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기 3장 1 - 11절
1. 여호와께서 가나안의 모든 전쟁들을 알지 못한 이스라엘을 시험하려 하시며
2. 이스라엘 자손의 세대 중에 아직 전쟁을 알지 못하는 자들에게 그것을 가르쳐 알게 하려 하사 남겨 두신 이방 민족들은
3. 블레셋의 다섯 군주들과 모든 가나안 족속과 시돈 족속과 바알 헤르몬 산에서부터 하맛 입구까지 레바논 산에 거주하는 히위 족속이라
4. 남겨 두신 이 이방 민족들로 이스라엘을 시험하사 여호와께서 모세를 통하여 그들의 조상들에게 이르신 명령들을 순종하는지 알고자 하셨더라
5. 그러므로 이스라엘 자손은 가나안 족속과 헷 족속과 아모리 족속과 브리스 족속과 히위 족속과 여부스 족속 가운데에 거주하면서
6. 그들의 딸들을 맞아 아내로 삼으며 자기 딸들을 그들의 아들들에게 주고 또 그들의 신들을 섬겼더라
7.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여 자기들의 하나님 여호와를 잊어버리고 바알들과 아세라들을 섬긴지라
8.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진노하사 그들을 메소보다미아 왕 구산 리사다임의 손에 파셨으므로 이스라엘 자손이 구산 리사다임을 팔 년 동안 섬겼더니
9.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부르짖으매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한 구원자를 세워 그들을 구원하게 하시니 그는 곧 갈렙의 아우 그나스의 아들 옷니엘이라
10. 여호와의 영이 그에게 임하셨으므로 그가 이스라엘의 사사가 되어 나가서 싸울 때에 여호와께서 메소보다미아 왕 구산 리사다임을 그의 손에 넘겨 주시매 옷니엘의 손이 구산 리사다임을 이기니라
11. 그 땅이 평온한 지 사십 년에 그나스의 아들 옷니엘이 죽었더라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시험하기 원하셨습니다. 광야에서도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시험했었는데 약속의 땅 가나안 땅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하나님은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도 시험하실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브라함은 믿음으로 고향을 떠나 하나님께서 지시할 땅으로 갔던 사람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여지없이 아브라함을 시험하셨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시험을 어렵게 생각하거나 부정적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우리의 믿음을 더욱 확고하게 세우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믿음은 영원한 것이 될 수 없습니다. 가룟 유다처럼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님의 제자가 되겠다고 따랐던 사람도 지속적인 시험을 통해 자신의 믿음을 점검하지 않으면 예수를 팔아넘길 수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시험에 대해서 이렇게 조언해 주시고 있습니다. 고린도전서 10장 13절 말씀에 보면 “사람이 감당할 시험 밖에는 너희가 당한 것이 없나니 오직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하지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시험 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감당하게 하시느니라” 이렇게 말씀해 주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시험하실 때는 우리가 감당할 수 있는 한도 안에서 시험을 하십니다. 초등학생에게 고등학교 과정의 문제를 내는 것이 온당치 않은 것처럼 하나님의 시험도 항상 수준에 맞는 시험을 내려주신다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서는 우리가 시험 당할 즈음에 또한 시험을 피할 수 있는 길도 주신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연약함과 부족함을 누구보다 잘 아시는 분이 바로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하나님은 이런 은혜를 시험 가운데 내려 주시겠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시험이 어떤 성격인가를 확실하게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를 망하게 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우리를 좌절하게 만들고 우리는 낙오시키기 위한 시험이 아닙니다. 오히려 우리를 깨우고 우리를 살리시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보다 우리를 더 사랑하시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우리를 시험하실 때 하나님은 항상 이런 원칙을 가지고 시험하시는 것입니다. 그래서 야고보서 1장 2절 말씀에 보면 “내 형제들아 너희가 여러 가지 시험을 당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 이렇게 말씀해 주시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시험하시는 시험의 성경은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우리는 야고보서에 나와 있는 말씀처럼 오히려 기쁨으로 시험을 맞이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로벤 토레이 아쳐라는 사람은 이런 말을 했습니다. “전투에서 많이 실패하는 이유는 그들이 전투의 순간까지 기다렸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성공하는 이유는 전투가 시작되기 전에 오랫동안 무릎으로 이미 승리를 얻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전투를 미리 내다보십시오. 시험이 오기 전에 무릎으로 싸우십시오. 그러면 당신은 늘 승리할 것입니다.” 우리가 시험에서 당당하게 승리하는 사람이 되고 하나님의 마음에 합당한 사람이 되려면 깨어 기도하는 방법이 최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리 시험공부를 하듯이 기도의 덕을 쌓아두면 당하게 되는 시험을 기쁨으로 감당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대부분의 성도들이 시험에 닥쳐야 기도를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시험에 대한 피로감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미리 기도를 통해 시험에 대한 준비를 한 사람은 당황하지 않고 차분하게 시험의 과정을 밟아나갈 수 있지만 시험 때마다 기도하기 시작을 하는 사람은 항상 시험에 허덕이다 시험을 통해 얻어야 할 유익을 크게 얻지 못하고 현상 유지만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졌던 잘못된 습관이 바로 그런 것이었습니다. 9절에 보면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부르짓으매”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심한 고통에 빠지게 되자 그때서야 비로소 기도하였다는 것입니다. 다행히 하나님은 그런 기도도 거절하지 않고 들으시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그들의 기도대로 구원자, 사사를 보내사 구원의 은혜를 베풀어 주셨다는 것입니다. 그 구원자를 통해 주신 은혜를 확실하게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11절에 보면 “그 땅이 평온한 지 사십 년에 그나스의 아들 옷니엘이 죽었더라” 이렇게 말씀해 주시고 있습니다. 구원자 한 사람 때문에 사십 년 동안 평온했다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에게 구원자는 예수님밖에 없습니다. 첫 번째 사사였던 옷니엘은 인간이었기 때문에 죽음과 동시에 그 평온함이 사라졌지만 예수님은 영원한 분이시기 때문에 그 분이 우리의 구원자가 되실 때 우리는 영원토록 평온함을 누릴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고 명령하신 것입니다. 제발 시험 당할 때 불평하거나 원망하지 마십시오. 우리를 깨우고 살리기 위한 시험이고, 이 험한 세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능력을 주시기 위한 시험입니다. 이런 시험을 기쁘게 여기지 못하게 되면 우리의 믿음은 점점 약해질 수밖에 없고 결국 작은 바람에도 날아가 버리는 쭉정이 같은 믿음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오늘도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시험하셨던 것처럼, 이스라엘 백성들을 시험하셨던 것처럼 우리를 시험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를 더욱 굳건한 믿음으로 세우기 위한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이기 때문에 기뻐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맞이할 필요가 있습니다. 두려워하지도 마십시오. 우리 안에는 그 모든 것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도, 지혜도, 믿음도 이미 있습니다. 우리를 더욱 높이시려는 하나님의 의도라는 것을 절대 잊지 마시고 시험의 승리자, 성공자가 되기 위해서 오늘도 깨어 기도하는 하루가 되시고, 어떤 시험이 닥칠지라도 잘 통과하여서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사람이 되는 귀한 성도님들이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