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우 웅장한 그림들이 멋집니다 차분하게 컴퓨터로 열어보세요,
>
<광교산>-모락산~백운~광교~비로~형제봉산행 STORY - 01, |
>
大韓民國 한남정맥 최고봉 광교산 - 계묘년 3월 9일 자유인산악회종주대,
>
<백운산>- 오전동(의왕)~모락산~오매기재-백운산~통신대~광교산~토끼재~비로봉~형제봉~경기대Y길~버들치~성복동(용인), |
일시: 2023년 3월 9일, 자유인 산악회, 기록/사진: 한문희총대장, |
大韓民國 한남정맥 백운산에서 - 계묘년 3월 9일 자유인산악회종주대,
>
자유인 모락산~백운산~광교산~형제봉구간기록, ▶일시: 2023년 3월 9일(목요), 기록: 한문희총대장, 홀로산행, ►숲길: 모락산입구~모락산정상~오매기재~수목장묘역~백운산(한남정맥)~통신대~억새밭~노루목대피소~광교산~토끼재~종루산(비로봉)~김준룡장군 전승비~형제봉~6.25장병 유해터~경기대3거리~버들치~삼복동종료, ►도상거리:14.6km, 7:00시간 소요, ►백두대간 전단지 홍보차 순행, -09:10분, 의왕시 오전동 LG앞 모락산 입구, -10:00시, 모락산(慕落山385m), -11:05분, 오매기재(경기 의왕시 오전동 산 32-8), -11:16분, 수목장 묘역,(경기 의왕시 오전동 산 2), -12:00시, 백운산(白雲山567m), 한남정맥, -12:23분, 통신대 정문, -12:38분, 억새밭, -12:57분, 노루목대피소, -13:07~ 분, 광교산 수리봉(光敎山582m), 점심, -13:58분, 토끼재, -14:08분, 종루산 비로봉(최치원과 望海亭), -14:19분, 김준룡(金俊龍將軍 戰勝碑), -14:56분, 형제봉(兄弟峰 448m), -15:17분, 백년수 샘터(百年水.泉), -15:23분, 6,25장병 휴해발굴지, -15:26분, 경기대 3거리, -15:52분, 버들치(한남정맥)임도고개, -16:00시, 경남아너스빌 정유장(경기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449-1) -만보기 15.2km 6:52분 소요, 산행종료, |
>
♠한남정맥(漢南正脈) 광교산(光敎山)의 이야기: 광교산은 백두대간 13정맥 중 하나인 한남정맥(漢南正脈)의 주봉(主峰)이다. 한남정맥은 경기수부지역인 수원을 비롯한 용인, 광주, 과천, 안양, 의왕, 부천, 시흥, 김포, 화성, 오산, 평택, 안성 등 경기 남부권 일원을 포용하면서 한강수계와 서해수계의 분수령을 이룬 경기산하의 모체라 할 수 있다. 한양에 경기도 행정의 본산인 관찰부와 도청이 자리하고 있을 때인 조선왕조 이래 1960년대는 삼각산이 경기도의 진산(鎭山)으로 자리를 지켰으나 이제는 광교산이 경기도의 진산이 되어야 하는 이유가 충분히 있다. 광교산이 백두대간 한남정맥의 주봉으로 해발 582m인 경기 중부권 산하의 상징이자 물줄기의 근원을 이루는 발원처이기도 하지만 경기 중부권의 주산으로 나라의 고난과 함께 해온 산이기 때문이다. 광교산이 지니고 있는 정신적 버팀목은 국난극복의 현장이라는 점이고 임진왜란, 전화의 상처가 채 가시지 않은 37년 후인 1636년 또다시 북방민족인 여진족에 의해 전란을 겪어야 했던 병자호란 때 김준용 장군에 의해 광교산에서 대첩을 거둔 역사 현장을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1967년 6월 23일 경기도청은 광교산을 진산으로 하여 발전하고 있는 수원으로 옮긴 것은 정말 잘한 일이다. 수원시 자료에 따르면, 광교산은 옛적엔 광악산(光岳山), 광옥산(光獄山) 등으로 불렸다. 〈고려야사〉에 의하면, 광교산의 원래 이름은 광옥산이었는데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해 광교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928년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을 정벌하고 돌아가는 길에 광옥산 행궁에 머물면서 군사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있었는데, 이 산에서 광채가 하늘로 솟아오르는 광경을 보았다. 이에 부처님의 가르침을 주는 산이라 하여 산 이름을 친히 ‘광교(光敎)’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1987년 경기도에서 발간한 지명유래집에는 “아주 먼 옛날 수도를 많이 한 도사가 이 산에 머무르면서 제자들을 올바르게 가르쳐 후세에 빛이 되었다고 해서 광교산이라 하였다”고 나와 있다. 또한 광교산에는 창성사(彰聖寺)를 비롯 89개처에 암자가 있었다고 하여 명산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예로부터 ‘광교적설(光敎積雪)’을 ‘수원8경’ 중 으뜸으로 꼽았다. 옛날에도 광교산에 노송이 많아 거기에 수북이 쌓인 눈이 보기 좋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떡시루와 같다고 붙여진 이름, 시루봉에서 바라보는 수원과 용인, 그리고 분당의 모습이 더욱 풍요롭게 보이는 것이다. 좋은 산은 하늘에서 만든다는 말을 실감하게 한다. 광교산은 보개산(석성산)과 더불어 경기도의 진산이고 주봉이다. 광교산에서 발원하는 물이 안양천과 유천(柳川), 탄천을 만들듯이 보개산에서 발원하는 물이 오산천과 경안천(팔당호), 탄천을 만든다. 오산천은 칡넝쿨처럼 흐른다해서 갈천(葛川)이라 했다. 탄천의 상류지역을 장천(莊川, 기흥)과 원우천(遠于川, 분당 구미)이라 기록했듯이《대동여지도》에는 경안천이 우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소천으로 기록되어 있다. 경안천이라는 명칭은 과거의 광주군청 경안리, 지금의 광주시 경안동에서 유래했다. "경안"은 '서울에서 가깝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경안천의 옛 이름은 우천(牛川) 또는 '소천'외에 금량천으로도 불렸다. 현재는 한자를 '京安川'이 아닌 '慶安川'으로라 쓰고 있다. 안양천 원래의 이름으로는 "오목내"이며 그 뜻은 주변에 많은 지천 들이 있으나 제일 깊이 오목하게 골이 파여진 하천이라고 해서 오목내라 불렀다. 황구지천은 남류천(南流川)으로 수원 광교산(光敎山) 계곡에서 발원, 수원시내를 관통해 광교천(光敎川) 유천(柳川)을 이루다가 수원시내 최남단 대황교(大皇橋) 부근에서 동북쪽의 원천천(援川川)을 만나 본류를 이룬 다음 화성시 태안읍 황학리. 송산리를 거쳐 오산시 양산동과 태안음 안녕리 시.군 경계를 지난다. 황구지천은 계속 남류, 화성시 정남면 계양리. 용수리. 귀래리. 양감면을 지나면서 주변에 넓은 충적평야를 형성한 후 오산천. 진위천(搢威川)과 합류해 아산호에 유입된다. 산맥도 3개의 지맥으로 갈라진다. 인성산 형제봉에서 이어온 산이 수리산과 백운산으로 갈라지듯 함박산 부아산에서 이어온 산이 법화산과 향수산으로 갈라지는 것이다. 이것이 명산으로 알려지면서 두 지역이 높은 지대로 평가받는 이유이다.(출처:위키백과), ►광교산은 수원의 북쪽에서 오는 찬바람을 막아주며 시가지를 품에 안고 있는 수원의 주산으로 원래 이름은 광악산이었으나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해 광교산으로 명명되었다고 전해진다. 광교산은 경부고속도로와 서울-수원간 도로 사이에서 남북으로 약 2㎞ 정도에 걸쳐 뻗어있는 산으로 수원시 상광교동에 속해 있다. 산의 능선이 매우 한적하면서도 완만하고 사이에 수목이 우거져있어 산림욕을 하거나 당일코스로 오붓하게 산행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옛부터 광교산은 수원 8경의 하나로 불렸는데 광교적설(光敎積雪)이라 하여 광교산에 눈이 내려 나무에 수북히 쌓여 있는 경치의 아름다움은 8경 중에서도 첫 번째로 손꼽혔다. 1994년까지만 하여도 가을(1개월)과 봄(3개월)에는 산불 우려로 전면 입산 통제하였으나, 1995년 가을부터는 주민 휴식 공간 제공과 여가선용 기회 확대를 위해 연중 개방하고 있으며, 훼손된 등산로변과 자연경관을 산림자연환경 스스로가 회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03년 2월 1일부터 3년 단위 단계적으로 광교산 휴식년제를 실시 중이다.* 면적 847ha, 해발 582m(시루봉) |
>
모락산(慕落山385m) 광교산(光敎山582m) 地形圖,
>
모락산~백운산~광교산~형제봉구간 자유인종주대 탐사 Story - 01,
>
▶모락산(慕洛山385.8m):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 내손동에 있는 높이 385.8m의 산이다. 광교산자락에 위치해있다.
모락산 정상 주변에 모락산성이 있다. 모락산은 주변 조망이 뛰어나 의왕시의 전망대라 불리며 의왕시민들의
도시공원 역할을 하면서 찾는 이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 산책 삼아 등산하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모락산 정상과 모락산 국기봉(383m)은 약 400미터 떨어져있으며, 정상에는 묘비만 있고 주로 이용하고
사진 찍는 등산로는 모락산 국기봉이다.
►의왕 모락산성(義王 慕洛山城):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모락산에 있는 백제 시대의 산성이다.
2007년 9월 7일 경기도 기념물 제216호로 지정되었다. 자연지형을 최대한으로 이용해 석축 또는 토석 혼축을
병용하여 축조된 길이 878m의 테뫼식 산성이다.
►모락산 전투(慕洛山 戰鬪):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에 있는 모락산에서 1951년 1월 30일부터
2월 3일까지
한국군 1사단 15연대와 단대호 미상의 중공군 1개 연대간 벌어진 전투이다. 수원에서 북쪽으로 달려 지지대고개를 넘어서면 좌전방에 수리산이,
우전방에 백운산과 모락산이 우뚝 솟아있다. 안양지역을 안전하게 통과하고 측후방의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확보되어야할 중요한 지역이다.
중공군은 이 산악지역을 이용하여 유엔군의 진출을 저지하려 하였다. 유엔군은 터키여단을 좌측에 미25사단 35연대를 중앙에,
한국군 1사단 15연대를 우측에 배치하여 1월 31일 공격을 개시하였다 4일간의 혈전에서 한국군 1사단 15연대는 중공군 663명을 사살하였으며
90명의 포로를 획득했다. 한편 한국군도 전사 70명, 부상 200여명의 피해를 입었다.
►오매기 본초 오매(烏梅): 매화열매, 매실(梅實), 오매기재를 추정컨대 벚나무 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인 매화나무(Prunusmume Sieb. et Zucc.)의 익지 않은 열매를 가공한 것이다.
매화나무는 우리 나라 중부 이남에서 심으며 지금은 북부 지방에서도 심는다. 또한 제주의 '오매기'라는 이름은 제주 방언으로 '다섯 가지 맛'이라는 뜻으로,
이 맛있는 디저트에 함께 나오는 달콤하고 고소한 맛, 쓴맛, 신맛, 매운 맛을 일컫는다.(五味: 고소+달콤+쓴+신+매운)
♠광교산의 백운산(白雲山):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과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 의왕시 오전동, 왕곡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해발 567m이다.
백운산은 한남정맥(漢南正脈)에 속해있는 산으로 칠장산(七長山:492m, 죽산)에서 도덕산·국사봉(안성)·상봉·달기봉·무너미고개·함박산(函朴山:349.3m, 용인)·
학고개·부아산(負兒山:402.7m, 용인)·메주고개(覓祖峴)·석성산(石城山:471.5m, 용인)·할미성·인성산(仁聖山:122.4m, 용인)·형제봉·광교산(光敎山:582m)·
백운산(白雲山:567m)·수리산·국사봉(國思峯:538m)·청계산(淸溪山:618m)·응봉(鷹峰:348m)·관악산(冠岳山:629m)·소래산(蘇來山)·성주산(聖住山)·
철마산·계양산(桂陽山)·가현봉(歌弦峰)·필봉산(筆峰山)·학운산(鶴雲山)·것고개·문수산 등으로 이어주고 있다. 또한 한남정맥 백운산에서
북으로 청계지맥(淸溪支脈)이 바라산 국사봉~청계산~대모산으로, 한줄기 국사봉~매봉(鷹峰)~관악산~우면산으로 이어지는 관악지맥(冠岳支脈)이 있다.
♠통신대(通信臺): 광교산과 백운산 사이에 있는 통신대는 중계탑이 우뚝 솟아 있어 어디서고 다 잘 보이는 산정에 있다. 주변은 철책으로 접근하기 어렵고 철책선 빙 돌아 등로가 부실하게 나 있다.
♠노루목대피소: 시루봉에서 통신대 방향으로 가다보면 나오는 곳. 딱히 별 특징은 없고 광교산의 유일한 대피소인 노루목대피소가 있다. 대피소 실내에 책도 몇 권 비치되어 있다.
►광교산은 수원의 북쪽에서 오는 찬바람을 막아주며 시가지를 품에 안고 있는 수원의 주산으로 원래 이름은 광악산이었으나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해 광교산으로 명명되었다고 전해진다.
광교산은 경부고속도로와 서울-수원간 도로 사이에서 남북으로 약 2㎞ 정도에 걸쳐 뻗어있는 산으로 수원시 상광교동에 속해 있다.
산의 능선이 매우 한적하면서도 완만하고 사이에 수목이 우거져있어 산림욕을 하거나 당일코스로 오붓하게 산행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옛부터 광교산은 수원 8경의 하나로 불렸는데 광교적설(光敎積雪)이라 하여 광교산에 눈이 내려 나무에 수북히 쌓여 있는 경치의 아름다움은 8경 중에서도
첫 번째로 손꼽혔다. 1994년까지만 하여도 가을(1개월)과 봄(3개월)에는 산불 우려로 전면 입산 통제하였으나, 1995년 가을부터는 주민 휴식 공간 제공과 여가선용
기회 확대를 위해 연중 개방하고 있으며, 훼손된 등산로변과 자연경관을 산림자연환경 스스로가 회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03년 2월 1일부터 3년 단위 단계적으로 광교산 휴식년제를 실시 중이다.* 면적 847ha, 해발 582m(시루봉)
>
남과 북이 하나로 연결된 大韓民國 白頭大幹, 正脈, 支脈!..
고개와 령 봉우리와 산으로 이어지는 민족의 산길,
구름이 쉬어가고 바람이 넘나들며 물길을 가르며 사천오백리
혼불이 되어 민족의 백두대간이 살아 숨쉬는 곳,
우리는 그길을 간다.
우보천리하는 자세로 구도자가 되어
물을 가르는 산자분수령을 간다.
>>
>>
|
첫댓글 <7080>- 통기타 라이브30선,
<iframe width="600" height="350" src="https://www.youtube.com/embed/4jFGZeX7xxQ"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
"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다음카페-자유인산악회,
광교 .모락산 종주 하셨군요..조망이 좋은 곳인데 미세먼지가 아쉽네요.지난번 경숙,재은언니랑 수지성당에서 광교산-백운산-모락산-내손동 계원예술대 문학공원으로 하산했었어요
광교산이 용인.성남권과 수원권을 가르는데 분위기가 전혀 틀리더라구요.역시나 한강물 먹는 성남.용인쪽이 잘 살고요.
총대장님 노고로 회원들이 물밀듯 들어오길 바랍니다.수고 많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