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확진자 감염경로 선제대응 한다
건물 정화조를 이용한 코로나의심지역 확인
요양원, 병원, 학교, 양로원등 거동조사 확대 필요
코로나 확진사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코로나 확진자나 무증상자의 거동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으로 선제적 대응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환자들에 대한 이동경로가 불투명해지고 역학조사가 어려워지는 현실에서 환자거동이나 이동경로를 확인하여 코로나 환자의 경로를 사전에 인지하고 차단하여 코로나 확진자수를 감소시키는 방안이다.
서울시립대학교 김현욱 교수팀은 지난 6월부터 7월 6회에 걸쳐 병원, 공공건물, 학교기숙사 등에 설치된 정화조 집수조와 정화조 방류구에서 채수한 시료에 대해서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를 검사한 결과, 코로나 환자가 입원하고 있는 병원에서만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병원 정화조에서 하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방류수에는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
서울시립대 김현욱 교수팀이 분석한 지점은 서울시립대 기숙사 정화조, 공공건물 정화조, 확진자가 입원하고 있는 서울 서부지역의 A병원의 정화조를 분석했다.
3개 지점 조사 분석에서 서울시립대 기숙사와 공공건물 정화조에서는 모두 불검출 되었으나, 코로나 확진자가 입원 중인 병원 정화조에서는 6회 중 3회에 걸쳐 유전자가 검출됐다.
(공공건물, 기숙사에서는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되지 않았다.)
이 같은 유전자분석 결과에 대해 사전연구를 총괄 진행한 김현욱 교수는 ‘이번 분석은 코로나 감염경로가 점차 불투명해지고 있는 현실에서 사전에 바이러스 전염상태를 진단함으로써 잠재 확진자(무증상 확진자 포함)들의 클러스터를 파악하고, 확산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하수역학기반 감염병 감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라며 향후 질병관리의 사전대응에 좋은 사례로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이라고 말했다.
또한, 김현욱 교수는 본 연구를 통해서, 정화조가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전염병원균이 하수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순기능의 역할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환경국제전략연구소 김동환 빅사도 ‘도시건축물에 설치된 정화조를 통한 바이러스 유전자분석은 감염환자들의 분변이 집수되는 정화조를 이용한 분석방식으로 기존 시설을 응용하는 전략이다. 현재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된 이후 역학조사를 시행하고 있는데 확진자가 불특정 다수로 파급되면서 추적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좀 더 세밀한 분석방식을 응용한다면 확진자의 동선을 확보하면서 그 수를 효과 있게 줄일 수 있어 정부의 빠른 시행이 필요하다.’라고 평가했다.
코로나19분석 기법은 질병관리본부가 사용하는 분석방식으로 유전자 검출수준은 Ct값(역치 증폭사이클 횟수)으로 표현했을 때, RdRP-유전자는 37.1~37.5, e-유전자는 35.9~37.1을 나타내는 분석원리를 활용했다. (환경경영신문/박남식 부장)
------------------------------
*환자에 대한 양성/음성 판단기준은 유전자가 증폭되어 Ct값(역치 증폭사이클 횟수)이 35 이하를 나타낼 때 양성이며, 그 이상의 Ct값을 나타낸 경우에는 비특이적 반응 등에 의해서도 검출될 수 있으므로 양성 유무에 대한 판정을 보류(미결정). 유전자가 증폭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불검출)으로 판정한다.
정화조 검체에서는 Ct값 35를 초과하여 인체검체 기준으로는 판정 보류(미결정)에 해당하는 값이지만, 2종의 유전자가 모두 확인되었고 35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이므로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분 석 결 과 |
|
지점 일자 | A병원 | 공공건물 | 서울시립대 기숙사 |
정화조 전단부 | 정화조 방류수 | 폐수 유입수 | 정화조 전단부 | 정화조 방류수 | 정화조 방류수 |
6월 | 검출 (RdRP 37.48, e 36.9) | 불검출 | 미실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6월 | 불검출 | 불검출 | 미실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6월 | 불검출 | 불검출 | 미실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6월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6월 | 검출 (RdRP 37.38, e 37.07)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7월 | 검출 (RdRP 37.14, e 35.93)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불검출 |
[출처] 환경경영신문 - http://ionestop.kr/bbs/board.php?bo_table=B01&wr_id=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