가장 깊은 곳이 성인 무릎 높이 정도여서 아이들이 안전하게 물놀이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음악과 함께 뿜어나오는 분수 사이를 누비며 뛰어노는 아이들의 모습은 어른들의 주무대였던 예전 남당항과는 확연히 다르다. 현재 음악분수 쇼는 주말마다 운영되고 있는데, 어린이를 동반한 젊은 부모들이 많이 찾는다. 으레 여름철이면 비수기로 접어들어 한산하던 남당항 분위기도 달라졌다. 차박 혹은 캠핑 등을 통해 남당항의 다양한 즐길거리를 누리는 피서객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남당항 해양공원의 트릭아트존. 홍성군 제공
음악분수 바로 옆으로는 길이 170m, 폭 3∼9m 규모의 트릭아트 존이 있다. MZ세대의 관광 트렌드를 반영해 신기하고 재미있는 인생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한 무대다. 트릭아트는 빛의 반사와 굴절, 음영과 원근을 이용해 그림을 입체적이고 실감 나게 표현한 미술기법이다. 황금빛 모래사장과 에메랄드빛 바다를 배경으로 초대형 대하, 바다거북과 바다 여행, 상어의 위협, 대형 문어의 습격 등 총 12개 트릭아트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다양한 연출과 포즈로 사진을 찍는 젊은 커플들의 모습도 또 다른 구경거리가 될 정도다.
또 해안 지역에서는 처음인 초대형 네트 어드벤처(Net Adventure)도 곧 공개될 예정이다. 네트 어드벤처는 원래 산림 레포츠로 알려진 그물망 체험 시설인데, 홍성군이 총사업비 11억 원을 들여 남당항의 대표적 놀이기구로 준비했다. 그물망 위에서 방방 뛰어놀며 천수만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까지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고안했다고 한다.
●물멍과 놀멍, 그리고 달멍
남당항에서는 천수만의 잔잔한 바다와 갯벌을 아무 생각 없이 멍하니 바라보는 ‘물멍’과 함께 서해로 아름답게 지는 노을을 감상하는 ‘놀멍’을 즐길 수 있다. 남당항에서 북쪽 어사어항 방향으로 1km 남짓 바닷가 길을 따라가다 보면 ‘남당노을전망대’가 있다. 바다 쪽으로 100여 m쯤 곡선을 그리며 돌출된 덱 해상 전망대다. 해가 질 무렵이면 바다와 갯벌이 붉게 물들면서 빨간색 전망대와 조화를 이루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전망대 아래로는 모래사장을 갖춘 해변이 펼쳐진다. 원래 홍성은 모래사장이 발달되지 않아 변변한 해수욕장이 없었다. 그러다 4년 전 폭 30∼40m, 길이 980m 규모의 모래를 쏟아부어 인공 백사장을 만들었다. 유실될 수도 있다는 걱정과는 달리 모래사장은 자연미까지 갖추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물멍과 달멍을 하기에도 좋은 곳이다.
노을전망대에서 북쪽으로 4km 떨어진 속동전망대도 낙조 명소다. 이곳에는 배 모양의 포토존이 설치돼 있는데, 영화 ‘타이타닉’의 명장면을 연출해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또 속동전망대 인근에는 높이 65m의 홍성스카이타워(2024년 1월 오픈 예정)도 선보인다.
홍성군의 유일한 유인도인 죽도. 썰물 때 4개 섬이 이어져 건너다닐 수 있고, 같은 장소에서 일몰과 일출을 즐길 수 있다.
홍성에는 일몰과 함께 일출도 즐길 수 있는 곳이 있다. 천수만 내에 있는 작고 아름다운 섬인 죽도다. 남당항에서 죽도로 들어가는 배편이 있다. 배를 타고 15분 정도면 도착한다.
섬 주위에 ‘시누대’라고 하는 가는 대나무가 많이 자생하고 있어 죽도(竹島)라 불린다. 홍성군의 유일한 유인도이지만, 섬이 워낙 작다 보니 자동차나 오토바이가 다니지 않는다. 전력도 태양광과 풍력으로만 생산되니 그야말로 오염원이 없는 청정무구한 섬이다.
30여 가구, 60여 명이 살고 있는 죽도는 올망졸망한 10여 개의 섬이 모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죽도는 썰물 때 4개 섬이 이어져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해돋이와 해넘이를 동시에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홍성 12경 중 하나로 꼽힌다.
죽도는 2시간 정도 섬을 둘러보는 둘레길 코스가 잘 조성돼 있다. 홍성 출신 3명의 역사 인물(만해 한용운, 최영 장군, 백야 김좌진) 조형물을 설치한 3곳의 전망 쉼터가 둘레길을 통해 하나로 연결돼 있다. 둘레길은 목재 덱과 야자 매트가 깔려 있어 편하게 산책할 수 있다. 제1 전망 쉼터 길은 솔숲과 대나무 숲 사이를 걸으며 천연의 향기를 즐길 수 있다. 제2 전망 쉼터 길에는 홍성의 역사와 유적지 등을 소개하는 갤러리 공간이 있다. 남당항, 대장간, 홍주아문, 홍화문 등의 설명도 곁들여져 있어서 홍성 역사 여행의 미리보기 체험이 가능하다. 제3 전망 쉼터 쪽에는 죽도 야영장 및 낚시공원, 매점 등이 있다.
●근대 민족주의 발상지에서
홍성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충(忠)과 의(義)를 상징하는 인물을 다수 배출한 ‘절의(節義)의 고장’으로도 유명하다. 고려의 명장 최영(1316∼1388), 사육신 중 한 명인 성삼문(1418∼1456), 독립 운동가이자 시인인 한용운(1879∼1944), 청산리전투를 승리로 이끈 김좌진(1889∼1930) 등이 대표적 인물들이다.
흥미롭게도 최영과 성삼문은 100년이라는 시차를 두고 같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최영 장군의 출생지로는 여러 설이 제기되고 있으나 1316년 홍북읍 노은리에서 태어났다는 게 정설이다. 최영은 이성계의 쿠데타에 반대하며 고려를 지키려 한 충신이다. 인근 닭제산에는 최영의 위패와 영정이 봉안된 사당(기봉사)이 있다.
홍북면 노은리의 성삼문 선생 유허지. 바로 이곳에서 2.3km 떨어진 곳에 성삼문이 태어난 성삼문 유허지가 있다. 성삼문은 세종 때 집현전 학자로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하였고, 세조의 단종 폐위에 반대하며 굳은 절개를 지켜 죽임을 당한 인물이다.
만해 한용운 동상 뒤로 그가 태어난 생가(결성면)가 보인다.
노은리 같은 마을에서 최영과 성삼문이 태어난 것처럼, 걸출한 독립운동가인 김좌진과 한용운도 서로 이웃한 곳에서 태어났다. 한반도가 격동의 시기로 접어든 19세기 후반, 한용운과 김좌진은 10년의 차이를 두고 같은 시대, 같은 삶을 살아갔다. 현재 김좌진의 생가가 있는 갈산면에서 차로 불과 10분 거리인 결성면에 한용운의 생가가 있다. 행정구역상 면을 달리할 뿐이지, 사실상 두 생가는 이웃 사이다. 두 생가는 역사 유적지로 유명하거니와 명당 터에 자리 잡고 있어서 들러볼 만한 곳이다.
한편 김좌진과 한용운 생가 근처에는 우리겨레박물관(갈산면 취생리)이 있다. 폐교된 초등학교 부지에 세워진 이 박물관은 일반 시민들이 나서서 개관한 역사박물관이다. 박물관 개관에 앞장서 온 복기대 인하대 융합고고학 교수는 이곳에 박물관을 건립한 이유로 “항일운동에 앞장서 온 홍주의병, 김좌진과 한용운 등의 독립운동가들을 배출한 한국 근대민족주의의 발상지”인 점을 꼽았다. 박물관은 고조선 시기부터 근대 한국에 이르기까지 시기별로 9개 공간이 꾸며져 있다. 박물관에서 가장 특이하면서 관심을 끄는 곳은 ‘반역자의 공간’이다. 나라를 팔아먹은 것과 다름없는 행위를 한 고려시대 최탄과 홍복원, 조선시대 이완용과 배정자의 행적을 상세하게 기록해 놓았다. 홍성의 자부심을 표현하는 박물관답다.
동아일보 2023. 7.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