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생활 어휘 (농삿일, 농기구)
따비 ; 가로대를 발로 밟아 날 끝을 땅에 박아 뒤쳐서 땅을 일구는 연모.
쌍날따비 ; 뾰쭉한 쇠꼬챙이를 쌍으로 나란히 끼워서 만든 따비 #코끼리 이빨형
괭이 ; 날과 거의 직가으로 자루를 해박아, 찍어서 땅을 파는 도구.
가짓잎괭이, 토란잎괭이, 수숫잎괭이
넉괭이 ;
마뭇괭이 ;
곡괭이 ;
황새괭이 ;
삽괭이 ; 바닥이 좁고 자루를 길게 해박은 괭이.
쇠스랑 ; 좁고 뾰쭉한 날 세 개를 나란히 댄 괭이형 농구.
살포 ; 논의 물꼬를 볼 때 흙을 떠 옮겨주는 바탕이 좁고 자루가 긴 삽같이 생긴 농구.
벽채 ; 광산에서 광석을 캐느라고 굳은 땅을 파내는 연모.
호미 ; 한 손으로 흙도 파올리고 김도 메는 농구.
잔디호미
왼호미
가래 ; 긴 자루가 달리고 양쪽으로 줄을 달아 잡아당겨서 흙을 떠내는 도구.
종가래
화가래
삽가래
얼렁가래
헹가래
논배미 ; 논의 면적엔 상관없이 두렁으로 둘린 한 배미 두배미로 세고,
밭뙈기 ; 밭은 다른 논밭과 경계지워진 안을 한 뙈기라고 한다.
두둑 ; 밭을 갈아 작물을 심도록 두드룩하게 모아놓은 데,
고랑 ; 그 사이의 물이 흐르게 된 곳,
이랑 ; 두둑 하나에 고랑 하나를 합쳐 말함(# '사래'는 고어)
곰방매 ; 두둑 위의 흙을 고르는 자루가 긴 마무메.
밭고무래 ; 곰방매 한 쪽에 일정한 간격으로 발을 해박은 농구.
노갈이 ; 곡식 씨앗을 흩뿌려서 심은 것,
줄갈이 ; 줄지어서 심은 것,
세우기 ; 포기를 심었다 솎아내고 실한 것만 남기는 것.
북(-돋우기) ; 농작물 밑둥에 흙을 긁어놓아 주는 것,
섶 ; 가냘픈 농작물이 의지하여 클 수 있도록 곁에 꽂아세우는 나무.
김매기 ; 농작물 사이의 흙을 부드럽게 하고 잡초를 제거해 주는 일,
논매기 ; 벼농사에서, 애벌 때 흙을 뒤집으면서 매는 일.
--- 꺾어댕이 ; 호미로 파낸 흙을 먼저 자리에 엎어가는 식,(다부치기, 앞소구리)
--- 긁어댕이 ; 제자리에서 제처덮는 식,
--- 엎어댕이 ; 슬쩍 긁어서 생바닥에다 덮어가는 식.(옆사래미)
두벌논 ; 두 번째 논 맬 때
못자리 ; 볍씨를 촘촘하게 뿌려서 본 논에 내보낼 모를 키우는 곳,
볍씨치기 ; 못자리에 볍씨를 뿌리는 행위,
모춤 ; 쪄낸 모의 묶음,
허튼모 ; 모를 적당히 아무렇게나 배치해내는 것,
줄모 ; 모를 줄 맞춰 내는 것,
못줄(간승) ; 줄모 때 사용하는 눈금있는 줄,
삶이 ; 모판을 안 만들고 직접 모내듯이 볍씨를 미리 넣어서 키우는 농사법,
물꼬보기 ; 논에 낸 모를 잘 키우기 위해 물을 대주고 빼주는 것,
무넘기 ; 논의 물이 충분했을 때, 남는 물이 넘쳐나가도록 한 장치,
우리구멍 ; 물꼬를 터서 물을 확 빼는 것이 아니라 살살 흘러나가도록 논두렁에 뚫어놓은 작은 구멍.
고래논 ; 논 자체 안에 물 솟는 샘이 있는 논,
천둥지기 ; 물줄이 좋지 않아 잘 말라붙는 건답. 천둥이나 치고 비가 와야 모를 낼 수 있다는 뜻,
방축배미 ; 눈이 녹아내린 물을 모았다가 모낼 때면 풀어서 아래 논들에 모를 내게 해주는 논.
두레박 ; 우물의 물을 길어올리는 박
타래박 ; 대나 나무로 긴 자루를 해단 박.
쌍장애 ; 복판에 수레바퀴를 해달아놓고 한 쌍의 두레박을 번갈아 푸게 한 장치.
방아두레/길고(桔枯) ; 우물 앞에 기둥을 세우고, 장대 중간을 기둥 끝에 걸어, 한끝에는 줄을 매어 두레박으로 물을 푸게 한 장치.
쌍두레/맞두레 ; 물그릇 네 귀에 끈을 달아 두 사람이 마주 서서 두 줄씩 나눠 쥐고 함께 물을 푸게 한 기구.
용두레 ; 물자리에 기둥 셋을 엇매어 작사리를 지어서 묶어 세우고, 긴 숱가락처럼 된 나무통 중간을 매달아 그 한 끝을 쥐고 밀어서 물을 퍼올리게 한 장치.
용골차 ; 두레박 여러 개를 잇달아 장치하고 장정들이 발판을 딛고 돌려서, 높은 데까지 물을 끌어올리는 장치.
무자위/수차(水車) ; 수레바퀴를 발로 밟아 돌려서 물을 길어올리게 된 장치.
보 ; 냇물을 가로질러 막아 도랑으로 이끌어 논에 들여보내게 한 장치.
벙어리보 ; 개울바닥으로 스며든 물을 방수층으로 막아 스며올라오게 하여서 댄 장치.
굴보 ; 개울바닥에 스며든 물을 방고래같이 굴을 만들어서 이끌어들이는 보.
방천 ; 냇물의 범람으로부터 전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
키방천 ;
뒤주방천 ;
세언 ;
걸창 ; 방축의 흙이 무너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아랫도리에 촘촘히 박는 말뚝.
잿더미/재우리 ; 재를 모아놓은 더미.
뒷간 ; 변소 한 모퉁이에 재를 모으고, 복판에 두 개디딤돌을 놓고 용변을 보게 하는 곳.
--- 부ㅊ돌 ; 뒷간의 두 개 디딤돌.
소매구시/오줌통 ; 뒷간 한 모퉁이에 동이를 놓아 오줌을 받는 것.
장군/장본(長本) ; 포탄 모양으로 만들고 주둥이를 옆으로 붙인 그릇.
--- 나무장군 ; 나뭇조각으로 통을 결어서 만든 장군.
귀때동이 ; 동이에 모은 오줌을 장군을 옮길 때 쓰는 그릇.
새갓통 ; 바가지에 Y자형 나무손잡이를 달아 거름을 손에 묻히지 않고 쓸 수 있게 한 그릇.
자루바가지 ; 소매구덩이에 모은 액비를 퍼내기 위해 긴 자루를 단 바가지.
거름지게/물지게 ; 좌우로 길게 작대기를 뻗힌 지게로 거름통, 물통을 지는 것.
낫 ; ㄱ자로 구부러진 안 쪽에 날을 세워 잡아당겨서 풀이나 나무를 베게 한 연장.
조선낫/육철낫 ; 대장간에서 치어서 만든 낫,
왜낫 ; 공장에서 생산된 풀배기용 얇고 날카로운 낫(일본식낫),
반달낫/우멍낫 ;
버들낫 ;
벌낫 ;
밀낫 ;
톱날낫 ;
볏가리 ; 볏단을 차곡차곡 쌓거나 시렁에 걸어서 모아둔 것,
줄가리 ; 볏단의 이삭을 위로 오게 서로 맞게 세워두는 것.
낟가리 ; 거둬드린 나락을 일일이 섬에 담지 않고 뜰 가운데 가리어놓은 시설.
늠 ; (고어) 네모난 곡식창고
균 ; (고어) 둥근 곡식창고.
노적/노적가리 ; 곡식을 창고에 들여놓지 않고 한데 쌓둔 것,
통가리 ; 감자나 그 밖의 수확물을 낟가리처럼 둘러막아 갈무리한 것,
밤우리 ; 삼대를 칡으로 엮어 통가리처럼 두르되, 그보다 좁고 높게 하고 꼭대기는 청밀짚으로 만든 용수 모양의 덮개를 씌운 것.
도리깨 ; 열을 돌려서 세게 때리도록 고안된 농기구,
--- 열(도리깨아들) ; 도리깨에서 정작으로 때려 맞추는 여러가닥의 대가지 부분.
벼훑이 ; 대쪽을 둘 맞붙여 묶어서 벼이삭을 한 가닥씩 훑어서 낱알을 뜯어내는 기구.
그네/홀태 ; 벼훑이를 나란히 강철로 만든 것.
찐쌀 ; 식량사정이 타작까지 기다릴 수 없는 사람들이 아직 채 여물지도 않는 벼를 찧어서 낸 쌀.
싸라기 ; 쌀허리가 부러진 쌀.
우케/흐케 ; 나락을 시시로 헐어서 널고 말리기 위해 널어놓은 곡식
첫댓글 옛날 농사짓는 모습그대로입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