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루(보물 제147호)는 조선시대때 밀양부의 객사인 밀주관에 부속되었던 건물입니다.
고려 공민왕(1365년)때 부사 김주(金湊)가 신라시대 때부터 이 자리에 있었던
영남사의 부속 누각에서 유래가 되어 전래해 오던 작고 초라한 누각을 철거한 후,
진주 촉석루의 제도를 취하여 개창(改創)하였는데 이 때부터 규모가 큰 독립된
누각이 되었습니다.그 뒤 몇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으나, 임진왜란때
밀양객사와 함께 불에 타 소실되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1844년(헌종 10) 중건된
것으로 우리나라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목조건축물의 걸작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평면은 정면 5칸, 측면 4칸이고 2층 평면은 내외진(內外陣)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기와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것은 사래 끝에 부착된
귀면와(鬼面瓦)인데, 조선시대 귀면와 중 걸작품입니다. 건축형태는 누의 양옆에는
각각 1채씩 부속건물이 있는데 본루를 기점으로 좌측에는 능파각(凌波閣)을,
우측에는 침류당(枕流堂)을 익루로 거느리고 있습니다. 침류각과 본 누각 사이를
달월(月)자형의 계단형 통로로 연결하여 건물의 배치와 구성에 특징을 배가 시켰는데,
웅장한 기풍으로 인해 당당하면서도 회화적인 아름다움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어
진주 촉석루, 평양의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명루로 일컬어 왔습니다.
영남루는 밀양인들의 서정에 깊이 자리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여행객들의 입에
흔히 오르내리는 관광명소이며, 밀양강에 임한 절벽 위에 위치하여 웅장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어 그 경관이 수려합니다. 1931년 당시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16경을 선정할 때 영남루가 그 16경중에 하나로 선정된 것을 미루어
볼 때 당시의 수려했던 경관을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밀양시청> |