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백신/마스크 | 부산지역 메르스 의심 환자 발생 소식에 상승 |
▷부산시는 지난 2월 중순 사우디아라비아로 출국해 현지 병원에서 간호사로 근무한 뒤 지난
26일 국내로 귀국한 간호사가 28일부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의심 증상을 보여 국가 지정병원에서 격리되었다고 밝힘.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 의심 여성 환자가 1차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으며, 2차 검사까지 진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금일 종근당, 중앙백신, 진원생명과학 등 백신 관련주, 케이피엠테크 오공 등 일부 마스크 관련주들이 상승 마감. | |
편의점 | 편의점 점포당 매출액 증가율 회복 기대감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유진투자증권은 유통업에 대해 6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8.1% 증가했다고
밝힘. 특히, 유통채널 별 매출액 증가율은 편의점이(+10.5% YOY) 가장 컸으며, 편의점 점포당 매출액 증가율은 2.4%로 회복됐다고
분석. ▷한편, 최근 편의점업체들의 주가는 19년 최저임금 결정 후 본사 지원금 확대에 따른 비용 증가 우려로 큰 폭 조정 받았지만, 지원금 확대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현상은 크지 않을 것이며 기존점 회복으로 충분히 상쇄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이에 점포당 매출액 회복에 따른 주가 반등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BGF리테일, GS리테일 등 일부 편의점 관련주가 상승 마감. |
[특징 종목]
= 코스피시장 =
특징 종목 | 이 슈 요 약 |
(002000) 53,900원 (+21.12%) |
상장폐지를 위한 자사주 공개매수 결정에 급등 |
▷동사는 전일 장 마감 후 상장폐지를 위해 보통주 1,968,174주(1,068.71억원), 기타주식 454,767주(190.66억원)를
공개매수의 방식으로 취득키로 결정했다고 공시. 취득예상기간은 2018년7월31일부터 2018년8월31일까지임. ▷공개매수가격은 보통주 1주당 54,300원(7월30일 보통주 종가 44,500원 보다 22.02% 할증), 우선주 1주당 41,925원(7월30일 우선주 종가32,100원 보다 30.61% 할증)임. | |
(170900) 95,700원 (+7.65%) |
구조적 성장 기대감 및 '시벡스트로' 글로벌 임상3상 시험 완료 소식 등에 강세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R&D 투자가 수익으로 연결되는 구조적인 성장 속 2분기 실적이 호조를 보였다며, 향후 기술 수출한
DA-4501(암, MerTK저해제)의 계약금 분할 인식 및 항생제 시벡스트로의 적응증 추가로 인한 로열티 금액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유지] ▷아울러 언론에 따르면, FDA 허가 품목인 동사의 '시벡스트로(테디졸리드)'가 폐렴 적응증 획득을 위한 글로벌 임상3상 시험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짐. '시벡스트로'는 마지막 슈퍼 항생제인 '자이복스' 내성에도 효과가 있는 항생제로써 MRSA(메타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를 포함한 그람 양성균에 의한 급성 세균성 피부 및 연조직 감염 치료를 위해 개발된 바 있음. | |
셀트리온그룹 | 셀트리온, 美 램시마 관련 마지막 특허 승소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美 램시마와 관련된 마지막 특허 침해 소송인 얀센의 '배지특허'
소송에서 승리하며 미국내 모든 특허 허들을 넘었다고 밝힘. 회사 측에 따르면, 美 메사추세츠 연방법원은 얀센이 제기한 램시마의 배지 기술 침해에
대한 균등침해주장이 부당하며, 동사는 얀센 배지특허를 침해하지 않는다 판결했다고 알려짐. ▷한편, 얀센은 지난 15년3월 램시마가 오리지널 의약품인 레미케이드 제조에 사용되는 배지에 관한 美 특허를 침해했다며 美 매사추세츠연방법원에 재판을 청구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셀트리온이 5% 넘게 상승했으며,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도 동반 상승. [종목] :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 |
(002380) 339,000원 (+3.67%) |
세계 3대 실리콘업체 인수 추진 소식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반도체 및 원료를 생산하는 중견기업 원익그룹 및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SJL파트너스와 함께 세계 3대
실리콘 및 석영·세라믹 제조업체인 美 모멘티브 인수에 나선 것으로 알려짐. ▷모멘티브 인수 금액은 2조원 후반대로 이 중 재무적 투자자(FI)인 SJL파트너스가 50%를 부담하고, 동사가 45%, 원익그룹이 5%를 부담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다른 인수 후보 한 곳과 경합 후 이르면 다음 달 중순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해졌음. ▷한편, 동사는 모멘티브 인수 추진 보도에 대한 조회공시 답변을 통해 해당 회사에 대한 인수를 포함한 여러 전략적인 방안에 대한 검토를 진행한 바 있으나 현재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힘. | |
(251270) 144,500원 (+2.48%) |
'KOF 올스타' 日 흥행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하반기 日 시장 기대작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올스타(KOF 올스타)’가 출시 이후 5일만인 금일 현지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에서 매출 Top7을 기록했다고 밝힘. 지난 26일 정식 출시 직후 앱스토어 20위, 구글 플레이 45위에 처음 이름을 올렸으며, 지난
주말을 지나며 매출 순위가 급격하게 상승한 것임. ▷아울러 동사가 2대주주로 있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소속그룹 방탄소년단의 컴백 소식도 금일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 |
(006280) 178,000원 (-2.20%) |
2분기 실적 부진에 소폭 하락 |
▷동사는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133.12억원, 27.22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61.5%, 89.9% 감소했다고 공시. 반면,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3.5% 증가한 3,418.38억원을 기록. | |
(298040) 52,900원 (-8.79%) |
관급공사 입찰참가자격 제한에 급락 |
▷동사는 전일 장 마감 후 관급공사 입찰참가자격 제한 처분을 받았다고 공시. 거래중단 금액은 3,249.02억원 규모임. 중단일정은 2018년7월25일부터 2020년1월20일까지임. |
= 코스닥시장 =
특징 종목 | 이 슈 요 약 |
(079970) 9,440원 (+15.12%) |
에이티파머와 면역증강 항암제 '알로페론' 임상 추진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러시아에서 상용화에 성공한 차세대 면역항암제 '알로페론'의 판권을 보유하고 있는 에이티파머와 공동으로
임상을시작한다고 밝힘. ▷이를 위해 동사는 에이티파머와 전락적 제휴를 체결하고, '알로페론'의 특허권을 공유해 국내와 미국 임상을 추진 및 상용화에 나서며,특히 췌장암 치료제 젬시타빈과 병용 치료 관련 임상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 |
(178320) 33,400원 (+8.09%) |
중장기 실적 고성장 전망 등에 급등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주력 사업부문인 통신장비향 매출이 동남아 4G 투자 지속 및 향후 5G 투자, ESS 시장 성장 등으로 인해
가파른성장이 예상된다며, 특히 올해 하반기 국내 5G 투자 수혜와 함께 중장기 자동차 부품에서의 추가 성장동력이 기대된다고 밝힘. 올해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3,461억원(+45% YoY), 420억원(+135%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최근 동사의 주가가 5월 대규모 유상증자 발표로 우하향했지만, 증자 목적이 전방시장 성장 대응을 위한 대형 CNC 등의 설비 투자 목적이었다는 점, 2분기 실적을 통해 실적에 대한 우려가 불식시킬 것이라는 점 등으로 악화된 투자 센티먼트는 실적을 통해 회복될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45,000원[신규] | |
(175250) 47,700원 (+6.59%) |
루게릭병 후보물질, 제품화 효력 임상시험 승인 소식에 강세 |
▷언론에 따르면, 김성철 원광대 광주한방병원 희귀난치성루게릭센터장이 개발한 루게릭병 치료제 후보 물질인 '메카신(Mecasin)'의
제품화 효력 임상시험이 식약처로부터 최종 승인된 것으로 전해짐. '메카신'은 임상시험 완료 단계에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 등 다국가
및기관의 임상시험을 통해 루게릭병질환의 최초 한약제재로 제품화할 계획임. ▷한편, 동사는 지난 7월 초 원광대와 퇴행성신경계 질환에 대한 기술 협약을 맺고, 치매 및 파키슨병과 더불어 루게릭병 한약제제인 '메카신'을 제품화하기 위한 상호협력을 체결한 바 있음. | |
(028150) 198,800원 (+5.91%) |
2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
▷동사는 전일 장 마감 후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38.65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13.5% 증가했다고 공시. 같은 기간
매출액과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1.2%, 77.7% 증가한 2,750.09억원, 345.34억원을 기록. ▷이에 대해 IBK투자증권은 송출수수료 부담과 회계이슈를 고려해도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상회했다고 분석. 아울러 순이익은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는데, 이는 2017년 2분기 해외JV 손상 87억원에 따른 기저효과, 벤처투자회사 에이플러스비 매각이익 등 때문으로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70,000원[유지] | |
(203690) 6,330원 (+3.09%) |
피부 재생용 조성물 관련 특허권 취득에 상승 |
▷동사는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기능성 조성물 관련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공시. 본 특허는 피부 미백, 보습,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등 피부 개선 및 상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과 제조 방법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다고 밝힘. | |
(032580) 2,200원 (+2.80%) |
2분기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 |
▷동사는 2분기 영업이익이 14.44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160.0% 증가했다고 공시. 같은 기간 매출액과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63.3%, 229.5% 증가한 218.88억원, 18.60억원을 기록. | |
(036630) 571원 (+2.33%) |
조일이씨에스 지분 취득 결정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전일 장 마감 후 사업 다각화를 위해 전기공사업체 (주)조일이씨에스 지분 100%(300,000주)를 250억원에 취득했다고 공시. 이는자기자본대비 7.54% 규모이며, 취득예정일자는 2018년8월30일임. | |
(052190) 3,150원 (-2.02%) |
상장폐지 사유 해소 후 거래재개 첫날 소폭 하락 |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전일 장 마감 후 동사에 대해 상장폐지 사유를 해소(감사의견 적정)함에 따라 금일 거래정지가 해제된다고
공시. 한편, 동사는 지난 3월23일부터 상장폐지 사유발생으로 인해 매매거래가 정지된 바 있음. ▷이에 금일 동사의 주가가 장초반 급등세를 보였으나 장중 상승폭을 꾸준히 반납했고, 장막판 하락 전환하며 마감했음. | |
(149950) 6,670원 (-4.03%) |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
▷동사는 전일 장 마감 후 2분기 영업이익이 16.76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62.75% 감소했다고 공시. 같은 기간 매출액과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22.71%, 29.07% 감소한 177.41억원, 25.91억원을 기록. | |
(066410) 1,555원 (-7.16%) |
전환사채권 발행 취소에 약세 |
▷동사는 전일 장 마감 후 발행 대상자들의 납입 불이행으로 140억원 규모 제3회차 전환사채권 발행이 취소됐다고 공시. | |
(023440) 1,460원 (-7.59%) |
신일그룹 임직원 출국금지에 약세 |
▷전일 서울 강서경찰서는 보물선 돈스코이호 투자 사기 의혹과 관련해 최용석 신일그룹 대표를 포함한 임직원들에 대해 출국금지조치를 내렸다고
밝힘. 이에 보물선 돈스코이호 관련주로 부각된 바 있는 동사의 주가가 금일 약세 마감했음. ▷한편, 동사는 지난 18일 "신일그룹 '보물선' 발견에 제일제강 상한가"보도에 대한 해명을 통해 보물선 사업과는 일체 관계가 없다고 밝힌바 있음. | |
(091700) 7,040원 (-9.28%) |
2분기 적자 전환에 급락 |
▷동사는 전일 장 마감 후 2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과 순손실이 각각 36.99억원 51.39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했다고
공시. 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22.6% 감소한 1,700.46억원을 기록. ▷이에 대해 미래에셋대우는 당사 추정 매출액 1,899억원과 영업이익 50억원에 미달하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갤럭시 S 시리즈 부진으로 인해 동사가 공급하고 있는 카메라 모듈, 홍채인식 모듈, 안테나, Flash LED(자회사인옵티맥 납품) 등의 판매가 부진했기 때문으로 분석. ▷투자의견 : 매수 → Trading Buy[하향], 목표주가 : 11,100원 → 9,200원[하향] | |
(067160) 42,500원 (-11.46%) |
2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 등에 급락 |
▷동사는 연결기준 2분기 영업이익이 61.26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43.0% 증가했다고 공시. 같은기간 매출액 및 순이익은 각각
289.53억원, 46.1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8.4%, 38.4% 증가. ▷한편, 전년동기대비 개선된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매출액이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영업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고, 美 넷플릭스 등 해외 미디어산업 성장 정체에 따른 우려 등에 동사의 주가가 급락 마감했음.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주]
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002000) 53,900원 (+21.12%) |
상장폐지를 위한 자사주 공개매수 결정에 급등 | |
(061970) 5,320원 (+19.42%) |
방탄소년단 컴백 소식에 급등 | |
(079970) 9,440원 (+15.12%) |
에이티파머와 면역증강 항암제 '알로페론' 임상 추진 소식에 급등 | |
(052020) 12,450원 (+14.75%) |
정부 2조원 규모 신약개발 지원 수혜 기대감에 급등 | |
(054780) 2,620원 (+8.71%) |
방탄소년단 컴백 소식에 급등 | |
(222110) 15,050원 (+8.27%) |
빈혈치료제 바이오시밀러, 美ㆍ유럽 기술이전 추진 소식에 급등 | |
(178320) 33,400원 (+8.09%) |
중장기 실적 고성장 전망 등에 급등 | |
(065660) 91,000원 (+8.08%)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