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호선(丁好善)
[문과] 선조(宣祖) 34년(1601) 신축(辛丑)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1위(04/34)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15D638C120B1571X0
자(字) 사우(士優)
호(號) 동원(東園)
생년 신미(辛未) 1571년 (선조 4)
졸년 계유(癸酉)【補】(주1) 1633년 (인조 11)
향년 63세
합격연령 31세
본인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한성([京])【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시대 전한, 상주목사, 안변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사우(士優), 호는 동원(東園).
병조판서 정옥형(丁玉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찬성 정응두(丁應斗)이고, 아버지는 대사헌 정윤복(丁胤福)이며, 어머니는 사헌부감찰 한경상(韓景祥)의 딸이다. 정경세(鄭經世)·이준(李埈)과 교유하였다.
1601년(선조 34) 진사가 되고, 이 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이어 이조정랑·직강·사예·전적·지평·정언·수찬·응교 등을 역임하였다.
1609년 승문원판교로 춘추관편수관을 겸하여 『선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611년(광해군 3) 장령·사간을 거쳐 강원도관찰사로 부정을 범한 춘천부사 이원엽(李元燁), 양양현감 신경우(申景遇)를 파직시켜 지방의 관기를 바로잡았다.
1613년 집의·전한을 지내고, 1616년 사인으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당시 이이첨(李爾瞻)·정인홍(鄭仁弘) 등 대북파가 득세, 계축옥사를 일으켜 영창대군(永昌大君)·김제남(金悌男)등을 죽이고,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이 대두되어 정세가 크게 혼란하자 상주목사로 나가면서 병을 이유로 사직하고 은퇴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 다시 기용, 안변부사로 있을 때 이괄(李适)의 역모를 알리는 고변서에 그 이름이 기재되었으나, 아우 정호서(丁好恕)가 정주목사로서 이괄의 사자를 베고 군사를 일으켜 근왕(勤王)을 함으로써 화를 면할 수 있었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났을 때 파수대장(把守大將)으로 좌도의 병사를 거느리고 죽령(竹嶺)에 진을 쳤다가 강화가 성립되어 철수, 이듬해 병으로 사임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호선(丁好善))]
[진사] 선조(宣祖) 34년(1601) 신축(辛丑)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37위(67/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4명 [甲3‧乙7‧丙24]
전력 생원(生員)
관직 강원감사(江原監司)
관직 홍문관리(弘文館吏)
타과 선조(宣祖) 34년(1601) 신축(辛丑)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기타 명곡찬지(明谷撰誌) 직재옥 괄옥 무충옥 병피나백탈(直哉獄适獄誣蟲獄並被拿白脫)
부모구존 영감하(永感下)【補】(주3)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윤복(丁胤福)[文]
품계 : 가선대부(嘉善大夫)
관직 :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補】(주4)
[조부(祖父)]
성명 : 정응두(丁應斗)[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옥형(丁玉亨)[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한경상(韓景祥)(주5)
본관 : 청주(淸州)【補】
[처부(妻父)]
성명 : 강서(姜緖)[文]
본관 : 진주(晉州)【補】
[처부(妻父)2]
성명 : 송선(宋塇)(주6)
본관 : 여산(礪山)【補】
[안항(鴈行)]
형(兄) : 정호약(丁好約)[生]【補】
형(兄) : 정호공(丁好恭)[文]
형(兄) : 정호관(丁好寬)[文]
제(弟) : 정호서(丁好恕)[文]
제(弟) : 정호제(丁好悌)[進]【補】
제(弟) : 정호익(丁好益)【補】(주7)
[가족과거]
자(子) : 정언원(丁彦瑗)[文]
자(子) : 정언벽(丁彦璧)[文]
[주 1] 졸년 : 『창석집(蒼石集)』 卷之8(續集), 碑碣, [증이조판서 정공묘갈명(贈吏曹判書丁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과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각각 향년 "六十二", "壬申卒"로 나온다. 향년 62와 임신년은 1632년임.
[주 2] 거주지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3] 구존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4] 부관직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5] 외조부 : 『나주정씨도헌공파보(羅州丁氏都憲公派譜)』(1985) 首卷, [341쪽]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주 6] 처부 : 『나주정씨도헌공파보(羅州丁氏都憲公派譜)』(1985) 亞卷, [37쪽]을 참고하여 처부2 본관을 추가. 족보에는 "송선(宋瑄)"으로 나옴.
[주 7] 안항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나주정씨도헌공파보(羅州丁氏都憲公派譜)』(1985) 首卷, [341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정호선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정언원(丁彦瑗)
[문과] 인조(仁祖) 17년(1639) 기묘(己卯) 별시(別試) 병과(丙科) 7위(11/16)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15C5B8C6D0B1600X0
자(字) 중거(仲蘧)
생년 경자(庚子) 1600년 (선조 33)
합격연령 40세
본인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진사] 광해(光海) 10년(161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5위(35/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6명 [甲1‧乙3‧丙12]
전력 참봉(參奉)
관직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문과시제 책문(策問):장상(將相)
타과 광해(光海) 10년(161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5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호서(丁好恕)[文]
[생부(生父)]
성명 : 정호선(丁好善)[文]
[조부(祖父)]
성명 : 정윤지(丁胤祉)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응두(丁應斗)[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송선
본관 : 미상(未詳)...
성명 : 김수현(金壽賢)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본생가 형(兄) : 정언유(丁彦瑜)【補】(주2)
본생가 제(弟) : 정언벽(丁彦璧)[文]【補】
[주 1] 거주지 : 『기묘용호방목(己卯龍虎榜目)』(국사편찬위원회)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안항 : 『만력46년무오식년사마방목(萬曆四十六年戊午式年司馬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K 2291.7 1746(1618)])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정언벽(丁彦璧)
[문과] 인조(仁祖) 22년(1644) 갑신(甲申) 별시(別試) 병과(丙科) 7위(11/19)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15C5B8BCBDB1612X0
자(字) 계홍(季弘)
생년 임자(壬子) 1612년 (광해군 4)
졸년 임진(壬辰) 1652년 (효종 3)
향년 41세
합격연령 33세
본인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1612년(광해군 4)∼1652년(효종 3). 조선 중기 문신. 자는 계홍(季弘)이다.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증조부는 정응두(丁應斗)이고, 조부는 대사헌(大司憲) 정윤복(丁胤福)이다. 부친은 관찰사 정호선(丁好善)이다.
생원 출신으로 1644년(인조 22)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1647년(인조 25) 봉교(奉敎), 1651년(효종 2) 지평‧정언‧문학 등을 지냈다.
슬하에 아들 병조참의 정시윤(丁時潤)이 있다.
[생원] 인조(仁祖) 8년(163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18위(48/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9명 [甲1‧乙3‧丙15]
전력 생원(生員)
관직 한림(翰林)
관직 교리(校理)
문과시제 책문(策問):변통(變通)
타과 인조(仁祖) 8년(163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18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호선(丁好善)[文]
[조부(祖父)]
성명 : 정윤복(丁胤福)[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응두(丁應斗)[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송선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목낙선(睦樂善)[進](주2)
본관 : 사천(泗川)【補】
[안항(鴈行)]
형(兄) : 정언유(丁彦瑜)【補】(주3)
형(兄) : 정언원(丁彦瑗)[文]
[가족과거]
자(子) : 정시윤(丁時潤)[文]
[주 1] 거주지 : 『경오식년사마방목(庚午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일산古6024-91])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처부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卷之39, 음사(蔭仕), [목낙선(睦樂善)의 묘갈명(墓碣銘)]과 『창석집(蒼石集)』 卷之18, 行狀, [자헌대부 형조판서 길천군 권공행장(資憲大夫刑曹判書吉川君權公行狀)], 『사천목씨세보(泗川睦氏世譜)』 [冬面]을 참고하여 처부를 "목취선(睦取善)"에서 "목낙선(睦樂善)"으로 수정. 목취선은 목낙선의 형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내의 급제 기록에는 모두 처부가 "목취선(睦取善)"으로 나옴.
[주 3] 안항 : 『경오식년사마방목(庚午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일산古6024-91])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정윤복(丁胤福)
[문과] 선조(宣祖) 즉위년(156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4위(07/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15C724BCF5B1544X0
자(字) 개석(介錫)
호(號) 호암(扈菴)【補】
생년 갑진(甲辰) 1544년 (중종 39)
졸년 임진(壬辰) 1592년 (선조 25)
향년 49세
합격연령 24세
본인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동지중추부사, 동서로호소사, 우통어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개석(介錫).
정수강(丁壽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병조판서 정옥형(丁玉亨)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정응두(丁應斗)이며, 어머니는 군수 송충세(宋忠世)의 딸이다.
1567년(선조 즉위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그 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고, 이어 예조좌랑·수찬·집의·우승지·대사성·부제학·도승지·병조판서·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냈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난이 일어나자 정여립과 친하였다는 이유로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다시 행호군으로 보직되었으나, 계속 말썽이 일어나므로 물러나 수년 동안 한거하였다.
임진왜란 때 동서로호소사(東西路號召使)로 기용되고, 이어 우통어사(右統禦使)가 되었다. 선조가 북쪽으로 피란할 때 다리가 불편하여 따라가지 못하고, 분조(分朝)인 이천(伊川)으로 가서 병조참판을 제수받고 가산군에 이르렀을 때 병이 심해져 죽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윤복(丁胤福))]
[생원] 선조(宣祖) 즉위년(156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7위(37/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甲3‧乙7‧丙23]
전력 생원(生員)(주2)
관직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타과 선조(宣祖) 즉위년(156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7위
기타 임진배세자행 객사우도(壬辰陪世子行客死于道), 우복찬비(愚伏撰碑)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補】(주3)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응두(丁應斗)[文]
품계 : 숭정대부(崇政大夫)
관직 :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봉호 : 금계군(錦溪君)【補】(주4)
[조부(祖父)]
성명 : 정옥형(丁玉亨)[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수강(丁壽崗)[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송세충(宋世忠)[文]
본관 : 은진(恩津)【補】
[처부(妻父)]
성명 : 한경상(韓景祥)(주5)
본관 : 청주(淸州)【補】
[안항(鴈行)]
형(兄) : 정윤조(丁胤祚)[生]【補】
형(兄) : 정윤희(丁胤禧)[文]
형(兄) : 정윤우(丁胤祐)[文](주6)
[가족과거]
자(子) : 정호공(丁好恭)[文]
자(子) : 정호관(丁好寬)[文]
자(子) : 정호선(丁好善)[文]
자(子) : 정호서(丁好恕)[文]
[주 1] 거주지 : 『융경1년정묘식년[문무과방목](隆慶元年丁卯式年[文武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56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전력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에는 전력이 "적순(迪順)",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부위(副尉)"로 나옴.
[주 3] 구존 : 『융경1년정묘11월초2일문무잡과복시방목(隆慶元年丁卯十一月初二日文武雜科覆試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1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4] 부관직 : 『융경1년정묘11월초2일문무잡과복시방목(隆慶元年丁卯十一月初二日文武雜科覆試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1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5] 처부 : 『나주정씨도헌공파보(羅州丁氏都憲公派譜)』(1985) 首卷, [341쪽]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주 6] 안항 : 『융경1년정묘11월초2일문무잡과복시방목(隆慶元年丁卯十一月初二日文武雜科覆試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1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정응두(丁應斗)
[문과] 중종(中宗) 29년(153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2[亞元]위(02/26)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15C751B450B1508X0
자(字) 추경(樞卿)
호(號) 삼양재(三養齋)【補】(주1)
시호(諡號) 충정(忠靖)【補】(주2)
생년 무진(戊辰) 1508년 (중종 3)
졸년 임신(壬申)【補】(주3) 1572년 (선조 5)
향년 65세
합격연령 27세
본인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한성([京])【補】(주4)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좌찬성, 평안도관찰사,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추경(樞卿).
정자급(丁子伋)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수강(丁壽崗)이고, 아버지는 병조판서 정옥형(丁玉亨)이며, 어머니는 김언신(金彦辛)의 딸이다.
1521년(중종 16) 진사시에 합격하고, 1534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선공감직장(繕工監直長)에 제수되었다.
그 뒤 전적을 거쳐 세자시강원설서에 임명되었는데, 이 때 과거급제한지 10개월 만에 참직(參職)에 올랐으니 관작이 너무 외람되다는 사헌부의 공박을 받기도 하였다.
그 해 정자를 거쳐 저작·부수찬·이조좌랑·이조정랑·지평 등의 관직을 역임하고, 1543년 교리가 되었다.
그 해 부응교·장령을 거쳐 세자시강원우보덕과 응교를 역임하고, 1545년(인종 1) 예관(禮官)으로 명나라 사신을 영접한 뒤 사간이 되었다.
사간으로서 활발한 언론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546년(명종 1) 예조참의에 이르렀다.
같은 해 문위사(問慰使)로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였으며, 그 이듬해 대사간이 되고, 그 뒤 우부승지·좌부승지를 역임하고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대사헌이 되었으나 사직을 청하였다.
1551년 한성부우윤을 거쳐 1553년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그해 병조참판이 되어 다시 중앙으로 돌아왔다.
1557년 다시 평안감사로 나간 뒤 예조참판·한성부판윤·함경감사를 역임하고, 1561년 병조판서가 되었다.
그 해 판의금부사로 종묘 헌관(獻官)이 되었으며, 그 뒤 좌찬성·평안도관찰사 등을 거쳐 1566년 판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응두(丁應斗))]
[진사] 중종(中宗) 26년(153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52위(82/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26명 [甲3‧乙7‧丙16]
전력 진사(進士)
관직 찬성(贊成)
관직 호당(湖堂)
문과시제 부(賦):민암(民巖)
타과 중종(中宗) 26년(153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52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옥형(丁玉亨)[文]
[조부(祖父)]
성명 : 정수강(丁壽崗)[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자급(丁子伋)[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김수연(金守延)(주5)
본관 : 상산(商山)【補】
[처부(妻父)]
성명 : 송세충(宋世忠)[文]
본관 : 은진(恩津)【補】
[가족과거]
자(子) : 정윤희(丁胤禧)[文]
자(子) : 정윤우(丁胤祐)[文]
자(子) : 정윤복(丁胤福)[文]
[주 1]호 : 『나주정씨도헌공파보(羅州丁氏都憲公派譜)』(1985) 首卷, [333쪽]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
[주 2]시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시호를 추가.
[주 3]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4]거주지 : 『가정10년[중묘26년]신묘8월방목(嘉靖十年[中廟二十六年]辛卯八月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B13LB-6])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5]외조부 : 『정덕8년계유9월○일문무잡과방목(正德八年癸酉九月○日文武雜科榜目)』(문무잡과방목(文武雜科榜目)[보물 제603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외조부를 "김언신(金彦莘)"에서 "김수연(金守延)"으로 수정. 김언신은 조부 정수강(丁壽崗)의 처부임.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정옥형(丁玉亨)
[문과] 중종(中宗) 8년(151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2위(22/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15C625D615B1486X0
자(字) 가중(嘉仲)
호(號) 월봉(月峰)【補】(주1)
시호(諡號) 공안(恭安)
생년 병오(丙午) 1486년 (성종 17)
졸년 기유(己酉)【補】(주2) 1549년 (명종 4)
향년 64세
합격연령 28세
본인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한성([京])【補】(주3)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병조판서, 형조판서,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가중(嘉仲), 호는 월봉(月峰).
병조참판 정연(丁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자급(丁子伋)이고, 아버지는 정수강(丁壽岡)이다. 어머니는 지평(持平) 김언신(金彦辛)의 딸이다.
1513년(중종 8)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검열이 되었다.
그 뒤 승정원주서를 거쳐 1511년 조광조(趙光祖)와 더불어 경연검토관으로서 활약하였다.
이후 이조좌랑을 지내고, 1518년 사헌부의 지평·장령을 역임한 뒤 1521년 의정부사인이 되었다.
이듬해에 홍문관 교리·응교를 지내고, 사간원사간·사헌부집의를 지냈으며, 1525년 홍문관전한·직제학을 거쳐 부제학에 올랐다.
그 뒤 좌부승지·병조참지·이조참의를 역임하고, 1533년 도승지가 되었다.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친 뒤 대사간·대사헌에 이르러 국가 기강을 확립하는 데에 힘썼다. 당시 김안로(金安老)가 권세를 오로지하자, 그에 의부(依附)하기를 꺼려하여 외직으로 나가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임기가 끝나자 다시 전라도관찰사가 되어 선정을 베풀었다.
1536년 병조참판으로서 태자진하사(太子進賀使)가 되어 명나라의 북경에 다녀왔다.
이듬해 예조참판·이조참판을 역임하고 다시 외직으로 경기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다시 병조참판을 지내고 1539년 공조판서에 올라 형조판서를 거쳐 대사헌을 다시 역임하였다.
이어 우참찬·예조판서·좌참찬을 거쳐 지돈녕부사가 되었다가 1544년 병조판서가 되어 국방 문제를 총괄하였다.
이듬해 명종 즉위와 더불어 형조판서가 되어 소윤에 가담, 대윤을 제거하는 데 협력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 3등에 책록되고 금천군(錦川君)에 봉해졌다.
형조판서로서 전장(典章)에 밝아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뒤 좌찬성에 올랐다가 죽었다.
기국 도량(器局度量)이 있고, 직무에 과단성을 보였으며, 언행에 책임을 졌고, 권세가들의 간섭에도 굴하지 않고 직무에 충실하였다.
시호는 공안(恭安)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옥형(丁玉亨))]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甲3‧乙7‧丙23]
전력 유학(幼學)
관직 병조판서(兵曹判書)
관직 옥당(玉堂)
문과시제 책문(策問)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補】(주4)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수강(丁壽崗)[文]
품계 : 절충장군(折衝將軍)
관직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補】(주5)
[조부(祖父)]
성명 : 정자급(丁子伋)[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연(丁衍)
[외조부(外祖父)]
성명 : 김언신(金彦辛)[文]
본관 : 강릉(江陵)【補】
[처부(妻父)]
성명 : 김수연(金守延)(주6)
본관 : 상산(商山)【補】
[안항(鴈行)]
형(兄) : 정옥경(丁玉卿)【補】
제(弟) : 정옥정(丁玉精)【補】(주7)
[가족과거]
자(子) : 정응두(丁應斗)[文]
[주 1]호 : 『나주정씨도헌공파보(羅州丁氏都憲公派譜)』(1985) 首卷, [333쪽]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
[주 2]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거주지 : 『정덕8년계유9월○일문무잡과방목(正德八年癸酉九月○日文武雜科榜目)』(문무잡과방목(文武雜科榜目)[보물 제603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4]구존 : 『정덕8년계유9월○일문무잡과방목(正德八年癸酉九月○日文武雜科榜目)』(문무잡과방목(文武雜科榜目)[보물 제603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5]부관직 : 『정덕8년계유9월○일문무잡과방목(正德八年癸酉九月○日文武雜科榜目)』(문무잡과방목(文武雜科榜目)[보물 제603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6]처부 : 『정덕8년계유9월○일문무잡과방목(正德八年癸酉九月○日文武雜科榜目)』(문무잡과방목(文武雜科榜目)[보물 제603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주 7]안항 : 『정덕8년계유9월○일문무잡과방목(正德八年癸酉九月○日文武雜科榜目)』(문무잡과방목(文武雜科榜目)[보물 제603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정수강(丁壽崗)
[문과] 성종(成宗) 8년(1477) 정유(丁酉)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6위(09/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15C218AC15B1454X0
자(字) 불붕(不崩)
호(號) 월헌(月軒)
생년 갑술(甲戌) 1454년 (단종 2)
졸년 정해(丁亥)【補】(주1) 1527년 (중종 22)
향년 74세
합격연령 24세
본인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병조참판, 동지중추부사, 빙고제조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불붕(不崩), 호는 월헌(月軒).
정안경(丁安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연(丁衍)이고, 아버지는 소격서령(昭格署令) 정급(丁伋)이며, 어머니는 황처성(黃處盛)의 딸이다.
1474년(성종 5) 진사시에 합격하고, 1477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전교서(典校署)에 소속되었다.
이 후 정언·병조좌랑·병조정랑을 역임하였으며, 1482년에는 정조사(正朝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파견되기도 하였다.
1499년(연산군 5) 장령에 임용되어 성준(成俊)의 불법을 탄핵하기도 하였으나, 논사(論事)를 피하기 위하여 휴가를 얻어 충청도에 갔다가 사헌부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1503년 직제학으로 영등포에 파견되어 지방관의 불법행위를 조사한 공으로 부제학이 되었다.이듬해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당하였다.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으로 재등용되어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책록되었으며, 이듬해 강원도관찰사로 외보되었다.
이 후 판결사·대사간을 거쳐 1512년 병조참지에 이르렀다.
1516년 사유가당인(師儒可當人)으로 선발되었다.
1518년 대사성·대사헌을 거쳐 병조참판·동지중추부사·전의제조(典醫提調)·빙고제조(氷庫提調)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월헌집』이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수강(丁壽崗))]
[진사] 성종(成宗) 5년(147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47위(77/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甲3‧乙7‧丙23]
전력 진사(進士)
관직 병조참판(兵曹參判)
문과시제 책문(策問):궁리(窮理)
타과 성종(成宗) 5년(147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47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자급(丁子伋)[文]
[조부(祖父)]
성명 : 정연(丁衍)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안경(丁安景)
[외조부(外祖父)]
성명 : 황처성(黃處盛)(주2)
본관 : 옥천(沃川)【補】
[처부(妻父)]
성명 : 김언신(金彦辛)[文]
본관 : 강릉(江陵)【補】
[안항(鴈行)]
형(兄) : 정수곤(丁壽崑)[文](주3)
[가족과거]
자(子) : 정옥형(丁玉亨)[文]
[주 1] 졸년 : 『해좌집(海左集)』 卷之32, 誌文, [10대조 증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 행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성균관사공묘지문(十代祖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行嘉善大夫兵曹參判兼同知成均館事公墓誌文)]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 외조부 : 『씨족원류(氏族源流)』 [압해정씨]편(784쪽)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주 3] 안항 : 『씨족원류(氏族源流)』 [압해정씨]편(784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四(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정자급(丁子伋)
[문과] 세조(世祖) 6년(1460) 경진(庚辰) 평양별시(平壤別試) 3등(三等) 1위(06/22)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15C790AE09B1423X0
자(字) 여보(呂甫)(주1)
생년 계묘(癸卯) 1423년 (세종 5)
졸년 정미(丁未)【補】(주2) 1487년 (성종 18)
향년 65세
합격연령 38세
본인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22명 [一等2‧二等3‧三等17]
전력 생원(生員)
관직 서령(署令)
타과 단종(端宗) 1년(1453) 계유(癸酉) 생원(生員)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연(丁衍)
[조부(祖父)]
성명 : 정안경(丁安景)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세(丁世)(주3)
[외조부(外祖父)]
성명 : 이경도(李庚道)(주4)
본관 : 재령(載寧)【補】
[처부(妻父)]
성명 : 황처성(黃處盛)(주5)
본관 : 옥천(沃川)【補】
[가족과거]
자(子) : 정수곤(丁壽崑)[文]
자(子) : 정수강(丁壽崗)[文]
[주 1]자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속고4, 명류(名流), [정자급(丁子伋)의 묘표(墓表)](丁應斗)에는 자가 "여보(呂父)"로 나옴.
[주 2]졸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속고4, 명류(名流), [정자급(丁子伋)의 묘표(墓表)](丁應斗)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증조부 : 『씨족원류(氏族源流)』 [압해정씨]편(784쪽)에는 증조부가 "정서(丁瑞)"로 나옴.
[주 4]외조부 : 『씨족원류(氏族源流)』 [압해정씨]편(784쪽)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주 5]처부 : 『씨족원류(氏族源流)』 [압해정씨]편(784쪽)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첫댓글 정호선의 아드님이신, 언원, 언벽 3형제의 외조부는 강서일까요? 송선일까요?
정언유만 강서의 외손자이고, 언원, 언벽은 송선의 외손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