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 San Jose (시내는 왼쪽편에 있다) 서쪽 전경과 실리콘 밸리 Sillicon Valley.
"실리콘 밸리의 수도" 로 홍보되는 산 호세 San Jose 의 경치
산호세 San Jose
미국 캘리포니아의 도시로 캘리포니아 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며, 미국에서는 열 번째로 큰 도시.
또한 실리콘밸리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샌타클래라 군의 군청 소재지이기도 한 산 호세는 샌프란시스코 만의 남부 내륙에 위치한다.
좌측 위에서부터 우측으로: San Jose 시내, De Anza Hotel, 동 San Jose 교외 주택 지역, Lick 천문대, Plaza de César Chávez
San Jose 시내, Tech Museum 와 Plaza de César Chávez 공원.
산 호세 San Jose
북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톺은 도시, 미국에서는 열 번째로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
산타 클라라 Santa Clara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 클라라 군에 있는 도시.
샌프란시스코 San Fransisco 에서 남동쪽으로 45 miles (72 km) 떨어져 있는 도시.
1777년 설립되어 1852년 시로 승격했다.
Santa Clara 는 실리콘 밸리 Silicon Valley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첨단 기술을 다루는 회사들의 본사가 있다.
또한 Levi's Stadium 이 있으며, National Football League's San Francisco 49ers 와 Super Bowl L. Santa Clara University 가 있다.
그리고 바로 제11회 인가.. 세계검도선수권대회가 바로 여기 산타 클라라 Santa Clra 에서 열렸었다.
그러니까 2000년에.
당시에 갈까 말까 고민하다가 결국은 안갔던.
스콧 사범님이 그때 영국 대표팀으로 출전을 했었다.
당시 검도세계 창간인 고동수 사범님과 김재일 선생님 그리고 몇 분이 세계대회 관전차 오셨다가 도장에 들러 함께 운동을 하심.
산타 클라라 컨벤션 센터.
그리고
드디어
우리나라 이민자들과도 연관이 깊은
당시 역시 '미국' 하면 떠오르는 가장 대표적인 도시.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
마린 헤드랜드 Marin Headlands 에서 바라본 금문교 Golden Gate Bridge 와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 의 전경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
미국 캘리포니아 주 중부의 서해안에 있는 상공업 도시로 미국에서 14번째로 큰 도시이며 캘리포니아 주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다.
옛 이름은 예르바 부에나 Yerba Buena 이다.
인구는 약 80만 명(2008년)으로 샌프란시스코 반도 끝에 자리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는 또한 미국 대도시 중에 뉴욕에 이어 2번째로 과밀한 도시이다. 태평양 연안에서 가장 중요한 상업·금융의 중심지이다.
1776년에 스페인인이 이곳에 처음으로 정착했으며 1848년의 캘리포니아 골드러시로 인해 크게 성장하였다.
1906년의 샌프란시스코 대지진으로 인해 도시가 크게 파괴되었으나 빠르게 재건되어 지금에 다다랐다.
침수해안인 샌프란시스코 만을 바라보며, 샌프란시스코는 해류의 영향으로 연중 따뜻하지만 안개가 자주 낀다.
태평양 연안 제일이라고 하는 천연의 항구를 가지고 있어 태평양 여러 나라와의 무역량이 많다. 또 대륙횡단 철도의 기점이기도 하여, 항공과 더불어 교통의 요충이기도 하다.
넓은 캘리포니아 협곡을 후배지로 식품가공·석유정제·철강제품·출판·인쇄업이 왕성하다.
가파른 언덕길로 유명하며, 케이블 카가 있다.
유명한 건축물로는 골든게이트 교, 앨커트래즈 섬의 앨커트래즈 감옥 등이 있다
샌프란시스코에 사람이 거주한 고고학적인 증거는 기원전 3000년 전부터라고 한다. 유럽인들에 의한 최초의 샌프란시스코 만 발견은 1769년 11월 2일 가스파 드 포르톨라가 이끄는 스페인 탐험대로, 이전에는 아메리카 인디언 오흘론 부족이 여러 작은 마을을 이루어 살고 있었다. 7년 후인 1776년 3월 28일 스페인은 샌프란시스코 요새를 구축한 다음 이어 가톨릭 수도회인 돌로레스 선교회를 세웠다.
돌로레스 선교회.
1821년에는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했고, 멕시코 영토의 일부가 되었다.
멕시코의 통치 하에 선교 풍습은 점차 없어졌고, 땅은 민영화되었다.
1835년 윌리엄 리차드슨은 오늘날 포츠머스 광장 보트 정박지 주변에 처음으로 개인 주거지를 세웠다.
윌리엄은 프란시스코 데 하로 시장과 함께 정착을 위한 거리를 계획해 예르바 부에나라는 이름의 마을을 건설해 아메리카 정착민들을 끌어들이기 시작했다.
존 D. 슬롯 준장은 멕시코-미국 전쟁 당시인 1846년 7월 7일 캘리포니아가 미국 영토임을 주장했고, 이틀 후 존 B. 몽고메리 대위가 예르바 부에나는 미국의 영토라고 주장했다.
이듬 해 1847년 1월 30일 예르바 부에나 Yerba Buena 는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 로 개명되었고, 멕시코는 종전 후 과달루페-이달고 조약대로 이 지역을 포함한 광대한 영토를 공식적으로 할양했다.
샌프란시스코는 항구와 해군기지로서의 좋은 지정학적 위치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살기 어려운 지리로 소수의 정착민만이 거주했다. 하지만 이후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로 인해 금을 찾아 많은 사람들이 몰려왔다. 당시 인구는 1848년 1,000명에서 1849년 12월 25,000만명까지 늘어나 경쟁도시 베니시아를 넘었다.
캘리포니아는 1850년 타협으로 연방 지위를 얻었다. 그리고 미국 군대는 샌프란시스코 만 안전을 위해 골든 게이트 해협의 요새 포트 포인트와 앨커트래즈 섬 요새를 구축했다.
1859년 캄스톡 광맥의 은 발견은 더 빠른 인구 증가를 도왔다. 돈을 벌고자 희망을 품고온 무법자들이 모인 바바리 코스트 지역은 범죄, 매춘, 도박의 천국으로 악명을 떨쳤다.
골드 러시로 부를 축적한 기업들은 돈의 활용을 모색하고 있었다. 1852년 웰스 파고와 1864년 캘리포니아 은행와 같은 금융 기업들이 초기에 많은 성공을 했다. 또한 샌프란시스코 항구의 개발에 따라 도시는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증가하는 인구에 따라 다양한 음식도 필요해졌고, 도밍고 기라델리는 기라델리 초콜렛 브랜드로 초콜릿 제조업을, 리바이 스트라우스는 의류 사업(리바이스)을 시작해 큰 성공을 거뒀다.
다양한 나라에서 온 이민자들 때문에 도시는 여러 언어로 쓰인 문화가 생겨났고, 중국에서 건너 온 철도 노동자들은 차이나타운을 만들었다. 현재 이 차이나타운은 뉴욕에 이어 미국에서 2번째로 큰 차이나타운을 형성하고 있다.
1870년경 아시아인들은 샌프란시스코 인구 전체의 8%를 차지했다.
1873년 클레이 스트리트에는 처음으로 케이블 카가 설치되었다. 도시 바다 근처에는 빅토리아 하우스가 유행하면서 넓은 공원의 필요성이 제기 돼 골든게이튼 공원 계획이 생겨났다. 또한 학교, 교회, 극장 등 생활에 필요한 여러 시설들이 지어졌다. 샌프란시스코 요새는 태평양 연안에 있는 가장 중요한 미국의 군사 기지로써 발전했다.
1890년 도시 인구는 300,000만명에 달하면서 미국에서 8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로 발전했다. 1901년경에는 화려한 스타일, 고급스런 호텔, 노브 힐의 저택들, 예술이 활성화 된 도시 등으로 유명해졌다.
1900-1904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미국에서 발병한 첫 전염병이 생기기도 하였다.
1906년 4월 18일 오전 5시 12분, 샌프란시스코 지진이 샌프란시스코 시내와 캘리포니아 북부를 강타했다.
건물은 붕괴되었고, 폭발한 가스관이 인화되어 화재가 발생, 거리를 소멸했다. 시내 중심부를 포함한 도시의 75%가 붕괴되었다. 당시에는 498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기록되었지만, 현재에는 수 천명의 인구가 목숨을 잃었다고 추산되고있다. 또한 40만 명중 절반 이상의 인구가 살곳을 잃었다. 피난민들은 골든 게이트 파크와 해안 요새 등에 설치된 임시 텐트촌에서 생활했다. 대부분은 이스트 베이로 떠났다. 이후 도시는 빠르게 재건되었다.
"역사상 현대 대도시가 이렇게 처참하게 잿더미가 된 적이 없었습니다. 샌프란시스코는 사라졌습니다."
– 1906년 대지진 당시 Jack London 이 한 말.
지리
샌프란시스코는 캘리포니아 주 북쪽, 북위 38도, 서경 122도 5분에 있다. 기후는 온난하며, 여름에 비가 적다. 시가지는 샌프란시스코 만 서쪽의 샌프란시스코 반도에 위치해 있다. 샌프란시스코 만 동쪽에는 오클랜드와 버클리, 남쪽에는 산 호세 San Jose 가 위치해 있다.
아마도 '샌프란시스코' 하면 금문교와 함께 가장 많이 걸어 놓는 사진이 아닐까 싶은.
각종 영화와 팝 문화에 자주 등장하고 San Francisco 를 대표하는 명소.
rainbow flag, LGBT 의 상징, San Francisco 에서 태동; The Castro 거리에 많이 걸려 있다고 함.
California Street. 금웅 지구란다.
여기는 가봤다. 차 타고 그냥 지나가기만 한.. 그것도 밤에..
그리고 역시 샌프란시스코의 명물 전차 cable car. Hyde St.
뒤로 알카트라즈 Alcatraz 가 보인다.
Alcatraz. 매해 150만명의 관광객이 이 곳을 팢는다.
바로 니콜라스 케이지, 션 코너리 주연의 영화 'The Rock (1996)' 의 배경의 그 섬.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 하면 역시 그 상징물
금문교 Golden Gate Bridge.
금문교 Golden Gate Bridge.
샌프란시스코 전쟁기념 공연예술 센터는 미국에서 손꼽히는 공연장 중 하나이며, 샌프란시스코 발레단뿐만 아니라, 북미에서 두 번째로 큰 샌프란시스코 오페라단의 주 공연장이다. 허브스트 극장에서는 비영리 공공라디오 방송의 City Arts & Lectures를 비롯한 다양한 음악공연이 상연되고 있다.
필모어는 저팬타운 인근에 위치한 음악 공연장이다. 1960년대 콘서트 기획자 빌 그라함에 의해 지금은 매우 유명하지만 그 당시에는 무명이었던 그레이트풀 데드, 재니스 조플린,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공연과 같은 샌프란시스코의 음악 영혼을 울리는 좋은 공연들이 상연되며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미국 컨서버토리 극장(A.C.T)은 1967년부터 정기적으로 창작공연을 상연하며 샌프란시스코의 공연예술을 주도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는 1920년대 빈티지 풍의 커런 극장, 오르페움 극장, 골든게이트 극장 등에서 종종 브로드웨이 작품을 초청해 상연하곤 한다.
안개 낀 날의 금문교 Golden Gate Bridge,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 여름에 흔히 볼 수 있는 풍경.
2006년 10월 트윈 픽에서 촬영한 다운타운 샌프란시스코
2011년 6월 트윈 픽에서 촬영한 다운타운 샌프란시스코의 야경.
샌프란시스코 San Ftancisco
Northern California 에서 두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 미국에서 14번째로 큰 도시.
샌프란시스코 지역에 인접한 역시 유명한 도시로 버클리와 오클랜드가 있겠다.
먼저 오클랜드 부터 본다.
미국에 가려고 했을 떄 가장 먼저 선택했던 곳.
오클랜드 Oakland
Oakland 스카이라인, 되로 San Francisco–Oakland Bay Bridge 가 보인다.
오클랜드 Oakland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 주 있는 도시. 인구 415,492(2006). 캘리포니아 주 서부, 샌프란시스코 만의 동쪽 연안에 위치한다.
이 도시는 샌프란시스코 만 서쪽의 샌프란시스코와 연결되는 연락선이 취항면서 건설되었다. 그 후 이 도시로 대륙횡단철도의 종착역이 들어서면서 미국 서해안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인 샌프란시스코에 대한 본토의 문호 역할을 하면서 발전하였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 때 이 도시는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아 샌프란시스코의 기능을 분담하면서 더욱 성장하였다. 1937년 샌프란시스코 만을 가로지르는 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베이 다리가 건설되어 샌프란시스코와의 교통이 크게 편리해졌다. 이로써 이 도시의 산업발달은 더욱 촉진되었으며, 인접한 버클리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교도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샌프란시스코와 대도시권을 형성하여, 샌프란시스코베이 대도시권 동부의 중심지이며, 특히 버클리와 함께 문화시설이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프로스포츠도 발달하여, 프로야구의 메이저 리그 야구(MLB)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와 프로농구 NBA의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의 연고지로도 알려져 있다. 1989년 지진과 1991년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다. 철도·항공·해운의 거점이며, 시가는 정연하고 아름답다
HERETHERE 조각.
Oakland 와 Berkeley 경계에 있다.
버클리 Berkeley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만 동쪽 연안에 위치한 도시. 남쪽으로 오클랜드와 에머리빌, 북쪽으로 올버니 그리고 시 승격이 되지 않은 캔싱턴 등의 도시를 접하고 있다. 동쪽 시경계는 콘트라코스타 군 경계선을 버클리 언덕 등선을 따라 접하고 있다. 버클리는 캘리포니아 알라미다 군의 일부분이다.
버클리엔 캘리포니아 대학교 중 최초로 설립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와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가 위치해 있다.
Berkeley, Alameda Co.
1866년 오클랜드 시에 위치하던 사립대학인 College of California가 새 학교부지를 찾으면서 시 북쪽의 콘트라 코스타 언덕(후에 버클리 언덕으로 개명됨)을 선택하게 된다. 스트로베리 천을 따라 500피트 정도 솟아있고 환상적인 샌프란시스코 만의 경치와 금문해협을 통해 태평양을 바라볼 수 있는 좋은 지역이었다.
1868년 캘리포니아 대학교가 주립대학으로 정식 설립되고 버클리 부지에 건물이 들어서게 된다.
1970년대에 들어서 버클리시는 주민들이 교외로 이사가면서 인구감소를 경험하게 된다. 서 버클리 지역 산업이 쇠퇴하면서 일자리가 줄고 물가가 증가하면서 많은 이들이 버클리를 떠났다. 현재는 UC 버클리 대학생들과 교육관련 산업 종사자들이 많이 살고 있다.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지역 물가 특히 1990년대 들어 집값이 계속올랐고 2005–2006년에 이르러 주택 매매가 서서히 줄기 시작했다. 그러나 집값은 여전히 미국 내 최고 수준이다. 2006년에 독립서점으로 유명한 Cody's 가 문을 닫는다.
1960년대부터 이 도시는 미국 진보주의의 메카였으며, 현재도 미국에서 개혁 및 진보성향이 가장 강한 '자유주의 성지'로서, 2004년 대선 때는 전국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의 존 케리(54,419표)가 90.9%의 득표율로 압승을 기록하였다(당시 조지 W. 부시는 4,010표, 득표율 6.7%). 2006년에는 공화당소속 주정부진영의 반발과 재정지원 중단 등의 탄압을 극복하고 이라크 전쟁과 테러와의 전쟁(대테러전)등의 반인륜적 범죄행위(중범죄)에 대한 책임을 물어 조지 W. 부시와 딕 체니를 탄핵하는 상징적 결의안을 통과시켰으며, 2008년 2월 10일에는 지역의 젊은이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고있다는 책임을 물어, 대테러전 병력수급을 위한 '해병대 신병모집소' 를 도시에서 전면 추방하기로 결의하는 등, 현재도 '반전도시 反戰都市' 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Berkeley, Bay Bridge. 샌프란시스코.
버클리는 지중해성 기후로 건조한 여름과 비가 많이 오는 겨울이 특징이다. 여름은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 덕분에 시원한 특징이 있다. 겨울이 온화한 탓에 눈은 거의 오지 않는다.
여름에는 캘리포니아 주 해변을 따라 태평양의 조류가 물밑에서 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밤, 아침에는 서늘하고 자주 안개가 낀다.
연중 9월달이 가장 더우며, 9월의 평균 기온 기록 중 최고 기록은 섭씨 22.1도였으며, 최저 기록은 12.8도였다. 년간, 기온이 섭씨 32도(화씨 90도)를 넘는 날은 평균 2.9일이다. 기온이 섭씨 0도(화씨 32도) 아래로 떨어지는 날은 평균 1.0일이다.
여름에는 강수량이 아주 적어 의미 있는 강수량이 측정되는 날이 거의 없다. 또한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좀처럼 눈이 오지 않는다. 연평균 강설량은 2.54mm이다. 그런데 1922년 1월 29일에는 눈이 많이 와 강설량 152.4mm를 기록하기도하였다. 버클리 힐즈의 높은 봉우리에 몇 년에 한 번 눈이 오긴 한다.
인구 구성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02,743명, 44,955가구, 18,656의 가족이 도시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밀도는 3,792.5/km² (9,823.3/mi²)로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인종별 구성으론 59.17%은 백인, 13.63%은 흑인, 0.45% 인디언, 16.39% 아시아계, 0.14% 태평양 군도출신, 4.64% 기타, 그리고 5.57% 혼혈인. 이중 9.73%은 히스패닉계이다..
가계 소득의 평균은 $44,485, 중간값은 $70,434이다. 남성 소득의 중간값은 $50,789, 여성 소득의 중간값은 $40,623이다
탤러그라프길 주변 축제
그리고 이곳에 위치한 세계적인 명성의 대학교.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C Berkeley.
tjffql March 23, 1868
학부: 22,144
대학원: 8,125
상징 곰 (Golden Bears)
공식 웹사이트 berkeley.edu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또는 UC Berkeley 또는 UC 버클리
미국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에 위치한 미국 서부의 명문 주립 대학.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최초의 대학으로, 약칭으로 '캘리포니아 California', 또는 '캘 Cal' 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탠포드대학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와 함께 서부 캘리포니아를 대표하는 명문주립대로써 스탠포드대학교와는 라이벌 구도가 생성되어 있다.
1868년에 창립된 UC 버클리는 20세기의 물리, 화학, 생물학과 컴퓨터 공학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플루토늄, 버클륨, 로렌슘, 캘리포늄등과, 원소 주기율표의 92번째인 우라늄부터 106번째인 시보귬이 UC 버클리에서 발견되었으며, 많은 오픈소스 등이 시작되었다.
또한 현대과학기술을 대표하는 인터넷, BSD, 오픈 소스, 월드 와이드 웹 개발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현재까지 많은 평가 세계순위에서 최상위를 기록하는 등 연구 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68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UC 버클리에서 학위를 받았거나 연구한 경험이 있고, 그중 22명이 UC 버클리에서 교수직을 역임하였거나 역임하고 있다. 또한 7명의 필즈상 수상자와 11명의 퓰리처상 수상자가 UC 버클리에서 학위를 받았다.
한국의 일부 언론에서 캘리포니아 대학교를 캘리포니아 주립대로 부르고 있었으나, 이는 캘리포니아의 또다른 주립대학 시스템인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California State University) 계열과 혼동의 여지가 있어 현재는 정정되어 캘리포니아 대학교로 번역되어 불리고 있다. 동부 지역의 보스턴 Boston 에 있는 버클리 음악 대학 Berklee College of Music 은 UC버클리와는 무관하며 UC버클리에는 음대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U.C. Berkeley 휘장
설립 역사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근원은 1849년의 골드러시에서 시작되었고. 당시 주 헌법의 제정자들이 주민의 교육을 위해 계획하였다.
1866년 현 UC 버클리 부지를 사립학교인 College of California (1855년 설립)가 매입하여 운영하였으나, Agricultural, Mining, and Mechanical Arts College와 통합되었다.
예일 대학교에 많은 기증을 한 아일랜드출신의 철학자이자 주교였던 조지 버클리의 시 중 한 구절, '서쪽으로 제국이 방향을 틀도다...'의 뜻을 따라 예일 대학교 출신의 교수들이 설립했다. 예일대 출신 교수들의 영향은 UC 버클리의 휘장인 파란색과 금색(Blue and Gold) 중, 파란색이 예일대 휘장색인 예일 블루와 동일하다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College of California를 설립한 듀란트가 첫 번째 총장이었으며, 예일대와 하버드 대학교를 모델로 하여 교육 과정이 꾸며졌다.
공식적으로는 1868년 3월 23일 주지사가 서명을 함으로써 법적으로 세워졌으며, 현재 10개에 이르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시스템의 첫 번째 학교로 탄생한 UC 버클리는 그 상징성을 인정받아 캘리포니아(California)의 'Cal' 을 애칭으로 부르고 있으며, 각종 대학 운동경기에서는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라는 이름으로 정식 출정하고 있다.
세계 2차 대전 시에는 핵무기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반대로 이후 1960년대의 미국 사회를 대표하는 자유 언론 운동(1964)과 베트남 전쟁과 관련한 반전 운동의 발상지로 유명하다.
UC 버클리의 캠퍼스는 서쪽으로 샌프란시스코 만을 사이에 두고 샌프란시스코와 그 뒤로 태평양이 보이는 곳에 있어, 흐리지 않은 날씨라면 금문교가 내려다보인다.
서쪽으로는 버클리 시의 다운타운, 북쪽으로는 오래된 마을, 동쪽으로는 로렌스 버클리국립연구원이 있고, 남쪽에는 히피의 발상지인 텔레그래프 애비뉴 (Telegraph Ave)가 있다.
캠퍼스가 처음 세워졌을 무렵의 건물은 1873년에 건립된 사우스 홀이 유일하며,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지어진 건물들이 건축가 존 하워드(John Howard)가 지은 20개가 넘는 보자르식 건축물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 한가운데에는 UC 버클리를 대표하는 93.6m 높이의 새더 타워(Sather Tower)가 서 있다. 이 탑은 이탈리아를 제외한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시계 종탑이다. 1800년대부터 서 있던 나무들이 이룬 숲과 그 속에서 사는 다람쥐들, 그리고 고풍의 건물들이 이루는 평화롭고 조용한 분위기의 캠퍼스는, 캠퍼스 바깥의 복잡한 도시의 분위기와 활기찬 학생들과 함께 묘한 광경을 이루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만을 바라보는 나무로 뒤덮인 총 6651에이커(27km²)의 부지에 있으며, 200에이커의 주 캠퍼스와 1000에이커(약 4km²) 넓이의 버클리 언덕을 포함하고 있다.
새더 타워 Sather Tower 그 주위의 캠퍼스 정경.
UC 버클리 캠퍼스 중앙에 있는 메모리얼 글레이드(Memorial Glade
총 66명의 노벨상 수상자들을 배출해 낸 UC 버클리 (올해 2013년에도 조벨 의학상 수상자 나옴) 는 세계에서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대학 중의 하나로서 세계대학 교육평가순위(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2013년에서 하버드와 스탠포드에 이어 세계 3위, 영국 더 타임즈(THE TIMES) 2013년 세계대학순위에서는 9위를 기록하였고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ARWU)의 세부 순위에서는 수학(세계 2위), 화학(세계 1위), 컴퓨터공학(세계 3위), 물리학(세계 3위), 경제학과 경영학(세계 4위) 등을 기록하였다.
2011~2012 QS 세계대학순위에서는 21위로 선정되었으며, 2013년 US News 의 미국 대학 종합평가에서도 20위를 하였고 2013년도 학부 평가에서는 공립대학 전체 1위, 경영대 3위, 공대 3위 등의 평가를 받았다.
한국에 많이 알려진 US News의 미국 대학 종합평가는 경제적인 지표에 대한 비중이 너무 크기 때문에 사립대학이 순위가 높을 수 밖에 없다며 스탠포드 총장이 UC 버클리의 순위를 예로 들며 공신력이 떨어진다며 비판한 일화도 있다.
2008년 7월 21일 미국 국립과학재단이 실시한 박사학위취득조사에 따르면 1997〜2006년 미국 대학 박사학위 취득자들의 학부 출신 대학을 조사한 결과 4,298명으로 UC 버클리가 세계에서 1위로 제일 많았다.
National Research Council의 2010년 자료에 따르면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 10위권 내에 분포한다. 모든 대학들이 가장 많이 신경쓰는 이 미국 학술 연구원 평가 랭킹(National Research Council)에 따르면 2010년에 전체 랭킹 1위를 하였으며, 세계대학랭킹센터(CWUR)'가 실시한 2013년도 연례 세계 대학평가에서는 7위를 하였다.
동문, 관련 인물 및 회사
애플(스티브 워즈니악), 인텔 (고든 무어), 마이스페이스, THE GAP, DHL, 구글에 인수된 그랜드센트럴과 키홀, LSI, HTC, 시스코 시스템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Marvell, 산디스크, VMWare 등이 이 대학 출신에 의해서 설립된 대표적인 회사들이다.
이외에 주요 인물로는 에릭 슈미트 (구글 CEO), 얼 워른 (미국 14대 연방대법원장), 에드먼드 제라드 (캘리포니아 주지사), 제니퍼 그랜험(미시간 최초의 여성 주지사), 로버트 맥나마라 (세계은행총장, 미국 국무장관, 포드 자동차 회사 회장)가 있다.
동문 또는 교수로 노벨상을 수상한 대표적인 인물은 해롤드 우레이(1934, 화학), 조지프 얼랭어(1944, 생리의학), 윌리암 지아크(1949, 화학), 글렌 시보그(1951, 화학), 셀맨 왁스맨(1952, 생리의학), 윌리스 람브(1955, 물리학), 윌러드 리비(1960, 화학), 해밀턴 스미스(1978, 생리의학), 로렌스 클라인(1980, 경제학) 헨리 타우브(1983, 화학), 유안 리(1986, 화학), 토마스 첵(1989, 화학), 캐리 물리스(1993, 화학), 더글라스 노스(1993, 경제학), 마리오 물리나(1995, 화학), 로버트 컬(1996, 화학), 스티븐 츄(1997, 물리학), 로버트 라글린(1998, 물리학), 앨런 히거(2000, 화학), 다니엘 카네만(2002, 경제학), 데이비드 그로스(2004, 물리학), 토머스 셸링(2005, 경제학), 앤드류 파이어(2006, 생리의학), 존 매더(2006, 물리학), 캐럴 그리더(2009, 생리의학)이다. 사켄트(2011, 경제학), Saul Perlmutter (2011, 물리학)이 있다.
대표적인 교수에는 로버트 오펜하이머(핵폭탄의 아버지), 길버트 루이스(플루토늄 발견자), 어니스트 로런스 (사이클론 발명자)가 있다.
컴퓨터 과학에 대한 기여
UC 버클리는 인터넷과 오픈 소스의 초기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BSD 유닉스가 1977년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빌 조이(Bill Joy)가 처음 발표한 이래, PostgreSQL(1970년대), Sendmail(1983), Tcl 언어와 Tk GUI 툴킷(1988년)이 UC 버클리에서 시작되었다. 집적회로 제작 도구로 유명한 SPICE가 UC 버클리 교수 도날드 페더슨(Donald Pederson)의 리드하에 만들어졌으며, espresso 는 로버트 브레이튼과 알베르토 산지오바니가 만들었다. RAID 와 RISC 기술은 데이비드 패터슨(David Patterson)이 개발하였으며, 윌리엄 카한(William Kahan) 교수가 주도하여 연구한 현재 IEEE 754 기준인 부동 소수점의 연산에 관한 알고리즘과 연구가 있다. 학부생 연구 그룹인 XCF 에서는 김프 툴킷, 김프와 같은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1992년에는 이 그룹의 구성원이었던 웨이 페이-유안(Pei-Yuan Wei)이 최초의 웹 브라우저 중 하나인 ViolaWWW를 개발하였으며, 이 ViolaWWW는 임베디드 스크립터블 오브젝트, 스타일 시트와 테이블을 사용한 최초의 브라우저였다. 오픈 소스 정신의 일환으로, 그는 이를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 기부하였으며 이는 자바 애플릿의 연구로 이어졌다. 또한, 이는 모자이크 웹 브라우저의 탄생에도 도움을 주었다.
UC 버클리의 컴퓨터 과학에 대한 기여 중 널리 알려진 대중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는 BOINC 프로젝트가 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우주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그리드 컴퓨팅 플랫폼인 BOINC는 참여한 사용자 수가 230만여명, 사용된 컴퓨터가 680만대 등 해당 분야에서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유닉스 족보. 개인적으로 뭔지 하나도 모름.
교육
UC 버클리는 연구 중심의 종합대학으로, 7000개가 넘는 강의와 300개에 가까운 전공을 제공하고 있다. 해마다 5,500명의 학사와 2,000명의 석사, 900명의 박사를 배출하고 있지만 학부내 학생 대 교수 비율은 15.5:1 정도로, 사립대에 비해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UC 버클리에는 14개의 단과대학으로 나뉜 130개 이상의 학과와 프로그램이 설립되어 있다.
학생 구성
2012년 가을 신입 입학생 통계
출처: 위키피디아
University of California. 1940.
Sather tower (the Campanile) 과 Sather Gate. Sproul Plaza, UC Berkeley 캠퍼스.
UC Berkeley 기숙사 Bowles Hall. 2003년 Homecoming and Parents Weekend.
Steve Wozniak, BS 1986, Apple Computer 공동창업자.
굳이 말하자면, 버클리가 그를 키웠다기 보다는.. 그가 버클리를 선택한 거지..
어차피 버클리가 원하는 인재도 그런 사람들이고.
그리고 주니어 시절부터 미국 검도국가대표로 세계대회에 꾸준히 참가하여 온 크리스 양 Christopher Yang 이 바로 이곳 UC 버클리를 나왔음. 법대.
당연히 UC 버클리는 들어가기도 어렵지만 졸업하기는 더 힘듬. 한국 학생들도 주위에 정말 공부 열심히 잘 한 학생들이 버클리 힘들게 들어가서 못버티고 다시 돌아온 경우를 왕왕 봤음.
양 사범님은 이후 워싱턴 D.C. 의 역시 유명한 사립대학 Georgetown 에서 석사를 마치고 (박사과정까지 마쳤는지는 모르겠음) 현재 국제변호사로 일하고 있음.
한국 선수들 뿐만이 아니라 일본 선수들까지도 세계대회에서 비기거나 이기기도 하는 맹활약과 실력을 보여주는..
전검련에서 말하는 그런 검도인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양 사범님은 일본사람들 많이 살고. 또 형배가 사는 Torrance 에서 죽 자라고 검도를 했는데, 고등학교때하고 UC 버클리 다니던 시절에 토랜스에 와서 운동할 때 봤었던. 동생 대니얼 Daniel 은 종종 토랜스 도조를 방문하여 같이 운동도 했었고.
양 사범님은 연애사업 잘하고 있을라나.. ^^;;
지난 2003년 대만에서 열린 제13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에서 크리스 양 Chris Yang.
이 대회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며 미국이 역대 처음으로 일본을 꺽은 팀이 됐다.
결승에서 한국에게 지긴 했으나 일본을 꺾은 그들의 기쁨은 말로 표현 못할 정도.
미카누나도 미국대표로 대만대회에 출전하였으나 초반에 한국과 붙어서 아쉽게 패배, 초반에 탈락을 했다.
하지만 전세계 검도인들을 놀라게 한 사건의 주인공들과 함께 그해 검도일본 잡지에 실리는 영광도 누리고, 더욱이 Christopher Yang 은 특집기사로 실리게 된다.
제목은 'Do You Believe in Miracle?'
어렸을 때부터의 그의 검도인생이 나오고 현재 그가 일하는 Wilshire 에 위치한 사무실에서 인터뷰하는 사진이 나왔다.
2007년 4월 검도시대 표지모델로 실린 Christopher Yang.
참고: 크리스 양 Christopher Yang http://blog.naver.com/beetle55/100067902509
그리고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역시 명문 사립대
UC Berkeley 와 라이벌 관계를 가지는
스탠포드 Stanford
를 둘러보기 전에
최고의 graduate 과정의 주립대로서
특히 의학 중심으로 대학원 과정만이 있는
UCSF, 즉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가 있다.
다른 학과는 물론이고. 특히 의대와 치대는 단연 미국 최상위권의 대학.
미국에서도 '공부 잘하는 사람' 하면 '하버드 Harvard' 의 공식만큼이나 특히 의대에서 거의 그 공식을 따르는 학교.
같이 일하던 분 중 한 명이 여기를 나온 사람이 있었고. 검도하시는 분 중 따님이 이곳 치대를 나온 분이 있었다.
원래 UCSF 가 여학생만 받기 시작했는데 그래서 내가 아는 사람들이 다 여잔가..
UCSF,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의학 중심 대학.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분교 중 유일하게 대학원만을 운용하고 있다.
대학원, 병원시설, 그리고 의학 연구와 biomedical 분야에서 미국 내에서는 물론 전세계적으로도 최고로 평가받고 있다.
1873년 UCSF 는 "인명을 구하고 보건 향상에 힘쓰는 공립대학" 의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UCSF 의료 센터는 <미국 뉴스 & 월드 리포트>에서 매년 선정하는 미국 내 병원 순위에서 항상 톱 10 이내에 오를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AIDS 전문의료기관으로써 미국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UCSF 교수진 중 5명이 노벨상 수상자이며, 그들의 연구는 암, 퇴행성 뇌질환, 노화, 줄기세포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를 했다
설립 1873년
모토 Fiat lux 빛이 있으라
상징 색 UCSF Teal
마스코트 곰
공식 웹사이트 UCSF.edu
UCSF 는 샌프란시스코에 4개의 주 캠퍼스와 Fresno 에도 캠퍼스가 하나 있다다.
Parnassus
주 캠퍼스로 연구소와 UCSF Medical Center, Langley Porter Psychiatric Institute, 그리고 UCSF 소아병원, 치대, 약대, 의대, 간호대, 그리고 Biomedical Sciences 석사과정 대학 등이 속해있다.
이곳에서는 북캘리포니아와 네바다 주 리노 Reno, Nevada 의 신경과 외래환자를 거의 대부분 치료하고 있다.
또한 안검학 센터 UCSF's Beckman Vision Center 와, 태아에 관한 다분야 공동 치료와 연구를 하는 UCSF Fetal Treatment Center 가 위치하고 있다.
Parnassus, UCSF Medical Center
Parnassus, UCSF Medical Center
Parnassus, UCSF Medical Center
UCSF Medical Center
2011년, US News and World Report 紙는 UCSF Medical Center 를 미국 7위 병원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는 당시 북캘리포니아 최고의 병원으로 선정된 것이었다. 특히 소아과 병원 UCSF Children's Hospital 은 16위로 캘리포니아 주에서 최고 병원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동일 매체의 "America's Best Hospitals" 조사에서 북캘리포니아 최고 병원으로 선저오디었으며. 특히 내분비학과 신경학/신경외과, 부인병학, 암, 신장병과 안검학, ㅎ호흠기 질병, 류마티즘학, 비뇨기과학, 이비인후과학, 저ㅏㅇ신 의학, 심장 수술, 그리고 소아과에서 전미 최고 병원으로 선정되었다.
2003년 San Francisco Magazine 이 실시한 조사에서 샌프란 스스코 베이 에리어 Bay Area 의 "최고의 의사" 에서 55 퍼쇼ㅔㄴ트의 의사가 UCSF 교수진이었다.
2013년, UCSF Medical Center 는 U.S. News & World Report 가 선정한 미국 병원 중 4위에 선정되었으며, 미국에서 유일하게 연구와 치료 분야 모두에서 탑5 에 든 병원이다.
또한 UCSF Medical Center AIDS 에 관련된 분야에서 미국 1위, 내과학 2위, 그리고 위에 언급한대로 여러분야에서 미국 탑 10 안의 훌륭한 업적을 보이고 있다.
2011년, UCSF Medical Center 는 미국 종합 병원 중 두번째로 많은 연구 기금을 수여받았다 (5억 3천2백만 달러).
UCSF 메디컬 센터와 Sutro Tower
NIH Mark O. Hatfield Clinical Research Center.
UCSF 치의대.
그리고 역시 UCSF 의 UCSF 방사선학과와 BioMedical Imaging Center, 간호대, 약학대 등 의료관련 분야는 모두 미국 전체 의료기관과 의대 중 탑 5안에 선정이 되ㅇ며 최고 수준의 연구, 치료 기관으로 선정되었다.
UCSF Mission Bay Campus, San Francisco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생물 의학 건물을 짓고 있는 중.
2003년 문을 연 이 캠퍼스는 바이오 테크놀로지와 생명 과학 전용의 연구소를 건립하고 있다으면 10년 안에 현재의 두배에 달하는 연구 계획을 시현해 나갈 것이다.
Mission Bay, UCSF
Mission Bay Community Center
UCSF Fresno
UCSF 마스코트인 곰. 곰이랑 아기곰 석상 - Benny Bufano. Kalmanovitz Library.
UCSF 는 의대와 약대, 간호대, 그리고 치의대와 석사과정에 수백 개의 연수실과 연걔ㅖ하여 환자 중심의 biomedical 연구에 앞장서는 연구기관이자 학교로, 혁신적인 의학 연구와 공중 보건 서비스, 그리고 환자 치료에 대해 최고의실력을 보이고 있다.
UCSF 의 연구. 교수진은 5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나왔으며. 31명의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회원, 69명의 Institute of Medicine 회언, 그리고 30명의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또한 UCSF 는 Master of Science 와 철학 박사학위, 그리고 약학 박사와 의학 박사, 구강외과 박사와 Doctor of Physical Therapy 박사과정과 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2012년 UCSF 는 매년 Shanghai Jiaotong University 에서 선정. 발표하는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에서 임상의학 분야와 약학에서 세계2위로 선정이 되었으며 농업과학 분야에서는 3위에 선정되었다.
UCSF 는 미국에서 의대관련 학과와 임상분야에서 최고의 위치에 있으며 2013년 NIH 연구기금도 최고의 수준을 수여받고 있으며, UCSF Medical Center 는 2013년 US News and World Report 가 선정한 미국 최고 종합병원 7위에 선정되었으며, 북캘리포니아에서는 최고의 종합병원으로 선정되었다.
Distinctions
Noted alumni/faculty[edit]
그리고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역시 명문 사립대
UC Berkeley 와 라이벌 관계의 대학
스탠포드 Stanford
릴런드 스탠포드 주니어 대학교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1981년 릴런드 스탠퍼드 Leland Stanford 에 의해 설립된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위치한 연구 중심 사립 대학이다.
미국의 최고 사립 대학 중 하나로 꼽히며, 학부 합격률 기준으로 미국에서 가장 입학하기 힘든 학교이다. 일반적으로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라고 불린다.
Hoover Tower. 스탠포드 대학교.
설립 1891년
표어 Die Luft der Freiheit weht (자유의 바람이 불어온다)
스탠포드 대학은 최상위권 우수 대학의 전통적인 진지함에다 캘리포니아 특유의 자유 분방함과 이국적인 정취가 혼합된 인기 높은 대학이다. 미국의 대부분 주요 대학에 비하면 설립 역사가 짧으나, '금세기의 가장 성공한 대학'으로 묘사되고 있을 만큼, 급속한 발전을 이룩한 학교이다.
스탠포드 대학의 여러 학과들중 특히 이름난 분야로는, 물리학, 경제학, 공학, 철학, 영어, 심리학, 정치학등을 들수 있겠으나, 그외에도 수많은 분야들이 톱클라스 그룹에 들어 있다.
스탠퍼드 대학은 대학원 과정과 전문대학원들의 비교에서도 미국의 최정상급을 차지하고 있다. 대학원의 영어, 경제, 역사, 정치학, 심리학, 사회학등이 특히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또한 전문대학원들 중에서는 경영대학원, 법학대학원, 의학대학원이 호평을 받고 있다.
스탠퍼드는 세계적인 첨단 산업 기지인 실리콘 밸리가 학교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어서, 교육과 연구에 더욱 많은 기회를 누릴 수 있는 학교이다.
실리콘 밸리의 구글, 야후, 휴렛 팩커드,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씨스코 시스템즈, 또한 스포츠 의류 회사 나이키 창업자가 모두 스탠포드 대학 출신이다.
현재 9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11명의 미국 과학상 수상자들이 몸담고 있다. 스탠퍼드 대학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약 50km 떨어진 인구 6만의 소도시 스탠퍼드에 자리하고 있다. 약 9백만평이나 되는 넓은 터를 차지한 이 학교는 수많은 종려나무와 지중해식 붉은 기와지붕의 나즈막한 건물들로, 이 학교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으며, 학교라기보다 고급 리조트 같은 인상을 주는 캠퍼스를 보유한다.
학부 재학생중 동양계 학생(동양계 미국인 및 유학생 포함)은 23%이다. 2007-8 학년도에 스탠퍼드로부터 입학통지서를 받은 외국인 학생들 중 35명이 한국 학생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스탠퍼드의 관문을 통과한 합격생들 중 90% 이상은 출신 고등학교에서 상위 10%에 들었던 우등생들이며, 전체의 75% 이상이 평균 학점 4.0 이 넘는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고 한다.
스탠퍼드대 캠퍼스
스탠퍼드대 캠퍼스
역사
1876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릴런드 스탠퍼드(Leland Stanford)는 란초 샌프란시스코(Rancho San Francisco) 지역의 650 에이커의 토지를 매입하여, 이곳에 팔로알토 말 목장 (Palo Alto Stock Farm)을 설립하였으며, 곧이어 인근에 있는 8000 에이커의 토지를 더 매입하여 캘리포니아에서는 가장 거대한 말 목장을 운영하였는데, 훗날 이 거대한 말목장이 오늘날의 스탠퍼드 대학교의 캠퍼스가 되었다. 릴런드 스탠퍼드(Leland Stanford)의 외아들인 릴런드 스탠퍼드 주니어(Leland Stanford, Jr.)는 1884년 16세가 되기 전에 장티푸스로 사망했고 릴런드 스탠퍼드(Leland Stanford)는 그의 부인에게, 캘리포니아의 젊은이들을 모두 우리의 자녀 삼읍시다라고 말했다. 이에 6년간의 준비작업과 토목공사를 거쳐, 1891년 10월 1일 스탠퍼드 대학교는 개교하게 되었다.
개교일 이른 아침부터 채 마무리를 짓지 못한 공사 인부들은 개막식장 연단 건축작업에 분주했으며 그 뒤에는 이 대학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서 설립되는 것을 기리기 위해서 릴런드 스탠퍼드 주니어(Leland Standford Jr.)의 실물동상이 서 있었다.
구성
스탠퍼드 대학교는 7개의 학교로 구성되어 있는데 문리대학(Humanities and Sciences), 공학대학(Engineering), 지구과학대학(Earth Sciences)은 학부와 대학원이 있으며, 교육대학원(Education), 경영대학원(Business), 법학대학원(Law), 그리고 의학대학원(Medicine)은 학부는 없으며 대학원만 있다.
입학 현황
2017년 졸업예정으로 2013년 가을에 입학하는 신입생(Class of 2017)의 경우 38,828명의 지원자 중 미국에서 제일 낮은 합격률인 5.69%의 2,210명이 합격했다. 스탠퍼드 대학교 역사상 가장 높은 경쟁률이었다고 한다. 스탠퍼드를 비롯한 미국 상위권 명문대의 입학 경쟁률은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 거라고 대학입학 상담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스탠퍼드 대학교는 학생들을 위한 재정지원 또한 최고 수준이다. 2008년 가을 학기부터 중산층 가족 출신 학생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크게 확대했으며, 이에 따라 가족의 연간 수입이 10만 달러(약 1억 2천만원)미만인 학생들은 수업료를 대부분 면제 받는다. 가족의 연간 수입이 6만 달러(약 7천만원)미만인 학생들은 기숙사비를 포함한 숙식비도 면제 받는다.
2012년 1월 30일 기준 스탠퍼드 대학교의 기부금 펀드는 하버드 대학교(약 317억불)와 예일 대학교(약 194억불)를 이어 미국 대학 중 5번째로 큰 기부금 펀드(약 171억불)를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 대학 순위 평가 등을 할 때 학교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성적은 물론이고 학업 ㅎ평가도와 졸업생들의 현황. 그리고 도서관 장서 수와 특히 기부금의 액수가 킁큰 영향을 미친다.
저명한 동문
스탠퍼드 대학교 동문 문서 참고.
인터넷의 아버지인 빈트 서프(Vinton Cerf)가 스탠퍼드대를 졸업했다.
구글 창업자인 래리 페이지, 세르게이 브린과 야후 창업자인 제리 양, 데이비드 필로와 휴렛 팩커드 창업자인 윌리엄 휴렛, 데이비드 팩커드와 나이키의 창업자인 필립 나이트와 씨스코 시스템즈의 레너드 보색, 샌드라 러너와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앤디 벡톨샤임, 비노드 코슬러, 스콧 맥닐리가 스탠퍼드대 동문이다.
스탠퍼드대는 수많은 유명한 인사를 배출했으며, 허버트 후버 제31대 미국 대통령, 죠지 슐즈 전 미국 국무장관, 미국 최초의 여성 우주인 샐리 라이드, 작가 존 스타인벡 등이 동문이다. 존스 홉킨스대의 윌리엄 브로디(William Brody) 총장, 시라큐스대의 낸시 캔토(Nancy Cantor) 총장, 보스턴대(Boston College)의 윌리엄 레이히(William Leahy) 총장, 예일대의 리차드 레빈(Richard Levin) 총장, 애리조나대의 피터 리킨스(Peter Likins) 총장이 스탠퍼드대 출신이다.
문화
인근에 위치한 버클리대학교와 NCAA PAC 12 스포츠 리그에서 전통적으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고 미국 전반적으로는 하버드를 지칭하는 "East Coast School"을 경쟁상대로 여기고 있다
공중에서 본 Stanford University 캠퍼스. 2008.
Oval 애서 바라본 Stanford University.
그리고
2013년 10월 7일 (현지 시각), 노벨상 수상자들을 발표하였는데,
2013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미국의 James E. Rothman (63)과 Randy W. Schekman (65), 그리고 독일 출신의 Thomas C. Südhof (58) 3명이 선정되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웹사이트에서 '세포의 물질 운송 메커니즘을 규명한 공로가 인정된다' 며 수상자를 발표했다.
James E. Rothman 과 Randy W. Schekman 은 각각 미국 예일대 화학과와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 (UC 버클리) 분자세포생물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Thomas C. Südhof 는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다.
2013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미국의 James E. Rothman (63) 미국 예일대 Yale University 화학과 교수
UCSF 치의대
UCSF 치의대 는 2007년 치의대로서 NIH 연구펀딩 1위에 선정되어 NIH 로부터 1800만 달러를 수여받았다.
2011년에 다시 1위로 선정되어 1950만 달러를 수여받았다.
(침고: http://report.nih.gov/award/trends/FindOrg.cfm http://www.ucsf.edu/news/2011/02/9393/ucsf-tops-public-institutions-nih-funding-ranks-third-overall )
* 미국 국립 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의료과 건강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미국 행정기관으로, 미국 NIH가 한국에서 유명해지게 된 이유는 미국의 줄기세포진흥법에 의해 2001년 8월 9일까지 확립된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에 대하여만 미국 연방정부의 연구비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하여 전 세계에 걸쳐 배아줄기세포주를 등록받게 되면서이다.
한국에서는 미즈메디 연구소가 2001년 3월경 확립한 수정란 줄기세포 Miz-1번을 미국 NIH에 등록하였다. 그 후 차병원의 정형민 박사 팀, 마리아바이오텍에 박세필 박사 팀, 서울대학교 의학대학 문신용 교수 팀이 등록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이례적으로 미즈메디 연구소는 미즈메디 수정란 줄기세포와 관련된 연구계획을 NIH에 제출하여 연구비 명목으로 2002년 10월경부터 현재까지 NIH로부터 총 93만 달러 상당을 지원받았다.
황우석 교수 사건과 관련하여 미국 NIH는 한바탕 홍역을 겪게 되었다. 그 하나는 미즈메디가 Miz-1번의 NIH 등록 이후 현재까지 국외에 12건, 국내에 80건의 Miz-1번을 분양하였데 이 과정에서 NIH등록된 줄기세포가 아닌 Miz-5번 줄기세포를 임의로 배포하였다는 것이다. NIH는 일단 잠정적으로 미즈-1에 대해 분양을 중지하고 연구비 집행을 정지시켰다.
또 다른 하나는 2005년 사이언스논문의 교신저자인 제럴드 섀튼에게 핵치환이식관련 연구 명목으로 1,600만불을 투자(award)제공하였는데 이 눈문이 조작과 사기에 대한 시비에 휘말리면서 제럴드 섀튼과 NIH담당자는 국회로부터 청문회를 받게 되었다.
2013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Randy W. Schekman (65)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 (UC 버클리) 분자세포생물학과 교수
2013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독일 출신의 Thomas C. Südhof (58)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
로스먼 등은 세포가 인슐린 등 생명활동에 필요한 핵심 물질을 적시에 정확한 곳으로 운송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노벨위원회는 설명했다.
이들의 연구는 당뇨병과 신경·면역 질환 등 물질 운송 과정의 장애로 생기는 문제를 예방·치료하는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과정은 세포 내의 거품 모양 구조체인 소포(小胞·vesicle)가 '용기(package)' 역할을 하면서 호르몬, 효소, 사이토카인(면역제어물질), 신경전달물질 등을 옮겨 우리 몸에서 신경 활성화, 면역, 물질대사 등을 주도한다.
이 때문에 생명과학계에서는 세포가 어떤 원리로 일사불란하게 물질을 전달하는지, 이 과정의 장애가 어떤 문제를 낳는지 등을 두고 다양한 연구가 진행돼왔다.
이번 수상자들의 맏형 격인 셰크먼은 1970년대부터 효모(이스트)를 대상으로 이 물질 운송과정의 유전자적 측면을 연구, 운송을 통제하는 3종의 핵심 유전자를 밝혀냈다.
이어 로스먼은 물질을 옮기는 소포(vesicle)의 단백질과 '운송 목적지'인 세포의 특정 막(membrane)이 지퍼의 양면처럼 아귀가 맞으면서 정확한 장소로 운송이 이뤄진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가장 후발주자인 쥐트호프는 셰크먼·로스먼의 연구를 토대로 정확한 시기에 배송된 물질을 목적지에 전달하는 '타이밍' 메커니즘을 밝혀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노벨위원회는 보도자료에서 "물질운송 원리는 효모와 사람처럼 다른 유기체 내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한다"며 "수상자들은 세포 생리학의 근원적 과정을 규명했다"고 평했다.
로스먼과 셰크먼은 2002년 이 같은 성과로 미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래스커상'을 받았다.
노벨위원회는 로스먼 등의 핵심 저작물로 1979∼1993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을 꼽았다. 길게는 34년 전 연구성과가 노벨 생리의학상 영예를 안겨준 셈이다.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유도만능줄기(iPS)세포 개발과 응용 과정에 기여한 영국의 존 거던(79)과 일본의 야마나카 신야(山中伸彌·50)에게 돌아갔다.
올해 시상식은 노벨상 창시자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오는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부문별 수상자들에게 주어지는 상금은 800만 크로네(14억3천만원)다.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13
James E. Rothman
Randy W. Schekman
Thomas C. Südhof
노벨상 메달.
이렇게 대충 북 캘리포니아에 대해 둘러보았다. 하지만 직접 가본 곳은 단 한군데도 없다. 한 군데 빼고.
정확히 얘기하자면 진짜 그냥 갔다가 왔다. 옛날 놀이할 때 쓰던 말로, "야도." 하고 왔다.
바로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 에. 쩝.
친구들이랑 (다 동생들이긴 했지만) 일요일에 한 친구가 예전에 살았던 Irvine (정말 좋은 도시) 구경 좀 시켜주고 점심 산다고 데리고 갔다. 나까지 넷.
어바인에 대한 설명도 듣고 어바인에서 가장 좋다는 일식집에 감.
점심시간 디스카운트를 하고 있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음식이 그다지 맘에는 안들었음.
이런저런 얘기하다가 나온 얘기가.
비싼거 얻어먹었으니 누구가 술 사겠다 했다. 그게 나였는지 다른 누구였는지 기억은 안나는데
그랬더니 그럼 술 말고 그 돈으로 딴거 하자
뭘
한 친구가 자기가 진짜 맛있는 식당 안단다.
그래? 가자 그럼. 어딘데
샌프란시스코
....
뭬라?
샌프란시스코에 진짜 멋진 곳 있단다. 음식도 맛있고.
그래 알겠는데.. 지금 점심먹고.. 시간이 정오 지난 오훈데 어떻게.. 언제 갈까 했더니
오늘 가자.
지금
에?
비행기 알아보고 표만 있으면 갔다오면 된단다.
그래? 그랬더니 한 친구가 맞장구
그럼 누구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저녁을 사니 자기가 비행기 티켓 끊겠단다
그리고 나머지 세 사람의 눈이 나에게로
그럼 내가 렌트카 빌리마. 공항에서 왔다갔다.
오케
여행사 전화 바로해서 티켓 사고
점심 후딱 마치고 비행장으로 감.
구경시간이 좀 있어 구경 좀 하다가
시간 맞춰 비행장 LAX 로 감.
차 타고 7-8시간 이상 걸리지 뱅기 타면 금방이다.
하지만 해 떨어지고 어두컴컴해진 저녁에 샌프란시스코 공항에 도착.
바로 터미날에서 렌트카 빌림.
좋은 차 빌릴려고 했는데 공항 터미날에는 그런 럭셔리한 차 렌트하는 데는 없다. 그냥 비즈니스 트립하는 그런 용도의 일반차들.
그나마 머스탱 컨버터블 Mustang convertible 이 있어서 그걸 빌림 (머스탱 제일 후졌을때 모델).
샌프란시스코는 한번도 와본적 없는 내가 운전을 하겠다고 우김. 그땐 네비고 뭐고 없던 시절.
샌프란시스코에 빠삭한 친구의 육성 내비를 들으며 고속도로를 타고 달리다 빠져나와 샌프란시스코 시내를 통과, 그 꿈에 그러던 미국, 하고도 샌프란시스코, 를 달리고 있는데.. 어.. 물랐다.
근데 차가 달리고 있는 곳이, 금문교 위를 달리고 있었다.. 그러니까 금문교 안.
다리 위에서는 이게 다리인지 뭔지, 뭐 바다도 안보이고. 깜깜하기도 하고 운전도 하느라..등등
가라는데로 허둥지둥 막 운전도 삐뚤빼뚤하면서. 차선 이탈에.. ㅋ.. 이 친구도 오래간만에 와서 조금 헷갈리고. ㅋ
하여간에 가는데
오...
동네가
좋다..
아주 깔끔하다 그냥.
도로. 도로와 인도 사이에 그.. 뭐냐.. 하수도 있는 그 블록..보도 블록인가.. 그거..
인도..
자그마한 가게들...
너무 깨끗하고 이쁘다 진짜..
그 친구왈
형 여기가 소살리토야.
오오오오오....
그렇다...
바로 소살리토 Sausalito 였다.....
하지만 고기 도로와 주변의 상점들 외에 집들은 ㅂ이미 깜깜해서 안보였다.
상점들 뒤로 언덕으로해서 거기에 이쁜 집들이 있겠지.. 하고 상상하면서
조금 가다가 여기야 죄회전
들어가니 입구를 지나 저 안쪽에 레스토랑이 보인다.
레스토랑 앞이 분수(인가)가 하나 있고 차가 그 분수 주위로 돌게 되어있다. 바닥은 하얀 자갈,
그러니까 우리나라에 남산 하얏트 식이라고나 할까.. 작은 싸이즈의. 언덕은 아니고 평지.
웨이터 아저씨가 마중 나온다. 발렛파킹하는 분 나와서 차 가져가고.
들어가서 가운데 있는 둥근 식탁에 앉음.
그런데
이게
이 레스토랑이 바다 위에 있다....
바다 위에 삐죽 튀어나와 있다...
낮에 왔으면 더 좋았을 것을..
하지만 시간 없다.
다 같은 걸로 통일
스뗴끼 시키고 먹음
맛있어? 응 어 응..
다 먹었어? 응
가자
차 타고 다시 샌프란시스코 공항으로
공항내 상점 들러 기념품 몇개 사고 뱅기타고 에레이로 돌아옴.
그리고 술 마시러 갔나 안갔나.. 기억이 안남.
그렇게 샌프란시스코를 한번 댕겨왔다....
본거라고는.. 그래
돌아올때 소살리토 언덕길에서 차 세울 수 있는 공간 있는 공터에서 내려서 금문교를 바라보았다.
여기다. 가서 스떼끼 먹고 온 곳이.
이름은 'The Spinnaker'
바로 주위에 요트 선박장이 있고. 당시는 밤이라 전혀 안보였을 뿐이고..
바로 소살리토 Sausalito.
이쁜 집들이 즐비함. 비싼 동네. 아니 부촌.
관장님께서 몇해 전에 미국 여행을 다녀오셨는데, 에레이와 뉴욕 그리고 샌프란시스코를 들러오셨다고 하신다. 이런저런 여행 말씀을 하시는데, 샌프란시스코에서 어디를 갔는데...
그 뭐라더라.. 소.. 소..
소살리토 말씀하십니까?
어 그래.. 소살리토 라는데,
거기 아주 예쁘고 깨끗하고 좋더구만.. 거기에서 어디 레스토랑을 갔는데... 이름이 뭐더라.. 이름까지는 기억을 못하겠고.. 바다 위에 레스토랑이 있더라고.. 경치가 아주.. 좋고..
어라.. 혹.. 어디어디 말씀하시는 겁니까? 여쭈니. 아마 거기 같다고 하심. ^^
이게 바로 그 레스토랑, The Spinnaker 의 비즈니스 카드. 아직도 갖고 있다.
The Spinnaker
100 Spinnaker Drive
Sausalito, CA 94965
그리고
저녁을 마치고 바로 일어나 출발. 공항으로
가려고 하는 중 소살리토 언덕에서 잠깐 내려서 야경의 금문교를 바라보았다..
아마 이랬었다.
더 멀게 있었다. 작게 보였고.
Golden Gate Bridge.
좀 더 멀고 더 높은 곳에서 내려다 보았다...
골든 게잇 브릿지가 더 작게 보였었다.
하여간에..
이게 마지막으로 본 샌프란시스코였다. 그것도 밤에..
그렇다.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 에
왔다
보았다
그리고 다시 돌아왔다.
crazy 하게 하루만도 아니고 하루 반나절만에 다녀온 샌프란시스코..
다음에 갈떄는 좀 제대로 구경도 하고 넉넉하니..... 있다가 와야지..
언제?
근시일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