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닿소리의 이름과 자음 순서는 최세진이 1527년 쓴 〈훈몽자회〉라는 책에 나와 있는 것을 원용한 것입니다.
훈몽자회에는 닿소리의 이름과 순서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1.초성종성통용 8자:ㄱ 其役, ㄴ 尼隱, ㄷ 池末, ㄹ 梨乙, ㅁ 眉音, ㅂ 非邑, ㅅ 時衣, ㆁ 異凝,
2.초성 독용(獨用) 8자:ㅋ 箕, ㅌ 治, ㅍ 皮, ㅈ 之, ㅊ 齒, ㅿ 而, ㅇ 伊, ㅎ 屎,
그런데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할 때에 위의 자음 순서에서 ‘ㅋ ·ㅌ ·ㅍ’과 ‘ㅈ ·ㅊ’의 순서를 바꾸고 ‘ㆁ’을 없애는 대신, ㅇ(伊)를 그 자리에 놓아 순서를 바꿨습니다.
그리고 ‘ㅈ ·ㅊ ·ㅋ ·ㅌ ·ㅍ ·ㅎ’ 등도 종성으로 쓴다는 맞춤법 원칙에 따라 그 이름도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으로 고쳤으며 초성과 종성에 통용하는 8자의 이름은 그대로 받아들였습니다.
그런데 이름을 붙이는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
바로 ㄱ(기역), ㄷ(디귿), ㅅ(시옷)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