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난 10월 9일은 578돌 한글날이었습니다.
그런데 많은 이가 세종임금이 만든 훈민정음이
조선시대 내내 ‘언문’이라 하여 푸대접받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임금이나 왕비 등이 한글 편지를 썼음은 물론
교지도 한글로 써서 사실상 한글은 많은 이가 쓰는 글자였습니다.
특히 임진왜란 때인 선조 25년(1592년) 4월 13일
선조임금은 공식 문서인 교지에 언문을 썼지요.
교지를 쓴 때는 왜군이 7백여 척의 배를 앞세워 부산포로 쳐들어와
미처 전쟁 준비를 하지 못했던
조선은 왜군의 침략 앞에 속수무책으로 당했습니다.
속속들이 관군이 무너졌다는 소식을 들으며 선조는 탄식하게 됩니다.
그래서 《선조실록》 25년 8월 19일 기록을 보면
“언서로 방을 많이 써서 송언신에게 보내어
민간을 알아듣게 타이르도록 하라.”는 대목이 나옵니다.
여기서 한문이 아닌 언서(한글)로 교지를 내린 까닭은
백성과의 원활한 사맛(의사소통)을 위한 것이었는데
이는 또한 임진왜란 당시
백성의 상당수가 언문을 알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 정조임금이 원손 시절 외숙모에게 쓴 한글편지
또 2022년 보물로 지정된 《정조국문어필첩(正祖國文御筆帖, 한글박물관 소장)》은
정조가 만 3~4살부터 46살 때까지
큰외숙모인 여흥민씨(驪興閔氏)에게 보낸 한글편지 16점을 모아 묵은 편지첩입니다.
특히 원손 시절인 5~6살 무렵 쓴 한글편지의 내용을 현대어로 바꿔 보면
“가을바람에 기후 평안하신지 문안 알기를 바라오며 뵌 지 오래되어
섭섭하고도 그리워하였사온데 어제 봉한 편지를 보고 든든하고 반가워하였사오며
할아버님께서도 평안하시다 하시오니 기쁘옵나이다.
원손”이라고 되어 있어 어린 정조임금의 의젓함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보면 훈민정음 곧 한글은
창제 이후 한자와 함께 당당히 쓰인 조선의 또 하나의 공식문자였음이 분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