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있는 실천을 어렵게 하는 세 이유, 그러나...
우리가 배운 사회사업 이론 대부분이 당사자와 협력적 관계를 중시하고
사회복지사 혹은 사회복지사끼리의 독단적 판단을 경계합니다.
그럼에도 많은 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일방적 진행이 벌어지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현장 문제 :
사회복지기관 대부분이 공공의 재정적 지원을 받고,
따라서 공공의 지도 감독 아래에서 성과를 보여줄 때 지원한 비용 대비 수적 산출을 요구받으면서
의미 있는 실천, 사회복지사다운 실천과 거리가 멀어졌습니다.*
*예전에는 공공현장에서 일하는 사람 가운데 전공자가 없다는 핑계를 대었습니다.
지금은 공공에서도, 재단 지원 기관이나 법인에서도 사회복지 전공자들이 일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크게 달라지 않아 보이는 건, 지도 감독 기관 실무자의 전공 여부와는 상관없어 보입니다.
또한, 민간 현장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는 공무원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내려지는 공공정책을 수행하기만 하는 역할로 바뀌고 있는 듯합니다.
새로운 시도나 제안, 제도 밖 실천은 상상하기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제도와 제도의 틈을 메우는 일이야말로 민간 현장 실천가의 몫이 아닐까 싶습니다.
학교 문제 :
사회복지학과에서 학생을 모집하려면 전문가임을 내세워야 하고,
이때 설정한 전문가의 모습을 의료·병리모델(생의학모델)에서 차용했습니다.
당사자를 진단 사정 처방하는 심리·상담 영역이나 의료계와 같은 접근을 전문가의 이상적 모습으로 가지고 있는 듯합니다.
이 때문에 당장 드러나는 변화를 쫓는 실천이 두드러지고 있고, 문제 너머를 보려는 접근과 거리가 멀어졌습니다.
개인 문제 :
상황이 어떠하든 학습하였다만 사람다움과 사회다움을 깨닫고 이를 위해 나아갈 겁니다.
학습하지 않음으로써 관행적으로 내려온 행정 편의적 실천에 편승해 왔을지 모릅니다.
학습하였다마 차마 그러지 못하거나 당장은 그럴지라도 조금씩 개선할 텐데,
개인 학습이 없고 실천 사례를 읽지 않음으로 어쩔 수 없다는 조건적 사고로 일관하는 실무자의 몫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사업을 기계적으로 이뤄가게,
당장 드러나 현상만 수습하기에 급급한 모습으로 만들지 않았을까 짐작합니다.
하지만 상황이 어떠하든 이상을 분명히 하고 방법을 명확히 하면 길이 있습니다.
남 탓 그만하고 내 몫을 찾아갑시다.
우리의 외적 상황이 어렵더라도 지금 우리가 지원하는 당사자를 생각하며 다시 힘을 냅시다.
첫댓글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일하는 저도 '뜻 있는 실천을 어렵게 하는 세 이유'을 동감합니다. 특히, 장애인거주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으로 여느 이용시설보다 공공의 지시와 감독, 간섭이 심하고, 함께 할 동료를 구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그래도...당사자의 '사람다운 삶'을 할 수 있는 만큼 지원합니다. 구조적이고 어려운 환경을 탓하고 있기에는 '당사자의 삶'이 소중합니다. 이런 뜻과 가치를 지닌 사업사회가들이 현장을 지키고 있습니다. 힘겹더라도... 그 본을 보고 따르는 후배들도 있을 거라고 소망합니다.
상황이 어떠하든 이상을 분명히 하고 방법을 명확히 하면 길이 있습니다.
남 탓 그만하고 내 몫을 찾아갑시다.
우리의 외적 상황이 어렵더라도 지금 우리가 지원하는 당사자를 생각하며 다시 힘을 냅시다.
선생님 고맙습니다. 다시 힘을 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