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노릇 하려면 공부 못한다. 공부는 천대 받는 생활에서 시작된다. 고독만이 공부에 대 협조자이다. 앉아서 졸지 마라. 고인의 걸식정신으로 담박생애 수연지족하고 한 생각만 일으켜도 화두간단 되거던 하물며 이야기하랴. 오직 최후까지 용맹심이 대오로 위칙이니라.
1999년 11월말, 제주 남국선원에서 동안거 정진을 하고 있던 혜국(慧國)은 서둘러 하와이행 비행기를 탔다. 수행을 최우선으로 하는 혜국이 결제 중에 선방을 비우는 건 상상도 못할 일이었지만 이번만은 예외일 수밖에 없었다. 은사 일타(東谷日陀, 1929~1999)가 하와이에서 입적을 앞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혜국에게 있어 일타는 아버지와 같은 존재였다. ‘명이 짧으니 당분간 절에 살아야 한다’는 부모님에 이끌려 절 생활을 시작한 혜국. 눈 감으면 떠오르는 어머니와 고향 생각에 슬며시 눈물을 떨구던 열세 살 소년에게 은사 일타는 늘 든든한 버팀목이었고 울타리였다.
일타 또한 어린 상좌 혜국을 향한 마음은 유별났다. 대강백이었던 일타의 스승 고경이 입적 직전 ‘물 건너에서 다시 태어나 오로지 참선만 할 것’이라는 말을 남겼고 우연인지 혜국은 이듬해 고경의 생일날 ‘물 건너’ 제주도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일타는 혜국을 고경의 후신이라 믿었다. 그런 까닭에 계율은 물론 경전과 선에도 두루 밝은 일타였건만 혜국에게만은 늘 참선할 것을 강조했다. 유난히도 책을 좋아했던 혜국에게 일타는 “그 짓 그만두고 선방에 가라”거나 “참선만 해야지, 주지 노릇은 당찮다”라며 대중법회에서 공개적으로 망신을 주기도 했다.
그렇게 시작된 참선 공부. 처음 혜국은 깨달음을 쉽게 생각했다. 며칠 용맹정진하면 깨달을 수 있으리라고 여겼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이 공부는 목숨을 걸 각오로 하지 않으면 도저히 이룰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